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and range of motion for measurement of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to compare anterior glide distance of humeral head in three methods. Fifty healthy subjects and fifty patients with shoulder musculoskeletal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by visual estimation, manual stabilization, and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s. In two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two examine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3,1))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hree methods was excellent (ICC=.77~.93) in both group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was poor (ICC=.20, .29), the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was poor and fair (ICC=.09, .50), and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excellent (ICC .86, .75)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of examined range of motion by each examiner was significant in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and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but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pressure biofeedback unit was better than the other methods. The difference in distance of the anterior glide of humeral head was insignificant among all the method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the most reliable method, so it is proposed to be a new and reliable method to measure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제품 사용자의 감성 측정 연구에 있어서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에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초기 감성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은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는 심리적 측정방법과 생리신호를 이용하는 생리적 측정방법, 그리고 행위적인 반응을 측정하는 행위적 측정방법이 있다. 하지만 각 측정방법들이 초기 감성 측정에 활용될 경우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초기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초기 감성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고, 이에 부합하는 감성 측정 방법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IEMS)을 제안하였다. 시선 추적 및 동공 크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모바일 시선 추적 장비를 활용하였고, 행동 관찰을 위한 관찰 카메라와 음성 녹음을 위한 휴대용 음성 녹음기를 결합하여 생리적, 행위적 감성 반응이 측정 가능한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제품을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 첨가량을 3.7-11.7%로 조절한 생식음료의 분산안정성을 터비스캔을 사용하여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생식음료는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음료 하부에서는 침전이 생성되어 후방산란광플럭스(이후 후광플럭스로 약칭)가 강해진 반면, 중간부에서는 청징현상에 의해 약해졌으며, 최상층부에서는 거품이 생성되어 다시 강해졌다. 생식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침전이 서서히 진행되었으며 전체 침전층은 두텁게 형성되었다. 침전에 의한 후광플럭스의 퍼센트변화율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로그 모델이 적용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979-0.988로 높은 값을 보였다. 생식 첨가량은 생식음료의 상층부에 형성되는 청징층과 하층부의 침전층의 경계면, 즉 청징층 선단의 이동속도 뿐 만 아니라 분리된 층의 수에도 영향을 미쳤다. 생식 첨가량 3.7%의 경우는 2층으로, 5.7-9.7%의 경우는 3개 층으로, 11.7%는 4개 층으로 분리되었다. 생식음료 제조 후 17-29분 사이에 1차 청징층 발생이 시작되었고 22-53분간 지속되었으며, 생식첨가량이 낮을수록 청징층 두께는 증가하였다. 청징층 발생은 생식 첨가량 7.7%인 음료에서 가장 늦게 나타나 최대 분산안정성을 보였다.
목적: 전면이 평면인(γ=∞) 하드코팅 된 렌즈에서 코팅박막의 두께와 굴절률을 박막의 손상없이 측정한다. 방법: He-Ne 레이저를 박막에서 도파되도록 렌즈로 집속시켜 Gadoliniun Gallium Garnet(G.G.G.) 프리즘에 입사시키고 입사된 광의 고유모드 중 일부가 도파관을 새어나가서 m차 line(m은 정수)으로 관측되도록 장치하였다. 이 line들 사이의 떨어진 거리를 광 검출기로 측정하는 prism-film coupler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결과: TE(transverse electric) mode에서 박막두께는 약 2.42 ㎛, TM(transverse magnetic) mode에서는 약 2.55 ㎛로 평균 약 2.49 ㎛로 측정되었고, 굴절률은 두 mode에서 약 1.60으로 같은 값을 얻었다. 결론: 이 값(2.49 ㎛)은 전자현미경(SEM)으로 측정한 두께와는 5.5%의 오차를 나타냈다.
