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7

        14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슬옥’(수원단55호)은 자식계통 KSE19를 종자친으로 하 고 KSE7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옥수수 단교잡종으로 Sugary enhancer (se) 인자를 가지고 있어 당도가 높고 옥수 수 립의 색은 흰색과 노란색, 두 가지색을 나타낸다. ‘구슬옥’ 은 2005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 되었다. ‘구슬옥’의 출사일수는 65일로 조생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8.0 cm로 대조군인 ‘GCB70’과 비슷하다. ‘구슬옥’ 은 당도가 20.5%로 ‘GCB70’보다 높으며 경도가 낮아 씹힘 성이 부드러우며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구슬옥’은 깨씨무늬병, 조명나방, 도복에 강하였다. ‘구슬옥’의 ha당 이삭 수는 ‘GCB70’보다 많지만 이삭중은 비슷하였다. ‘구슬옥’의 모본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 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으며 채 종량은 재식비율 모, 부본 2:1에서 1.39 ton/ha, 3:1에서 1.43 ton/ha이였다.
        14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안’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10년에 육성한 고품질 직파적응 내도복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수안’의 출수 기는 담수직파에서 8월 15일로 ‘주안벼’보다 1일 늦으며, 보통기 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남평 벼’보다 6일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간장은 담수직파에서 74 cm로 ‘주안벼’보다 4 cm 크고 이앙재배에서는 ‘남평벼’와 비 슷하며 담수직파시 m 2당 수수와 수당립수는 ‘주안벼’보다 적 고 등숙비율이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5.4 g으로 ‘주안벼’보 다 무겁다. 내냉성 검정에서 유묘적고는 ‘남평벼’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고, 출수지연일수가 ‘남평벼’에 비해 2일 정도 길 으나 임실률은 47%로 ‘남평벼’에 비해 높은 편이다. 등숙기 수발아율은 22%로 ‘남평벼’보다 높고 포장도복은 강한 편이 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 성이나 기타 바이러스병 및 벼멸구류 등의 해충에는 저항성 이 없다. 단원형이며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고 ‘남평벼’ 수준 으로 맑고 투명하다. 단백질 함량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6.5% 및 19.5%이며 밥맛은 ‘남평벼’ 수준이다. 제현율, 도정 율은 ‘남평벼’보다 다소 높으나 백미완전립률은 낮은 편이었 다. 쌀 수량성은 담수직파 6개소 및 건답직파 4개소에서 각각 5.47 MT/ha, 5.56 MT/ha로 ‘주안벼’보다 9% 증수 되었으며, 보통기 보비재배에서는 5.80 MT/ha으로 ‘남평벼’ 대비 4% 증수하였다.
        14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레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11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도정특성 우수 품종이다. ‘설레미’는 남부중산간지,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및 동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일로‘오대벼’보다 3일 늦은 조생종이다. 간장은 73 cm로 오대벼보다 작으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안되는 내수발아성이다. 내냉성은 보통이다. ‘설레미’는 도열병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입형은현미장폭비가 1.90으로 단원형이며 심복백이 없고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함량은 낮고 단백질함량은 약간 높으며 밥맛은 매우 양호하다. 도정율, 백미완전미율이 각가 77.5%, 97.7%로 ‘오대벼’에 비해 높다. 쌀수량은 보통기표준재배에서 5.60 MT/ha로 ‘오대벼’보다 7% 많은 편이다.
