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12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and identify Salmonella species from poultry slaughterhouses and pork meat processing plant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7 to August 1998, and analyze resistanc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plasmid profiles of isolated Salmonella strains. A total of 15 Salmonella strains was isolated from poultry carcasses, swine carcasses, pork meats and cutting boards. Identified Salmonella strains were S. typhimurium, S. heidelberg, S. hilingdon, S. mbandaka, and S. virginia. Ten (66.7%) of 15 Salmonella strains showed resistance to antimicrobial agents and five strains (33.3%) of them were resistant to two or more antimicrobial agents. Plasmids were isolated from three Salmonella isolates which had two or more plasmids.
        4,000원
        12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mount of S. typhimurium during cooking processes using pork and japchae (a Korean food which is made from meat, vegetables and noodles), and to support a practical application to develop 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odel. The pork was purchased in a retail shop, cut (0.5 cm × 10 cm × 10 cm, 25 g), tested for Salmonella contamination (results : negative), inoculated with S. typhimurium (10^7 CFU/g), then treated in various conditions related to cooking. After thawing for 24 hours in various condition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was increased to 10^(10) CFU/g at a refrigerated temperature (4-10℃), and to 10^(21) CFU/g at room temperature (22-29℃). After thawing in a microwave oven for 40 second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to l0^8 CFU/g. During the thawing period,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over time. At the refrigerated temperature, the number of the bacteria was 10^(10) CFU/g after 24 hours, 10^(13) CFU/g after 48 hours, and 10^(20) CFU/g after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 number of bacteria reached 10^(11) CFU/g in 2 hours, 10^(15) CFU/g in 4 hours, 10^(16) CFU/g in 8 hours, 10^(18) CFU/ g in 12 hours, and 10^(21) CFU/g in 24 hours. After cooking in a frying pan (150±7℃) for 3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6 CFU/g. After cooking in hot water for 20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7 CFU/g at 60℃, 10^6 CFU/g at 63℃, and 10⁴ CFU/g at 65℃. The fried pork was mi×ed with cooked vegetables, noodles, sesame oil, sesame seeds, and seasonings to make Korean japchae. This process took 10±2 minutes. The bacterial count in the japchae increased to 10^7 CFU/g from the count of 10^6 CFU/g of the fried pork before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S. typhimurium is effected by various different cooking processe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pork should be cooked in water at over 65℃ for 20 minutes in order to prevent food poisoning, if the pork is contaminated with S. typhimurium. The presence of S. typhimurium in the raw pork is identified in an HA for japchae, and the primary CCP for japchae is inadequate cooking (cooking method and time/temperature). We need to standardize time-temperature-size and amount of pork in cooking japchae, because pork is usually cooked in ordinary frying pans when we make this food.
        4,000원
        12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pork fabrication processing were examined for isolation and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Three hundred thirt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loves, knife sharpeners, knives, cutting boards, conveyer belts, skinning machines, working room air, pig carcasses, and cut meat. Among the 234 samples taken from processing environment, the isolation rates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Listeria spp. were 17.5%, 34.2% respectively. Isolation rates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ifferent specimens during processing were 20.8% in gloves, 21.3% in knife sharpeners, 14.6% in knives, 20.8% in cutting boards, 28.6% in conveyer belts, 16.7% in skinnig machines.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Listeria spp. were not detected in working room air. Isolation rate of Listeria monocytogenes 14.6% in pork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8.5% in pig carcasses (p$lt;0.05). The serovars of 41 isolates from processing environment were 4b 36.6%, 1/2a 24.4%, 4ab 17.0%, 4a 4.9%, 1/2c 2.4%, and 4c 2.4%. The serovars of 4b, 1/2a, 4ab were detected from carcassess and cut meats.
