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3

        88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해산어 양식장 환경을 재현한 해양 microcosm을 이용하여, 양식장에서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 옥소린산에 대한 미생물이 나타내는 항생제 내성획득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옥소린산 처리 전과 후의 세균상을 비교한 결과, 비브리오 과 세균은 실험기간 전반에 걸쳐 65-75% 정도로 우점하였으며, 그람양성세균인 Micrococcos sp. 와 Bacillus sp. 는 옥소린산 처리 기간 중에 출현 빈도가 증가하였다. 해산어양식 환경에서 세균의 ETS 활성은옥소린산 처리 기간중 42-67%로 줄어들었지만, 옥소린산의 처리가 종료된 후에 세균은 다시 회복되었다. 해산어 양식장에서 옥소린산의 빈번한 사용은 옥소린산에 대한 세균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000원
        88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양 지역의 음용 지하수 중에 형성된 망간 스케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망간 스케일은 MnO 및 SiO2로 구성되어 있고, MnO의 함량은 56.61wt.%에서 68.69wt.%, 그리고 SiO2 함량은 1.56wt.%에서10.45wt.%로 나타난다. 망간 스케일 중의 Ba와 Mo 함량은 지하수 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나타나고 Zn과 Pb는심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망간 스케일을 x-선 회절 분석을 한 결과 birnessite, 석영 및 장석이 분석되었다. IR 분석에서 망간 스케일은 OH, H2O 그리고 birnessite에 의한 흡수 밴드가 관찰된다. SEM 및 EDS 분석에서 망간 스케일은 포도송이 구조, 과립 구조, 구상 구조 및 속이 빈 straw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관찰된다. 이들 구조들은 고농도의 망간함량에 의해 단순히 과포화로 침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혹은 Lepthothrix discophora에 의해 미생물적으로 침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구조들의 표면을 EDS로 분석한 결과 Mn의 원자(atomic) 퍼센트가 28에서 44범위로 나타나고 Si, K, Na, Ca, Cl, Cu, Zn 및 Ba 등이 검출된다.
        4,800원
        88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여름철 팽이버섯 병재배시 톱밥배지에서 발생하는 균사생장 억제증상의 원인을 구명하고 그 경감대책을 확립하기 위하 여 톱밥배지 배합시 물온도를 24℃(상온수)와 6℃(저온수)로 하고, 배지제조후 살균전 경과시간을 0, 3, 6, 9시간으로 달 리하여 팽이버섯의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제조 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온도가 24℃에서 31℃까지 상 승하고, pH는 6.5에서 5.2까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때 톱밥배지 내에서 세균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물온도 24℃에서는 6℃보다 6시간 이후의 세균밀도가 1.9∼4.1배 높았다. 톱밥배지에서 분리한 세균과 대치배양시 팽이버섯균의 생장이 억 제되었다. 또한 배지제조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내의 전질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의 함량도 종류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배지배합 시 24℃ 물 처리구는 6℃ 물에 비하여 팽이버섯 병재배사에서 균배양기간 및 버섯 발생기간이 각각 1∼2일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실체 수량도 저온수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9시간 경과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정지되었다. 배지제조 후 경과시간에 따라 팽이버섯 발생기간은 1∼3일이 지연이 되었으며, 자실 체수량은 6시간이 경과된 배지에서 7∼12%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여름철 고온기의 팽이버섯 병재 배시 배지제조에 6℃ 이하의 저온수를 사용하여 배지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입병작업을 마치는 즉시 고압살균을 하여 배지 성분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버섯의 안정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89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해안 북만 해역을 대상으로 조류성장잠재력(AGP) 시험을 통하여 H. akashiwo의 성장제한요인을 평가하였다. 영양물질의 첨가 및 미생물과의 동시배양에 의하면 적조발생 단계별 H. akashiwo의 성장은 서로 다른 제한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조발생 전의 H. akashiwo 성장은 질산질소 50μM과 연산인 5μM을 복합첨가하면 크게 증가하였지만 인산인을 단독 첨가하거나 미생물과 동시 배양하여도 전혀 영향이 없었다. 