        14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신품종 ‘옥랑’은 ‘세리단’을 모본으로 하고 ‘캠벨얼리’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2년도에 우수 계통을 선발한 후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포연-3호’의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도에 최종 선발하였다. 옥천지역에서 발아기는 4월 17일, 만개기는 5월 29일, 성숙기는 8월 30일로 ‘세리단’ 품종에 비하여 40일 정도 빠른 조생종으로 수세는 약~중간 정도이며 성엽 앞면의 주맥상의 안토시아닌의 함량도 중간 정도이다. 과실의 평균 과방중은 300 g, 과립중은 3.4 g이며 당도는 16.9 °Bx 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조금 높은 수준이다. 과피색은 흑색이며 풍부한 여우향을 나타내며, 화진 현상이 적어 착립율이 우수하다. 또한 포도주 제조시 와인의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4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풍흑찰’은 충북농업기술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다수성 흑색 찰벼 품종이다. 잎은 녹색이고, ‘흑선찰’보다 길이는 짧고, 너비는 비슷하다. 초형은 반직립형이며, 줄기의 강도가 강한 편이다. 이삭 추출은 양호하고 착립밀도는 조밀하다.까락은 벼알 선단부분에 약간 발생되며, 탈립이 잘 안되고 부선은 황색, 영색은 담자색이다. 출수기는 8월 23일인 중만생종이다. 간장은 65 cm로 작은 편이고, 주당수수와 천립중은‘흑선찰’과 비슷하였으나. 수당립수는 16개 더 많았다. 성숙기 하엽노화는 느린 편이며, 줄기의 강도가 강하여 도복에 강하다. 도열병에는 저항성을 나타냈지만, 해충에 저항성이 없다. 단백질 함량은 ‘흑선찰’보다 낮고, 도정수율 및 강하점도가 높아 가공적성이 뛰어나며,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수량성은 ‘06~‘08년 3개년 간 실시한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3개소에서 평균 현미수량이5.80 MT/ha로 ‘흑선찰’ 대비 53% 증수되었다.
        14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uit quality traits like heat, color and flavor are unique and important for pepper cuisines and industrial use. Pepper pigments include chlorophyll, carotenoids, anthocyanin and red pigments like capsanthin are unique carotenoids to capsicum spp. So developing carotenoids-rich peppers and use of red pigments extraction along with capsaicinoids are one of interest pepper breeding goals in the world. Horticultural traits of 113 germplasms introduced by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with YASS of China were evaluated to select promissing materials for high quality peppers during the past 3 years. All of germplasms including 60 local peppers were belong to C. annuum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diverse. Especially fruit chemical compositions like ASTA color, capsaicinoids and sugars were evaluated compared with korean commercial peppers. Average contents of ASTA color was 98±37, 55±63mg in capsaicinoids and 12±6% in total sugars. ASTA color which generally means red pigments content was over 120 in 25 germplasms including over 200 in 2 germplasms. Higher ASTA colors were observed in different fruit types. Capsaicinoids content was over 90mg/100g in 24 germplasms including 5 germpalsms over 200mg. Especially higher capsaicinoids were higher in local peppers with round and wrinkled fruit shape. And total sugar content was over 20% in 10 germplasms. Germplasms of different fruit shapes and characteristics will be useful materials for diverse fruit quality breeding.
        147.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평’은 고품질 조생종 품종육성을 위하여 2000/2001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조생종이면서 내냉성인 HR16683-46-3-1를 모본으로 하고 중만생종으로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인 HR18129-B-16-1-4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F3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준하여 육성 선발하면서 주요 병해충, 내냉성 및 미질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조생종이면서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고, 직립이면서 숙색이 좋은 ‘HR22799-66-3-2-5-2’ 계통을 선발하여 ‘운봉4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흰잎마름병에 강한 조생, 고품질 계통으로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년 12월 농촌진흥청의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에서 특색 있는 품종으로 결정 조생종으로 평야지적응성이 있다는 의미로 ‘조평’으로 명명하여 중북부 평야지, 중산간지 및 남고냉지(경기, 강원, 경북, 충북, 전북)에 적응하는 품종으로 보급하게 되었다. 출수기는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동북부해안지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7월 28일로 ‘오대벼’와 비슷한 조생종이다. 간장은 67 cm로 ‘오대벼’ 보다 약간 작다.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14개와 84개이다. 등숙비율이 94%로 높은 편이며, 현미천립중은 22.6 g으로 중소립종이다. 재배기간 동안에 위조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다. 불시출수와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약간 잘되는 편이고, 춘천 내냉성 검정 결과 ‘오대벼’에 비해 적고는 비슷하고, 출수지연일수는 짧으나, 임실율은 낮은 편이다. 재배 포장의 도복은 ‘오대벼’와 비슷하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 ~ K3)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는 약하며, 벼멸구 및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쌀은 심복백이 없이 맑고 투명하며, 아밀로스 함량은 19.9%로 ‘오대벼’ 보다 낮으나 단백질 함량은 6.5%로 ‘오대벼’ 보다 높다. 도정율과 밥맛은 ‘오대벼’와 거의 비슷하다. 쌀수량성은 9개소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수량이 5.67 MT/ha으로 ‘오대벼’에 비하여 8% 증수되었고, 소득후작재배에서는 평균 쌀수량이 4.88 MT/ha으로 ‘금오벼’에 비하여 25% 증수되었다.