        4,000원
        130.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Cook/chill system으로 생산 가능한 음식으로 돼지 불고기를 선정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급식생산체계를 반복 실시함으로서 식품 위해 분석 중요관리점(HACCP)을 규명하고, 저장기간중의 음식품질 평가를 통해 합리적인 저장기한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불고기는 냉동상태로 운반되지 않아 온도상승이 일어난 검수 단계를 제외하면 각 생산 단계별 기준이 준수된 양호한 상태 하에서 생산된 것으로 나타난다. 생산단계별 미생물 분석결과, 원재료($4.26{\pm}0.11\;Log\;CFU/g$)에서 중온균수가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 이내이나 다소 높게 나타났고, 양념장($5.97{\pm}0.04\;Log\;CFU/g$)에서는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양념으로 재우는 과정($5.56{\pm}0.21\;Log\;CFU/g$)도 위험 수준이었다. 가열 조리 후 최종 음식온도가 $8.25{\pm}3.54^{\circ}C$에 도달하였으나 중온균수($5.17{\pm}0.04\;Log\;CFU/g$)가 급식 단계 음식기준을 초과한 위험한 수준이었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급속 냉각과 저장 1일, 3일, 5일 동안도 중온균수가 급식단계 음식 기준에 근접한 위험한 상태였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재가열 처리에 의해 저장 1일($4.62{\pm}0.22\;Log\;CFU/g$), 3일($4.55{\pm}0.20\;Log\;CFU/g$), 5일($4.25{\pm}0.16\;Log\;CFU/g$) 모두 중온균수는 감소하여 급식단계 음식기준에 충족한 상태가 되었다. 배분 3조건에서도 급식단계 음식 기준 이내에 들었다. 저장 5일간 이화학 분석 결과 pH, 산가, 휘발성 염기 질소 모두 저장 5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티아민 정량 분속 결과 ,가열 전의 티아민 함량을 100%으로 했을 때, 가열 후에는 78.6%로 손실이 일어났으며, 냉각과 저장 1일, 3일은 티아민 손실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5일에는 티아민이 현저히 저하되어 62.5% 보유에 그쳤다.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와 티아민 함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돼지불고기의 저장기한을 3일로 제안하며, 생산 단계별 온도-소요시간 측정 및 미생물 분석을 통해 규명된 중요관리점은 돼지고기와 양념장재료인 파, 마늘, 생강의 구입 및 검수, 가열조리, 냉각, 저장, 재가열과 배식단계였다.
        4,500원
        132.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ontrol the maximum residue level (MRL) for sulfamethazine (SMZ) residues in pork tissue, a microbial inhibition method is a regulatory screening assay method in Korea. Microwell plate-based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ELISA) kit is available for routine screening of SMZ residues in pork tissue. One ELISA kit is evaluated. Phosphate buffer extracts of samples fortified with SMZ at 0, 1, 5, and 10 ng/g were used in a recovery teat of the kit. Market pork samples were assayed by the kit. Recovery of sulfamethazine was 104% at 10 ng/g. Intraassay variations and interassay variations for the kit were 7.70% and 5.76%, respectively. Concentration causing 50% inhibition of color development compared with blanks was 16.4ng. The violative pork samples with over MRL (0.1 ug/g) was 4 of 32 cases (12.5%) by used ELISA kit. This result indicates a possibility of the ELISA kit for screening test of SMZ residues in pork tissue, and still needs a comfirmatory assay for mandatory purposes.
        3,000원
        133.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산전분과 미생물이 생산하는 biopolymer를 사용하여 smoked pork sausage를 제조하고 이들이 소시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계적 물성의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SA, SB, SC 모두 유의적으로 적었고, 응집성은 초산전분 단독으로 0.6%첨가한 시료 SA가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점착성은 biopolymer을 첨가한 시료 SA와 SC가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탄성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작게 나타났다. 껌성과 씹힘성은 4가지 시료 모두가 서로 유의적으로 다른 값을 가지므로써 초산전분과 biopolymer는 껌성과 씹힘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물성의 상관관계에서 경도는 탄성, 껌성, 씹힘성과 서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점착성과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절곡시험에서 초산전분 0.6%를 첨가한 시료 SB가 가장 좋았으며, VBN 함량은 biopolymer와 초산전분을 함께 첨가한 시료가 대조구에 비해 약 65% 정도 적게 생성되었다. 관능적 물성의 기호도 조사 결과, 껌성은 biopolymer을 첨가한 시험구 SA와 SC가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고 (p<0.001), 소시지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부서짐성과 씹힘성, 그리고 껌성이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biopolymer를 첨가한 시료가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p<0.001). 전체적인 기호도의 상관관계에서는 관능검사의 씹힘성과 기계적 물성의 껌성이 서로 유의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000원
