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4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취(Ligularia fischeri)의 이용성을 높이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곰취 메탄올추출물 1,000mg·L-1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8-297.7mg·L-1 and 45.6-173.6mg·L-1이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은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 능 의 경우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가장 좋았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거능은 75℃에서 12시간 추출한 것에서 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곰취 메탄을 추출물 200mg·L-1 및 400mg·L-1 농도는 각각 폐암과 위암세포 증식을 90% 이상 억제시켰다. 따라서 곰취는 높은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채소로 나타났으며, 곰취를 가공품으로 이용하기 위해 메탄올로 추출할 때는 95℃에서 6시간 정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4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4.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골수에서 존재하는 조혈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를 이용해 이종 동물 모델인 태아 마우스 복강 생체 이식을 통하여 돼지 조혈 세포의 이종 조혈 조직에서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규명하였다. 선천성 면역 부전 마우스인 NOD/SCID 마우스 태아 조혈 환경에 돼지 골수 유래 조혈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를 이식하고, 이식 후 5주령에 마우스 조혈기관에서의 돼지 조혈 세포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돼지 특이적 항체 면역 염색으로 유세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 조혈 조직인 골수, 흉선, 간장, 비장 및 림파절에서 돼지 조혈 세포의 분화 및 증식이 관찰되었다. 특히 돼지의 T 면역세포가 골수계 세포에 비해서 높은 chimerism이 관찰되어 태생 초기의 NOD/SCID 조혈 환경에 의한 특이적 T 면역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조혈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마우스 신생 NOSD/SCID 복강 이식 동물 모델을 이용해 돼지 T 면역세포의 분화 발달 연구 및 이종 장기 이식 기전 연구에 좋은 모델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5,100원
        45.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 tamin D3 and 1'etinoic acid(RA) on the human mesenchymal stem ce!ls(MSC) g1'owth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s. Cell proliferation, mineralization, cell cycl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 l atOJγ proteins and markers fo1' osteogenic differenatiaiton were determined by MTI assay, mineralization assay, flow cytomet1'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Cell viability was dec1'ease by each vitamin D3 and RA added to MSC. it was more decrease by vitamin D3 and RA. Mineralized nodule formation revealed similar expression pattern with positive cont rol group at vitamin D3 and RA mixed add to MSC. At vitamin D3 and RA mixed add to MSC after 7 days of incubation was increase G1 s tage. after 21 days of incubation was inhibit cell cycle prog1'ess by inc1'ease of sub-G1 Treatment vitamin D3 to MSC inhibits p53 and p21, but inc1'ease pRb. RA inhibit p53, but increase p21 and pRb, vitamin D3 plus RA group was same as added RA group. so two vitamin was effect to inhibited cell growth each different mechanism. Expression of BMP-2 protein was prominent in osteogonic supplement treated g1'oup of MSC at 2 weeks cultivation days, but vi tamin D3 treatment decreased BMP-2 expression rather than in (+) control group. BSP protein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OS compa red to positive controls at 2 weeks cultivation, but similar to that of vitamin D3 group t1'eatment group and was least expressed in plus RA mixed group, at 3 weeks, BSP expression was similar to 1'esult of 2 week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s that vitamin D3 and RA have diffe1'ential effects on the MSCs g1'owth and differ entia tion 211
        4,000원
        4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etal bovine serum (FBS) on the growth of insect cells and the multiplicity of viruses, the growth of cells (Sf21 and Bm5) and viruses were examined on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FBS. In view of the viability, growth speed, proliferation of cells and the amount of FBS, the most proper concentration for the cell culture were 7% and 5% for Sf21 and Bm5, respectively. The multiplicity of viruse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FBS was similar in both cell lines at 5 days post-infection (p.i.). However, it differed significantly at 2 and 3 days p.i. The proper concentration of FBS were 10% and 3% for Sf21 at 2 and 3 days p.i., respectively, and 5% for Bm5 at both 2 and 3 days p. 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BS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d cell lines and viruses for their optimum production.