기업 인력의 e-Business 적용 능력은 e-Business 환경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Business 인력의 측정도구, 측정체계 및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e-Business 인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6 개의 측정항목을 갖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적용성과 활용성은 실
버섯 재배에서 배지살균은 종균의 순수배양 및 배지내 버 섯균의 우점을 통하여 재배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작업 이다. 버섯 배지의 살균방법은 재배형태에 따라서 다르다. 느 타리, 양송이 등 간이재배사를 활용한 균상재배는 65℃ 저 온살균을, 미강, 밀기울, 건비지, 면실박 등 질소함량이 높 은 재료를 영양원으로 사용하는 병재배나 봉지재배는 주로 121℃ 고압살균 또는 100℃ 상압살균을 하고 있다. 고 압살 균이나 상압살균에서 살균기의 노후, 온도센서의 부정확, 스팀보일러의 용량부족 등의 경우 배지내부는 일정 온도까 지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인으로 배 지가 변질되면 버섯균은 배양, 발생, 생육 기간이 오래 걸리 며 수량과 품질이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버섯 배 지살균시 배양병 내부의 온도변화와 121℃ 또는 100℃ 유 지 시간을 조사하였다. 버섯배지의 살균온도를 측정하기 위 하여 iButton Temperature Data Logger DS-1922T (Co. Maxim Dallas) 제품을 사용하였다. 본 기기의 온도측정 시 간을 1분 간격으로 설정하여 배지의 내부에 삽입하고 살균 을 실시하였다. 살균이 끝난 후 꺼내어 USB Adapter DS- 9490R과 Reader DS-1402D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 고 1-Wire Viewer 프로그램으로 측정온도를 분석하였다. Autoclave는 10년간 사용한 60리터들이 HS-60(1999년 도 구입)과 3년간 사용한 HB-506(2006년도 구입)을 비교 하였다. 배지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액체배지는 삼각플라스크(250㎖용)에 100㎖과 바이알병(500㎖용)에 500㎖을; 톱밥배지는 시험관(직경30㎜)에 70㎖ 용량, 삼각 플라스크(250㎖용)에 200㎖ 용량, 850㎖ PP병, 1100㎖ PP 병을 Autoclave HB-506으로 121℃에서 살균하였다. 또한 살균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900병들이 고압살균기를 사용 하여 850㎖ PP병의 톱밥배지를 121℃ 고압살균, 100℃ 상 압살균, 65℃ 저온살균을 각각 실시하였다. Autoclave의 사 용연한에 따른 성능 비교에서 3년간 사용한 HB-506은 설 정온도, 계기판의 표시온도, 센서의 측정온도 간에 차이가 없 었으나 10년간 사용한 HS-60의 경우 표시온도 121℃에서 측정온도는 2℃가 낮았으며 이 자료를 근거로 수리를 실시 한 후에는 문제가 없었다. Autoclave의 살균시간 설정은 액 체배지 100㎖를 담은 250㎖들이 삼각플라스크는 20분간, 액체배지 500㎖ 바이알병은 25분간으로 충분하였다. 톱밥 배지를 충진한 직경 30㎜ 시험관은 25분간, 250㎖들이 삼각 플라스크는 40분간, 850㎖ PP병은 90분간, 1100㎖ PP병은 95분간으로 살균시간을 설정하였을때 배지 내부는 121℃로 18~20분간을 유지하였다. 또한 스팀보일러와 고압살균기 를 사용하여 고압살균, 상압살균, 저온살균 등 살균방법을 달 리하였을 때 고압살균의 121℃와 상압살균의 100℃ 유지에 문제가 없었으나 65℃ 저온살균시에는 배지의 온도가 80℃ 까지 오르며 불규칙적이어서 저온살균은 실시할 수가 없었 다. 본 실험은 고온고압에 견디며, 배지에 삽입하여 온도 측 정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여 살균기의 종류, 배지 의 종류와 용량, 살균방법별로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배지 의 온도변화와 살균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방법과 결과는 버섯 재배현장에서 응용함으로써 알 맞은 배지 살균으로 버섯의 안정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optimization steps with weight and importance of estimated characteristic values in the multiresponse surface analysis(MRA). The research introduces the shape parameter of individual desirability function for relaxation and tighening of specification bounds. The study also proposes the combinded desirability function using arithmetic, geometric and harmonic means considering the measurement unit and numerical pattern.
