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

        6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수방류수 재이용을 위한 RO 전처리로 부유물질 및 콜로이드 물질의 제거를 위해 가압식 MF를 사용하였다. 남양주 J 하수처리장의 생물학적 처리와 모래여과를 거쳐 방류되는 방류수를 원수로 사용하였으며 100 톤/일 규모의 pilot plant를 1년 이상 운전하여 성능을 검토하였다. 가압식 MF에 의해 원수 수질 및 온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flux 40 LMH 운전이 가능하였으며 전처리로 응집제를 넣어 용존 유기물을 응집할 경우 60 LMH 운전이 가능하였다. RO 공정에서 장기간 정지 이후 운전을 재개하였을 때 1단 pressure drop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배관 내 형성된 유기물과 이온물질의 복합오염물질이 1단 RO막에 침적된 결과로 사료된다.
        4,000원
        6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SIA)은 생태학 및 환경학적 측면에서 유기물의 기원 추적 및 생지화학적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유용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C, N, S, H, O 등의 원소는 모두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를 가지고 있으며, 동위원소 조성비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위원소 조성비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반응을 통한 분별작용으로 인하여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변경된다. 더 나아가 안정동위원소 기법은 생태와 환경 학문에서 유기물의 기원을 밝히고, 생태계내 먹이망 구조를 밝히고, 영양염 등의 질산염 순환을 이해하고, 동물의 이동경로를 밝히고, 오염원을 추적하는 등 매우 강력한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태학 및 환경학 분야에서 안정동위원소의 활용이 매우 유용하다.
        5,100원
        6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중인 여섯 가지 종류의 코이어 자루배지에 세 가지 전처리 방법을 실시하고,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액을 분석함으로써 경제적이며 간단하게 칼륨과 나트륨을 제거할 수 있는 전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2차에 걸쳐 실험을 수행했다. 1차 실험에서는 시판중인 코이어 자루 중에서 전처리가 되었고, 농가에 많이 보급된 6가지 배지를 선정하여, 7일간 물로 씻는 처리(W7S0), 물로 3일간 씻고 배양액으로 4일간 씻는 처리(W4S3), 배양액으로 7일간 씻는 처리(W0S7)의 세 가지 전처리를 했다. 2차 실험에서는 Bio Grow와 coco Mix 배지를 대상으로 1차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현성을 확인했다. 실험결과 pH의 안정화에 좋은 전처리 방법은 W4S3 처리와 W0S7 처리였다. EC는 세 처리 모두에서 4일차가 되면 공급 EC와 같은 1.0 이하로 안정되었다. 배액의 이온은 W7S0에서는 처리 3~4일 이후에 안정화 되지만 대부분의 이온들이 용탈되어 Ca와 Mg의 부족이 발생했고, 4일 이상을 씻는 것은 물의 낭비로 판단되었다. W0S7에서는 배지의 안정화는 W4S3 처리와 유사했으나 배양액으로 7일간 씻어주는 것은 경제적으로 손실인 것으로 사료된다. 두 가지 배지를 사용한 재현성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농가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간단하고 경제적인 전처리 방법은 물로 3일간 씻어준 후 배양액으로 1일간 포수시킨 후에 정식하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n efficient microbial source of cellulase enzyme system, cellulolytic fungal strain was newly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samples in the present study. The crude enzyme extract of this fungal strain, avicelase, CMCase and β-glucosidase activities reached the maximal points of 6.73, 3.22, and 5.64 units/mL, respectively and was used for the subsequent enzymatic saccharification on pretreated deproteinised and lipid-extracted rice bran.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sp. determined by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Three different pretreatment conditions were evaluated on the deproteinised and lipid-extracted rice bran at 121oC/1.5 psi for 5 different residence times: one with 0.1 N sulfuric acid, another with 0.1 N sodium hydroxide, and the last with distilled water. The greatest enzymatic saccharification yield increased up to 75.2% from acid-catalyzed autoclaving pretreatment for 30 min. The acid-catalyzed autoclaving pretreatment enhanced the saccharifying ability of the newly isolated cellulolytic fungal strain on the deproteinised and lipid-extracted rice bran.
        4,000원
        65.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n increased produc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PCBs) in electronic equipment, the consumption of solder alloys is growing globally. Recently, increasing importance of recycling solder scrap has been recognized. Generally, solder scrap contains many impurities such as plastics and other metals. Hazardous components must be eliminated for recycling solder scrap. The present work studied pretreatment for reuse of solder scrap alloy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cleanliness of solder scrap melt and eliminate impurities, especially lead. Physical separation with sieving and magnetic force was made along with pyrometallurgical methods. A small decrease in lead concentration was found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 of solder scrap melt. The impurities were removed by filtration of the solder scrap melt, which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melt cleanliness. A very low concentration of lead was achieved by a zone melting treatment with repeated passage. This study reports on a pretreatment process for the reuse of solder scrap that is lead free.
        4,000원
        66.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 함량 이소플라본 생산을 위한 대두의 침지, 발아조건 및 청국장 발효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대두의 침지와 발아조건은 대두를 25.6oC에서 7 hr 침지 후 29.1oC에서 42.4 hr 발아 시 이소플라본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다. 또한 고함량 이소플라본을 얻기 위한 청국장 발효 최적 조건은 온도 39.96oC, 접종량 1.32%, 42.4 hr 이었다. 최적조건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2,544 ppm으로 대조구(1,960 ppm)보다 약 1.3 배 향상되었다.