        4,000원
        49.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D/SCID 마우스는 선천성 면역결핍을 지닌 마우스로서 이종 세포 및 조직 이식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돼지의 골수조직에서 채취한 조혈줄기세포를 면역결핍마우스의 정맥 주입을 통하여 생체 내 주입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의 조혈조직에서 대단히 높은 돼지 T 면역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해 돼지 골수 조혈세포 생체 이식 6주의 마우스에서의 돼지 T 면역세포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마우스 조혈조직인 골수(5.4±1.9%), 비장(15.4±7.3%), 간(21.3±1.4%), 림프절(33.5±32.8%)에서 돼지 조혈줄기세포 유래 T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관찰되었고, 돼지 helper T 세포와 cytotoxic T 세포의 발달도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면역염색을 통하여 마우스의 비장조직에 이식한 돼지 면역세포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NOD/SCID 마우스를 이용해 돼지 조혈줄기세포로부터 T 면역세포로의 분화 및 발달과정을 생체 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동물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50.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ly we have s hown that fï brob last• growth factor-2 (FGF-2) and dexamethasone (Dex) in combination strongly stimulate both p l 이 i fe rati o n a nd differe nt 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nto osteoblasts and adipocytes, In the present s tudy we invesL igaLed whether inhibition 01' FGF-2 and Dex-induc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derived s Lem cells (BMSCs) by GW9662, an antagoni s t of p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l γ (PPARy) which plays a key role in ad ipogenic differentiation , enhances proliferat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BMSCs Proliferation 01' BMSCs t reated wi 네 FGF-2 a nd Dex was further increased by GW9662 up to 9,7, 10,6, and 7,2% at 3, 5, and 7 days of cul Lu re , Expansion of BMSCs with FGF-2, Dex and GW9662 followed by osteoblastic different iation showed that osteoblas tic differentiation 01' BMSCs was in creased by 37 % (p=O, 01) compared to those expanded with FGF-2 and Dex, ln contrast , ad i pogenic di fferenti a tion of FGF-2 and Dex-expanded BMSCs was substantially reduced to 14% (p=O, 036) by GW9662, Taken toget her , these resul ts demonstrate that FGF-2 and Dex in combination with GW9662 f ur t her stimu late proliferation 01' BMSCs and those cells expanded with these factors acquire enhanced potentiaIs to be dif ferentiated i n to osteoblas ts
        4,000원
        5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ithelium maintains homeostasis by the signaling balance of growth stimulation and inhibition. Recently, loss of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TGF-β) on epithelial cells is regarded as a possible mechanism of cancer. Although the genomic mutation in type I and type Ⅱ receptors of TGF-β is considered one of important mechanism of these inactivation, there might be another inactivation mechanism because the mutation rate is relatively low and inhibitory effect is not associated with the mu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controlling mechanism type Ⅱ receptor of TGF-β by detecting effects of TGF-β on growth inhibition and on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 p21CIP1. Eight cancer cell lines derived from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 were examined. There was no growth inhibition effects by TGF-β except YD-8 cells. YD-8 cells which showed growth inhibition expresses p21CIP1 by TGF-β whether refractory cell lines, YD-9, did not. All of the tumor cells express mRNA of type Ⅱ receptor by RT-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especially on YD-8 and YD-17M. From these results, most of oral cancer cell lines might loos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by TGF-β, and the growth inhibition on YD-8 cells was mediated by expression of p21CIP1.
        4,000원
        5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생쥐 고환으로부터 얻은 세포를 배양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AP, SSEA-1, -3, -4과 Integrin 6, 1 및 Oct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2.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3-5일정도 배양하게 되면,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군집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생쥐 배아줄기세포나 배아생식줄기세포의 형태와 같은 것이었다. 3.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체외에서 효과적으로 분리, 배양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4,000원
        5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이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분리한 용매별 획분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spore rec assay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의 증식에 대한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pore rec assay에서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의 돌연변이성을 61% 정도 억제하였으며,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었던 활성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획분 중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강한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에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50㎍/ML와 100㎍/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 억제율이 100%에 달하였고 감잎의 에틸아세테이트 획분도 사람의 결장암 세포 (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 (AZ-521)에 대해 클로로포름 획분 다음으로 강한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헥산 획분도 이들 두 획분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보다는 낮았으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항돌연변이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5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6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눈물분비 부족 및 접액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상 의 해소와 하드 콘택트렌즈의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인공누액(Artificial Tears) 10종 류와 렌즈 세척 후 행꿈과 습용 및 안구 세척에 이용되는 둥 가장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인 생리식염수(S머ine) 7종류를 배양 생쥐섬유모세포(L929 cell)에 25%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Reader(multi 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MTT와 SRB Assay로 세포증식 저해 정도률 검정하였다. MTT Assay 결과, 인공누액의 경우 10종류 중 6종류 제품에서, 4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 가 나타났으며 식염수에서는 7종류 중 3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를 나타 냈다. SRB Assay결과, 인공누액 5종류에서 60% 정도의 세포중식의 저해와 식염수 3 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인공누액과 식염수에서 L929 세포중식올 저해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