적조발생 전의 H. akashiwo 성장제한요인은 질산질소로 나타났다. 적조발생시기의 H. akashiwo 성장은 질산질소 50μM 또는 인산인 5μM을 단독첨가하면 증가하였지만 미량영양물질이나 vitamin B12을 첨가해도 전혀 영향이 없었다. 적조발생 시기의 H. akashiwo 성장제한요인은 질산질소와 인산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적조소멸시기의 H. akashiwo 성장은 질산질소와 인산인을 첨가하면 약간 증가하였지만 미생물과 동시 배양하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적조 소멸시기의 H. akashiwo 성장제한은 미생물요인에 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89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 정도는 복령 재배지 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각 재배지별 토양수분(soilmoisture), 토성 (soiltexture-siltsandclay), 토양 유기물(soilorganic-matter)함량과 pH를 조사한 결과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토성별 균 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미사함량 30~40%수준에서 좋았고 50%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졌으며,모래함량은 30~50%토양 에서,점토함량은 13~16%토양에서 우수하여 토성별 균사생장과 균핵형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가능지역은 임야 개간지 토양이 최적지로 인정되었다. 토양 유기물과의 관계는 유기물함량이 임야 개간지에서 0.37~1.88%,휴양 미숙 지 0.99~4.14%,작물 재배지 1.58~3.86%로 조사되었으며,토양 유기물 함량이 낮을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하였고 균핵 형 성도 좋은 것으로 확인 분석되었다. 각 재배지별로 토양수분은 임야 개간지에서는 8.5~11.2%, 휴양미숙지는 9.7~27.3%, 작물재배지는 16.0~26.8%로 조사되었다. 토양수분에 따른 복령 균사생장은 토양수분이 10%정도에서 가장 좋았고,15% 이상에서는 균사 활착이 떨어지고 유해 미생물에 따른 부패와 토양통기 불량으로 균사 사멸흔적이 인정되었으며, 균핵결 령(菌核結笭) 상태는 상대적으로 균사 활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pH와의 관계는 조사지점 모두 pH4.1~5.1사이로 측정되어 이 범위의 산도와 복령균사생장 및 균핵 형성과는 특별한 차이점을 찾을 수가 없었고 복령균사는 약산성에서 활 착이 우수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복령 재배지 조건 및 토양의 물리 화학성이 균사생장과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한 결과 재배조건으로는 임야 개간지 에서 가장 좋았으며, 그에 따른 토양수분 토성 토양 유기물 등이 복령 인공재 배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복령 대량생산을 위한 재배적 측면에서 적지선정은 반드시 선결되어 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89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액체배지 종류에 따른 애느타리버섯의 균사체량은 MCM배지에서 ASI2190, 2050, 2062, 2037, 2194, 2042균주가, YM배지에서는 ASI2190, 2050, 2182, 2182, 2177균주가 많았으며, 특히 액체배지에서는 ASI2190 균주가 MCM배지에서 263mg/12일, YM배지에서 315mm/12일로 가장 좋았으며, 고체배지에서는 ASI 2037과 ASI2102가 가장 좋았다. 애 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알맞은 온도는 25-30℃, 산도는 pH5.0-8.0이었고, 배지 충진량은 가비중이 0.20g/ 일 때 수량 이 높았다. 염류농도별 애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은 톱밥배지의 염류 농도가 0.3%까지는 영향이 없었으나 그 이상에서는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애느타리버섯의 병재배시 ASI2042균주는 초발이 소요일수가 빠르고, 배양율이 높았으며 자실체 수량도 73g/병으로 가장 높았고 병당 개체수도 많다. 또한 자실체 특성에서도 다른 균주에 비하여 대가 길고 굵으며 개체 중이 무겁고 품질이 양호하여 우수균주로 선발하였다. 미강첨가량에 따른 자실체 수량은 톱밥에 미강 40%(v/ v) 혼합구 에서 75g/병으로 가장 높았으나 배양이 더디고 발이가 고르지 못하였다. 톱밥수종별 애느타리 버섯의 자실체 수량은 미루 나무톱밥에서 73g/병으로 가장 높았다.한편 균사생장 속도는 침엽수톱밥이 활엽수톱밥보다 빨랐으며, pH는 살균 후에 모 두 증가하였다. 애느타리 버섯의 폐면재 배시 P.P폿트의 크기별 자실체 회수율은 3L 용 량에서 29.9%로 가장 높았고 배지 완숙율과 초발이일수도 빨랐다. 애느타리버섯의 농가재배시 수량은 62g/병,초발이 소요일수는 10일로 농촌진흥청 농업과 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서 수행한 시험결과 보다 9g 낮았고, 초발이 소요일수도 4일 정도 늦었다.