        148.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9년에 ‘MS-BGT’와 ‘NHMF’의 고정계통을 교배하여 육성한 특성 및 수량이 우수한 품종으로 ‘티티찰’을 육성하였다. ‘티티찰’의 주요특성은 TMV, TYLCV, TSWV, 잎곰팡이에 내병성으로 7~9월에 정식하는 품종이다. 숙기는 중조생종으로 당도가 평균 9~10 brix로 높으며 식미가 우수하고 평균과중은 23~25 g 내외의 중대과종 대추형 방울토마토이다. 경도가 강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며 열과 발생이 적고, 초세가 비교적 강하면서 이상줄기 발생이 적어 재배가 용이한 품종이다.
        14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S-CDE’와 ‘VFR’의 고정된 계통을 교배하여 특성 및 수량이 우수한 F1 품종인 ‘TY알토랑’을 육성하였다. ‘TY알토랑’의 주요특성은 TMV, TYLCV, 근부위조병, 잎곰팡이병에 내병성이며, 2~3월, 7~9월에 정식하는 품종으로 숙기는 중조생종으로 평균과중 225 g 내외의 고구형의 완숙 대과종토마토이다. 경도가 강하여 저장성이 우수하고 과형이 정연하며, 착과가 안정되어 수량성이 높다. 또한 초세가 강하면서 이상줄기 발생이 적어 재배가 안정적인 품종이다.
        150.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재배 당근 품종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당근산업의 기반을 유지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우수한 품종을 개발 보급하고자 본 ‘그라운드 킹’을 육성하였다. 근형은 원추형이고, 근피색, 근육색 및 심색은 주황색으로 근피가 매끈하다. 숙기는 중만생종이고, 육질이 연하고 수분이 많다. 병해 저항성은 검은잎마름병 및 흰가루병이 중간 정도로 대비품종인 ‘양면’과 비슷하고, 추대에 다소 약하므로 조기 파종 할 때 추대 위험이 있다. 수량은 3,228 kg/10a이고, 근장은 16.3 cm, 근중은 171.0 g으로 대비품종 ‘양면’ 166.5 g과 비슷하다. 추대율은 3.9%로 양면 5촌의 2.4%보다 다소 높아 조기 파종시 추대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기에 파종하여야 한다.