        135.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38.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민 영양평가 및 정책 수립에 근간이 되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해 농촌진흥청과 국립축산 과학원이 공동으로 국산 돈육의 대표 시료를 선정하고 부위별로 신뢰성이 확보된 vitamin B12 함량 데이터 구축을 위해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한 연구이다. Immunoaffinity-HPLC 분석법을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분석수행특성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AOAC 가이드라인 수용기준에 충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시료 분석 시 in-house QC sample을 분석한 결과 QC chart의 관리한 계선 안에 포함이 되어 본 연구 기간 동안 수행된 모든 시료 분석이 관리하에 정확성과 정밀성을 나타내는 분석값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7개 primal cut과 이들로부터 세분화된 22개 retail cut의 vitamin B12 함량 분석 결과 주요 부위(평균 0.42-0.69 μg/100 g) 뿐만 아니라 같은 부위 안에 서도 세부 부위에 따라 vitamin B12 함량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삼겹살과 목심 부위에서 vitamin B12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부위에서는 삼겹살 부위의 토시살이 0.98 μg/100 g로 최고값을 보였고, 등심 부위의 알등심살과 뒷다리 부위의 홍두깨살이 0.33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Vitamin B12 함량은 돈육의 부위별 단백질 함량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지방 및 수분 함량과는 유의 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국내산 돈육의 부위별 vitamin B12 함량 데이터는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데이터로 국가표 준식품성분표 개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9.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한 해동기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수행되었다. 초음파 해동기는 132, 580 및 1,000 kHz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로 제작하고 돈육을 일정한 크기로 정형하여 -80℃에서 냉동한 후 제작된 해동기를 이용하여 해동 성능을 분석하였다. 해동속도 비교에서는 초음파를 가하지 않은 접촉식해동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행해지는 유수식 해동과 유사하게 20분가량이 소요되었으나, 초음파를 가했을 경우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해동시간이 단축되어 1,000 kHz 에서는 6분 만에 해동이 완료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해동 후 품질변화에 대한 분석에서는 재작된 초음파 해동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유수해동에 비하여 드립으로 인한 해동감량이 0.5%가량 증가하였지만 pH, VBN 및 TBA 값과 같은 화학적 특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호기성 미생물에 또한 냉·해동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음파 해동기를 이용한 해동에서 냉동 전후의 육색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명도는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수해동에 비하여 580 kHz를 이용한 초음파 해동에서 적색도 및 전체 색변화가 유의적의로 개선되었다. 해동육의 조직감 분석에서는 초음파 해동에서 경도가 감소하고 저작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접촉식 초음파 해동기는 해동시간 단축에 매우 효율적이나 해동육의 품질개선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성능 개선 및 연육 효과가 나타나는 580 kHz 동기의 개선 및 이용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0.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저온 액체 침지식 급속 냉동으로 동결된 돈육 등심에 적합한 급속 해동방법을 선정하고 과냉각 저장이 냉동-해동 돈육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와 10℃ 송풍식 해동과 4와 10℃유수식 해동은 냉동 돈육 시료가 해동이 완료되는 약 290-750분 소요되었지만 27.12 MHz 라디오파 해동은 약 20분으로 가장 신속하게 돈육을 해동시켜 저장실험에 필요한 냉동 돈육의 급속 해동방법으로 선정하였다. 한편 -1.5--5℃로 24시간 냉각 처리 후 돈육 횡단면의 미세구조 분석 결과, -1.5℃에서 냉각 처리된 시료의 표면과 중심부는 동결에 의한 조직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여 -1.5℃를 과냉각 저장 온도로 선정하였다. 저장 중 대조구인 신선육과 비교하여 냉동-해동 처리된 돈육에서 발생한 드립감량은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1.5℃ 과냉각 저장이 돈육의 드립감량 증가를 억제하였다. 또한 4와 15℃ 저장과 비교하여 -1.5℃ 과냉각 저장은 대조구와 냉동-해동 처리구의 TVBN과 TBARS 함량 증가, Hunter a* 값 감소와 b* 값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15℃ 저장 4일 후 대조구와 냉동-해동 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수는 9 log CFU/g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면 -1.5℃ 저장 10일 후 대조구와 냉동-해동 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수는 각각 5.62와 4.43 log CFU/g으로 관찰되었다. -1.5℃ 저장 10일 동안 대조구와 냉동-해동 처리구의 대장균군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저장 초기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에 있어서 4와 15℃ 저장에 비해 -1.5℃ 저장한 대조구와 냉동-해동 처리구는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서 저장 중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p<0.05). 따라서 라디오파 유전가열 해동은 냉동 돈육 등심의 해동 과정 중 상전이 구간을 빠르게 통과함으로써 급속해동이 가능하였으며 -1.5℃ 과냉각 저장이 냉동-해동 처리 된 돈육에 얼음결정 형성 없이 품질 유지 및 미생물 생장지연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