        4,000원
        6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troleum pitch-based activated carbons (ACs) were obtained in this work from a combination of pretreatment with different amounts of potassium permanganate (KMnO4) and chemical activation with potassium hydroxid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pitch after the KMnO4 pretreatment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itch after the KMnO4 pretreatment were determin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The influence of the KMnO4 treatment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 petroleum pitch-based AC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N2/77K adsorption isotherms. The investigation also involved the use of the Brunauer-Emmett-Teller equation and the Dubinin-Radushkevich method. The FT-IR results show that the pretreatment promotes the formation of surface oxygen functionalities and leads to an increase of the interplanar distance (d002) of the functional groups induced between carbon layers. Moreover,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itch-based AC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KMnO4 pretreatment and reaches its highest value of 2334 m2/g with 2 g of KMnO4 because the surface oxygen groups of the pitch act as an active site during chemical activation.
        3,000원
        6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 후 몇가지 전, 후처리가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벌 개비취를 상품성이 있는 절화로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확 후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50mg·L−1 BA와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150mg·L−1 citric acid 용 액에 16시간 동안 전처리한 경우 증류수구보다 절화수 명이 1.4배 길어졌다. 3% sucrose + 200mg·L−1 HQC + 50 mg·L−1 AgNO3+ 50 mg·L−1 BA와 3% sucrose + 200mg·L−1 HQC + 50mg·L−1 AgNO3+50mg·L−1 GA3 보존용액에 계속 침지한 벌개미취는 증류수에 비해 절 화수명이 1.6배와 1.7배 길어졌다. 이 처리에서 생체중 이 증가되고 수분균형도 늦게까지 플러스 값을 유지하여 절화수명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벌개미취 절화수명에 생체중과 수분균형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아이리스의 노화와 절화수명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이러한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STS 전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아이리스는 1mM STS 용액에 30분간 전처리한 후 0, 3mL·L−1 의 에틸렌에 24시간 노출시켰다. 봉오리 상태 에서 절화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STS 전처리후 에틸렌 에 노출된 것은 4.2일, 에틸렌에 노출되지 않았던 꽃은 4.6일 이었다. 반개화 상태에 수확한 아이리스의 절화수명 은 STS 전처리에서 길었다. 그러나 에틸렌 노출에 의해 서는 수명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절화 아이 리스는 외생 에틸렌에 민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봉 오리 상태에서 수확한 절화는 완전한 개화가 유도되지 않 고 노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정도 개화가 진전된 꽃을 수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7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treatment of eliminating FFA is needed to make biodiesel from animal fat recovered from leather wastes because its acid value is hi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4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which are heterogeneous catalyst method, ion exchange resin method, low pressure.high temperature method, and alkali method on the eliminating FFA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eliminating FFA increased in the order of alkali method > catalyst method > low pressure high temperature method > ion exchange method. In the case of pretreatment of alkali method using NaOH, the rate of eliminating FFA appeared more than 86% regardless of acid valu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alkali method using NaOH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view of economical and productive aspects, taking it into account that the acid value of animal fat recovered from fleshing scrap generated during leather making processes was 7 to 8.
        4,000원
        7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러스, 반수체, picloram, 전처리양식을 규명할 목적으로 배양효율에 미치는 화분발육 단계와 온도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Dreamland’의 감수분열중인 약을 현 미경적방법으로 검경하여 본 결과 화뢰의 길이가 23.0-24.9mm는 tetrad 단계이었고 25.0-26.9mm는 uninucleate 단계, 27.0-28.9mm에서는 binucleate 단계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및 고온 온도처리 결 과는 전체적으로 캘러스 및 배 발생율은 저조하였고 특 이한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Microgametogenesis 단 계별로 약배양 효율을 조사한 결과, late uninucleateearly binucleate 단계인 23.0-28.0mm에서 17.8% callus가 유도되었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6.7%로 나타 나 적정 배양 stag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된 캘 루스를 picloram과 zeatin을 혼용한 MS 배지에 이식 하여 25oC에서 배양하여 식물체를 얻었다.
        4,000원
        72.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treatment for substrate was carried out in change of gun pressure of bar using wet blasting. The size of powder was about . As the results, the surface roughness of cemented carbide substrate was improved with increment of gun pressure of wet blasting. A new surface layer was formed and Co particles we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after pretreatment. The adhesion of the pretreated substrate in same PVD-TiAlN film was improved and in approximately shown the best adhesion value.
        7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아미드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염색폐수를 처리하였다. 염색폐수를 멤브레인 공정에 적용하기 전에 알럼, 페릭 클로라이드, HOC-100와 같은 화학응집제를 이용하여 먼저 처리하였다. 이러한 전처리가 분리막에 의한 폐수처리 공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최적의 응집/침전 조건을 찾았다. 사용된 모든 응집제에 있어서, 전처리된 폐수의 COD와 UV-흡수도는 약 70% 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렇게 전처리된 폐수를 다시 분리막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전처리 시 사용된 응집제들이 분리막 공정에서 어떻게 분리막 오염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HOC-100가 폐수 내에 존재하는, 분리막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 제거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