        15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웅성불임을 이용한 고랭지 지역 재배에 적합한 장일형 일대잡종 품종, ‘대관황’을 2007년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육성하였다. ‘대관황’은 ‘만추황’의 웅성불임친을 모친으로, ‘NIHA-5001’을 부친으로 하여 2001년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교배 후 ‘고시가-1호’로 명명 후 2003년에 생산력검정 예비시험을 거쳐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력 검정 본시험을 고랭지 3개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대관황’의 초형은 직립이며 숙기는 중만생형이다. ‘대관황’의 구중은 시판품종인 ‘히구마’와 비슷하며 구형은 원형이며 구피색은 황갈색으로 ‘히구마’ 보다 저장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관황’은 ‘히구마’에 비해 가용성 고형분이 높고, 건물중은 비슷하여 저장성이 뛰어나 고랭지 지역 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고랭지지역은 해발 600 m부터 800 m의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환경 변이가 있으므로 대면적 재배 전 지역적응성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152.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 CO2 gas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a proper gas-permeable packaging film to maintain the quality of fig fruit (Ficus carica L). Among the fig fruits with different high CO2 treatments, the quality change was most effectively controlled during storage in the 70%-CO2-treated fig fruit. Harvested fig fruit was packaged using microperforated oriented polypropylene (MP) film to maintain the optimum gas concentrations in the headspace of packaging for the modified-atmosphere system. MP film had an oxygen transmission rate of about 10,295 cm3/m2/day/atm at 25℃. The weight loss, firmness, soluble-solid content (SSC), acidity (pH), skin color (Hunter L, a, b), and decay ratio of the fig fruits were monitored during storage at 5 and 2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PP film, OPP film + 70% CO2, and MP film+70% CO2 wer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the loss rate, firmness and decay occurrence rate of fig fruits that were packaged with them during storage. In the case of using treatments with packages of OPP film and OPP film+70% CO2, however, adverse effects like package bursting or physiological injury of the fig may occur due to the gas pressure or long exposure to CO2.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P film containing 70% CO2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to extend the freshness of fig fruits for storage at a proper low temperature.
        15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08호’는 내냉성이 강한 조생종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9/2000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면서 밥맛이 좋은 ‘익산451호’를 모본으로 하고 조생종이면서 내냉성인 ‘상주2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다. ‘중모1008호’는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랭지, 동해안 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7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간장은 73 cm로 ‘오대벼’보다 약간 크며, 주당수수는 13개이고 수당립수는 ‘오대벼’에 비해 많으며 등숙비율이 91.1%로 높고, 현미천립중은 23.0 g이다. 노화묘 늦심기에서 위조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하나 임실률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중모1008호’는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반응을 보이나 흰잎마름병(K1~K3)과 바이러스병에 약하고 벼멸구, 애멸구 등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다. ‘중모1008호’의 쌀은 심복백이 거의 없고 투명하며 외관 품위가 양호하고, 쌀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60 MT/ha로 ‘오대벼’보다 3% 증수되었다.
        15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친농’은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충성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2000/2001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익산450호’를 모본으로 하고 ‘YR21258-GH3’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친환경재배 적응성 품종이다. ‘친농’의 출수기는 남서해안지 및 남부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6일로 남평벼와 비슷한 중만생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남평벼’와 비슷하며 수당립수는 많으며, 천립중은 약간 무거운 편이다. ‘친농’은 도열병 저항성은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다. ‘친농’은 흰잎마름병 레이스 K1, K2 및 K3에 강하며 줄무늬잎마름병 및 벼멸구에 강하다. ‘친농’은 불시출수와 위조현상은 없다. ‘친농’의 내냉성은 ‘남평벼’와 비슷하게 약한 편이고 수발아율은 11%로 ‘남평벼’보다 높다. 또한 ‘친농’의 포장도복은 ‘남평벼’보다 강한 편이다. ‘친농’의 쌀알은 맑고 심복백이 없다. 단백질과 아밀로스함량은 ‘남평벼’와 비슷하고밥맛은 ‘남평벼’와 비슷하게 양호한 편이다. ‘친농’의 제현율과 도정율은 ‘남평벼’보다 약간 높으나, 완전립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은 ‘남평벼’보다 낮은 편이다. ‘친농’의 쌀수량은’08~’10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6.00 MT/ha로 ‘남평벼’보다 7% 증수되었다. 이모작재배에서의 수량은 4.97MT/ha로 ‘남평벼’와 비슷하였다. 만식재배에서의 수량은 5.07MT/ha로 ‘남평벼’보다 6% 증수되었다.