        894.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황(Rhubarb)은 중국과 일본에서 혈액 순환제, 진통제, 신장치료제 등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의 두부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Rhubarb의 최적 추출을 위해서 각각 50%, 70%, 8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항균 활성은 Kirby-Bauert t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과 minimum bactericide concentration (MBC)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Kirby-Bauert test 결과,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은 대부분 두부 부패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 rhabarbarum L.의 줄기 추출물의 경우는 20μg/disc의 농도에서는 항균 활성이 거의 나타나질 않았으나, 고농도로 갈수록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은 고농도로 갈수록 항균 활성이 높아졌으나, Pseudomonas aeruginosa에 관해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MIC와 MBC에 의한 항균 활성 평가실험에서는, 세 종류의 rhubarb 추출물 중에서 phenolic 화합물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보다 R. rhabarbarum L.의 줄기 추출물이 MIC와 MBC 값이 낮았다. 이는 phenolic 화합물의 양 이외에 낮은 pH가 항균 활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rhubarb 추출물은 두부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연 항균제로써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895.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양 염장 죽순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해 죽순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발효조건과 죽순첨가 형태를 결정하였다. 죽순은 수분함량이 82.59 %, 단백질 4.56 %, 지질 0.52 %, 회분 0.50 %, 그리고 식이섬유소가 11.72 %(w/w) 함유되어 있었으며, 무기질은 Ca, P, S, Na, Mg, K 순서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죽순을 첨가하기 위한 요구르트는 ABT-5 미생물을 0.005 % 접종하여 40 ℃에서 13시간 발효시켰으며, 요구르트 첨가용 죽순은 형태를 달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5×5×5 mm 크기로 절단한 죽순을 50 % 설탕에 절임하여 15 %(w/w) 비율로 첨가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죽순 요구르트는 4 ℃ 냉장온도에서 15일 동안 저장 중 pH와 산 생성, 젖산균수, 그리고 비피더스균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였다. 따라서 죽순 첨가 호상요구르트는 기호성과 품질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상품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9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 bioactive foam reactor (BFR) using a surfactant and suspended microorganisms has been suggested as an suit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acked-bed biofil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BFR using styrene as a model compound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s residence time on mass transfer and biodegradation rates. At a gas residence time of 40 seconds, the BFR achieved high styrene removal efficiencies greater than 80%, but the biodegradation rate controlled the overall efficiency as the styrene inlet concentration increased. Meanwhile, at a gas residence time of 20 seconds, the change of the styrene removal efficiency was less sensitive to the inlet styrene concentration, indicating the BFR system was operated under the mass transfer limited condition. Therefore, the mass transfer rate needs to balance with the biodegradation rate in the BFR system, and the foam st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ss transfer. In the BFR,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117 g/㎥/hr, which was higher than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BFR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VOCs and expand an application range of biological processes.
        4,000원
        898.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내의 금속광산, 공장 및 공업지역의 토양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중금속 오염토양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 flora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청정지역인 독도토양과 비교한 결과, 일반세균의 경우 10~100배 낮은 분포율을 나타내었으며, 6가크롬 오염토양 중 곰팡이는 거의 검출되지 많았다. 방선균은 수은 오염토양의 경우 6.7X105~7.5X107 cfu g-1, 6가크롬 오염토양 내 방선균 수는 4.8X104~5.0
        4,000원
        89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microbiological quality by adding green tea extracts to chicken meat salad. For this study, Chicken meat salad were prepared with two production method. (method 1: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boiling phase, method 2: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salad dressing) Microbiological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were assessed during production process by measuring process time, temperature, pH and Aw and determining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on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observed during holding at 3, 10, 25±1℃ for 12 hours. Green tea extracts improv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owed antibacterial properties when they are added to chicken meat salad.
        4,000원
        90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