본 연구는 국내에 적합한 지불규정을 도입하기 위해 아스팔트 포장의 품질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불규정은 통계이론을 바탕으로 포장의 품질을 결정하여 시공비용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지불규정을 적용하는 미국 대다수의 주에서는 고유의 품질테이블을 이용해 PWL(Percent With in Limit)을 산정한다. 따라서 미국 South Carolina에서 적용중인 품질측정테이블을 사용한 PWL과 통계분석방법에 기초한 확률이론의 비교분석을 통해 PWL의 국내 적용여부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시험포장구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이론을 이용해 산출한 확률값과 PWL을 미국AASHTO에서 제시한 지불계수(Pay Factor)에 대입한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확률값 도출을 위한 Z-Value산출과정에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해 계산한 확률값 역시 PWL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또한 현행 아스팔트 포장의 시방규정을 만족하지만 표준편차가 큰 가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불계수를 산정한 결과 데이터의 평균값은 현행 시방규정에 만족하지만 지불계수는 100%이하로 산정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WL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균질하고 성능이 우수한 품질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국내실정에 접합한 품질측정테이블을 개발하여 PWL을 국내 지불규정의 품질측정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rganic acids in ambient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IC. Most of organic acids showed high linearity (r²>0.999)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good repeatability (RSD<10%). The detection limit of organic acids was about 7 pptv.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ranged from 0.43~1.74 ppbv, formic acid was ranged from 0.28~1.85 ppbv. Since the organic acids are one of odor compound species with instant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ffected easily by weather, continuous analysis method is better than intermittent method to determine these compounds.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 and IC.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nalyze for 4 compounds (MEK, MIBK, n-Butyl acetate, i-Butyl alcohol) in ambient air using on-line thermal desorber (on-line TD) with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These compounds will be regulated by K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ithin 2010. We tested two different experimentation. First, we try to find the influence of Nafion dryer for the 4 compounds. Second, we want to know basic analytical characteristic of target compounds through the linearity, reproducibility, and minimum detection limit. According to this study, target compounds are removed in Nafion dryer more than 80 percent, respectively. So, we progressed next experimentation progressed without Nafion dryer using hydrophobic cold trap. Results for each compounds showed good linearity (r²=0.99 upper) and good precision (RSD=1 % below). In additional, we analyzed the ozone precusors standard gas (56 compounds) using the same method to see if there are any peaks to be overlapped in ambient ai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peak overlapped. This means that analytical system of this study could be used on-line analytical system. Minimum detection limit (MDL) value for this system are less than minimum malodor threshold concen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soy products such as chungkukjang, meju and doenjang with soybeans. Total phenolic,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soy and fermented products were compar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alpha-diphenyl-2-picryl-hydrozyl (DPPH) radicals scavenging effects, ferric /reducing power (FRAP), inhibition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and tyrosinase activitie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increased in soybeans after fermentation. Fermented soy products also displayed enhance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non-fermented soybeans. There wer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of the samples. Overall, the fermented soy products showed a bet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soybeans. Among the 3 kinds of fermented soy products, chungkukjang, meju and deonjang, doenjang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PPH-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power, inhibition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and tyrosinase activities. The fermented soy products with longer fermentation time demonstrat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in the order of doenjang > meju > chunghlkjang> soybeans.
We have developed a tool for measuring optical aberrations of telescope. We adopt curvature sensing technique and use the least square method for finding the amplitudes of the Zernike polynomials. This tool runs under the PC Linux system and the PC windows system with Linux emulators such as Cygwin. The program for UNIX system is used for optical alignment of 1.8M optical telescope at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ical Observatory (BOAO) and the PC based program is used for the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 wide field telescope (named NEOPAT-3). Our tool is found to be efficient for precise measurement of the optical aberrations of telescopes.
안경자와 동공거리계에 의한 PD 측정방법 중 어느 방법이 동일한 피검사자에 대 해 측정자가 바뀌더라도 더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검사자는 안경자를 주로 사용하여 PD를 측정해온 집단(경력 2년 이상)과 동공거리계를 주로 사용해 온 집단(경력 2년 이상), 그리고 두 가지 측정방볍 모두에 경험이 많지 않은 집단(경력 3개월 미만)의 세 검사자 군으로 나누어 원용 및 근용의 단안 PD와 양안 PD를 각각 측정하였다. 원용(양안, 단안)과 근용(양안, 단안) 모두에서 동공거리계를 사용하여 PD를 측정 할 때가 안경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측정자에 따른 일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두 측정방법간의 일관성의 차이가 작고, 두 방법 모두 PD 측정값이 평균 을 중섬으로 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안경원 실무 경력 2년 이상의 집단과 3개월 미만 집단과의 비교에서는, 경력 2년 이상 집단의 일관성이 두 측정방법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안경자 사 용시가 동공거리계를 사용할 때 보다 두 집단간의 일관성 차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남자 검사자 집단이 남자 피검사자의 PD를 측정한 동성 간의 PD 측정이 여자 검사자 집단이 남자 피검사자를 측정한 이성간 PD 측정시 보 다 일관성이 더 높았다. 하지만 안경자의 경우 근용 PD 측정시에는 옹성간 측정과 이성간 측정과의 일관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