        15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jor food crops which provide the major food for more than half of global population. To improve the grain quality as well as grain yield has been the essential breeding goal in rice. The composition of amylopectin is the determinant of rice eating quality under certain threshold of protein content and the ratio of amylose and amylopectin. In this study, RBE 1 driven by CaMV-35S promoter was constructed and transform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We selected single copy with low amylose content among transgenic lines. The mRNA expression was investigated using RT-PCR, and enzyme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activity staining method in mid-milky stage endosperm. Also, the overexpression vectors for RBE 1 and SSS 1 driven by seed specific globulin promoter were constructed, respectively. Moreover, the RNA interference vectors for soluble starch synthase 1 and granule bound starch synthase 1 derived by CaMV35S promoter were constructed, respectively and transform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The transgene has been confirmed by amplification of HPT and target gene. The transgenic plants obtained will b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 function of related starch pathway in plant cells using Gopumbyeo as a wild type rice, based on the gain-of-function and the loss-of-function. The development of designed site-specific endonucleases boosted the establishment of gene targeting (GT) techniques in a row of different species. However, the methods described in plants require a highly efficient transformation and regeneration procedure and, therefore, can be applied to very few species. Here, we describe a highly efficient GT system that is suitable for all transformable plants regardless of transformation efficiency. Efficient in planta GT was achieved in rice by expression of a site specific endonuclease (SSS1::ZFN) that not only cuts within the target but also the chromosomal transgenic donor, leading to an excised targeting vector.
        15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ssociated with yield-related traits using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high-yield soybean genotype SS0404-T5-76 and Daewonkong and to develop high-yield soybean and lodging-resistant sprout soybean cultivars. For development of DNA markers and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sequence variations, firstly, whole genome of five soybean genotypes, Sinpaldalkong 2, SS2-2, Pungsanamulkong, SS0404-T5-76 and Daewongkong, were sequenced using Illumina Hi-Seq technology. SS2-2 is a EMS-induced mutant of Sinpadalkong 2. SS0404-T5-76 showing high-yield is a F8 RIL derived from a cross of Pungsanamulkong x SS2-2. Daewonkong is a elite cultivar with high-protein. Furthermore, to construct a genetic linkage map, we are advancing F4 lines of SS0404-T5-76 x Daewonkong by single seed-descent. Secondly, we developed high-protein and high-yield soybean lines and lodging-resistant sprout lines. Area-adaptability tests of these promising lines are performing in three different locations including Jeju, Naju, and Suwon. Based on the results of area adaptability tests, we are planing to conduct cultivar registration of the promising soybean lines.
        157.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ah”,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ksa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7 to 2011.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this variety were April 26 and June 8 in upland, and April 28 and June 6 in paddy field, respectively. It is an awned, semi-dwarf and soft winter wheat. Culm and spike length of “Joah” were 78 cm and 8.4 cm. It had lower test weight (763g/L) and l,000-grain weight (43.0 g) than “Keumkang”. It showe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12.3%) than “Keumkang”. “Joah” had lower flour yield (66.3%) and ash content (0.33%) than “Keumkang”. It showed higher lightness (92.29) of flour color than “Keumkang”. It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11.5%) and gluten content (10.7%) and lower SDS-sedimentation volume(29㎖)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than “Keumkang”. It was showed higher amylose content and high viscosity than “Keumkang”. It showed different compositions in HMW-GS compositions (2.2+12), PPO 18 (876bp) and Puroindolines composition compared to “Keumkang”. “Joah” showed similar firmness (2.20N) and higher volume of sponge cake to “Keumkang”. Average yield of “Joah”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6.44 ton/ha in upland and 5.26 ton/ha in paddy field. “Joah”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10℃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5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ement of winter hardiness, diseases resistance and good quality have been recently received more attention by covered barley(Hordeum vulgare L.) breeders than ever in Korea. “Hyegang”, a new covered barley cultivar with similar maturing and high yield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87/NWX-GB-G 2” and “Milyang87/Chalbori” with good quality. The initial cross was done in 2000 and the selected line, “Iksan445” (YB4625-B-B-6-2), showed high yield and good quality characteristics under yield trial test in 2008. It was cultivated three times for three years (2009~2011) in the four locations of regional yield trial (RYT) in korea and was investigated about agronomic an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leased as “Hyegang”. The heading date was May 4 in upland and April 26 in paddy field which was 1 and 0 day lateness respectively than that of check cultivar, “Olbori”. The culm length was 77 cm which was 6 cm shorter than that with check cultivar. It showed the spike length of 4.7 cm, 800 spikes / m2, 64 grains / spike and 25.1g for 1,000 grains weight. It showed similar maturing and stronger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compare to check cultivar. It showed higher diastatic power 216DP than that of check cultivar, ‘Olbori’. Average yield of “Hyegang” in the RYT was 4.61 MT/ha in upland and 4.38 MT/ha in paddy field, espectively.
        15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ongmo2008”,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is an awned, semi-dwarf and hard winter wheat.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Joongmo2008” were similar to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Joongmo2008” were 87 cm and 8.6 cm. It had similar test weight (800g/L) and higher 1,000-grain weight (46.7g) than “Keumkang”. It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9.8%) than “Keumkang”. “Joongmo2008” had higher flour yield (73.5%) and higher ash content (0.49%) than “Keumkang”. It showed similar lightness (90.01) of flour color than “Keumkang”. It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16.4%), gluten content (13.4%), SDS-sedimentation volume(59㎖)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than “Keumkang”. “Joongmo2008” had lower amylose contetn (24.5%) and higher viscosity (153BU) than “Keumkang”. It showed same compositions in HMW-GS compositions(5+10) and Puroindolines composition compared to “Keumkang”. “Joongmo2008” showed lower firmness (0.74N) of and higher bread volume of baked pan-bread to “Keumkang”. Average yield of “Joongmo2008”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4.54 ton/ha in upland and 3.67 ton/ha in paddy field. “Joongmo2008”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10℃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6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호진미’는 쌀의 외관과 밥맛이 양호한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03/'04 동계에 밥맛이 우수한 양질미 히또메보레와단간이면서 내병성이 양호한 주남벼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그후에는 조기에 고정된 계통을 얻고자 약배양을 실시하였으며, YR24733Acp10 계통을 선발하여 밀양228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07~’09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 등재 품종으로 선정되었다. ‘영호진미’는 영남평야 1모작지에 적응성이 높은 중만생 고품질 벼 품종이다.‘영호진미’의 출수기는 남부평야지와 남부 및 서남부해안지보통기재배에서 8월 21일로 ‘남평벼’보다 5일 늦은 중만생종품종이다. 간장과 수당립수는 ‘남평벼’보다 적은 편이고 현미천립중은 ‘남평벼’보다 약간 무거운 편이다. 도정특성은 ‘남평벼’와 비슷한 편이고 단백질함량은 ‘남평벼’보다 낮고 밥맛은 양호한 편이다. 불시출수는 없으며, 수발아는 ‘남평벼’와비슷하였으며, 내냉성은 중정도이고 냉수구 출수지연일수가긴 편이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결과 약한 반응을 보였고,흰잎마름병에는 레이스 K1, K2, K3에는 저항성이지만 K3a에는 이병성이다.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지만 오갈병과검은줄오갈병에는 약하고 벼멸구 등 해충에도 약하다. ‘영호진미’는 영호남 평야지 1모작 적응 품종으로,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남부 및남서 해안지와 호남평야지, 영남평야지의 보통기 보비재배 10개소에서 5.44 MT/ha로 ‘남평벼’보다 3% 감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