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6년 10월) 268

24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pulation density of Culex tritaeniorhynchus was annually monitor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a Japanese encephalitis (JE) outbreak at 10 collection sites throughout Republic of Korea (ROK) during mosquito season from 2011 to 2015. Prevalence of Cx. tritaeniorhynchus in ROK was spatially and timely very variable and was significantly highest at Busan city during August. Monthly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Cx. tritaeniorhychus showed high correlation to the monthly average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monthly average precipitation. Two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occurrence of Cx. tritaeniorhynchus based on annual monthly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monthly precipitation are shown with linear regression equations of exp(0.413×temperature-0.949) and exp(0.01258×precipitation+3.777). JE vector surveillance and vector control is warranted as part of an effective JE management program at ROK.
24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xodid ticks in were surveyed at 10 areas from April to November 2015. We investigated tick distribution using dry ice bait trap and flagging method as a part of disease vector monitoring in Korea. As a result, ticks collected 29,992 ixodid ticks with 3 genera, 7 species. Among them, Genus Haemaphysalis, Ixodes and Amblyomma accounted for 29,751 (99.2%), 223 (0.7%) and 18 (0.1%).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accounted for 88.9%, which has become the dominant species. Some species, such as H. japonica and Ixodes persulcatus were only collected Gangwon area. Metropolitan area had the highest population of ticks 6,540 (21.8%), Chungbuk area was next 5,049 (16.8%). In environmental distribution, Genus Haemaphysalis was highly collected in grassland site (32.1%) and Genus Ixodes was highly collected in coniferous forest site (43.5%). Upon analysis of the monthly distribution, H. longicornis, the dominant species, was highly collected at nymph stage in May, and its larva was highly collected in September. These studie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tick in Korea.
24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trol of the vector mosquitoes is critical for implementation of patient’s decrease. Vector mosquito control has been mainly carried out using pesticides in Republic of Korea (ROK), which has developed the resistance against selected insecticides. Voltage-gated sodium channel (VGSC) and Acethylcholine esterase (AchE) are the target of several classes of insecticides. Genetic mutations of VGSC and AchE have been documented to confer resistances to pyrethroids and organophosphates in mosquitoes, respectively. In our studies, the insecticidal resistable level of An. sinensis from four malaria risk areas near Demilitarized Zone (DMZ) was measured. The partial sequence of An. sinensis voltage gated sodium channel (VGSC) IIS6 domain for Kdr gene and ace1 gene for AchE was sequenced. An. sinensis from two area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sistance to pyrethroids and mutation rates of Kdr gene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all tested areas An. sinensis showed high insecticidal resistance to organophosphates and > 70% of mutation rates of ace1 gene ware higher.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insecticide resistance among vector mosquitoes populations is very important to efficient and effective vector control.
24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tick-borne zoonosis and SFTS virus is transmitted to humans by tick bi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ick population and its SFTS virus infection. During March 2014 to October 2015, ticks were monthly sampled using dry-ice bait trap and flag method from 4 collecting points in Boeun-gun. A total of 16,500 ticks, including 14,646 Haemaphysalis longicornis (88.7%), 1,825 H. flava (11.1%), and 29 Ixodes nipponensis (0.2%), were collected. Ticks were pooled (5,156 ticks in 456 pools) and tested by RT-PCR and nested PCR and the minimum infection rate of ticks was 0.27% (14 pools) consisting of 0.13% H. longicornis (6 pools), 1.19% H. flava (8 pools). This annual surveillance study will be needed for long-term monitoring of ixodid ticks in Korea.
24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vious laboratory repellent assessment with three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Haemaphysalis longicornis, a major vector for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revealed high repellency of Lavendual angustifolia and high synergic effects of Cinnamomum zeylinicam and Juniperus verginiana. Based on the previous laboratory repellent assessment field studies on repellency of the three plant oils were carried out with formulations such as cream type and spray type. 10% spray type of Cinnamomum zeylinicam demonstrated > 70% of repellency against H. longicornis. 10% spray type of Lavendual angustifolia showed > 80% of repellency. 10% spray type of binary mixture containing Cinnnamomum zeylinicam and Juniperus verginiana showed > 98% repellency against H. longicornis. Further studies on repellency of cream type of the plant oils might be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wo commercial repellents.
24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emaphysalis longicornis is a major vector for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throughout Republic of Korea (ROK). The ticks distribute at vast open fields and various kind of habitate. Control of the ticks with pesticides is almost impossible and personal protection such as use of commercial repellents is very critical for control. However occasional toxic effects of the commercial repellents have been reported that include central nervous system depression and urticaria. In our studies, repellency of three plant essential oils was assessed and was compared with two commercial repellents. Lavendual angustifolia demonstrated the highest repellency and higher repellency than DEET when was individually tested, but binary mixture of Cinnamomum zeylinicam and Juniperus verginian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pellency with synergic effects than mixture of Lavendula angustifolia and Juniperus verginiana. Further study on repellency of the C. zelinicam in field need.
24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xodid ticks has been suspected to be the vector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in Korea. In order to confirm transovarial transmission of Ixodid ticks, a total of blood fed 284 ticks were collected from six host animals. They were identified as 3 genera and 4 species, Haemaphysalis longicornis (97.2%), H. flava (0.7%), Ixodes nipponensis (1.8%) and Amblyomma testudinarium (0.4%). Among them, 192 female adults hatched their eggs successfully. Our results showed a high prevalence of SFTSV among collected ticks (3.1%, 6/192 ticks), and we detected SFTSV from their larva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arent generation of H. longicornis can transmit SFTSV transovarially into their F1 progeny and H. longicornis might be one of major vectors of SFTSV in Korea.
24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제적 교역의 증가 및 기후 변화로 인해서 외래식물병해충의 유입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대상국이 51개국까지 확대되면서 교역량과 대상 품목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특히 배화상병과 같은 위험성이 높은 병은 우리나라의 과일 수출에 타격을 입히고 미국선녀벌레와 같은 해충은 과수원은 물론 도시조경과 산림수목을 가리지 않고 피해를 주고 있어 이들의 방제에 국가 재정지출 등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1900년대 이후 유입된 외래식물병해충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래식물병해충은 총 87종이며 병이 40종 (진균 12종, 세균 12종, 바이러스 16종), 해충이 47종(매미 목 17종, 딱정벌레목 11종, 총채벌레목 5종, 나비목 5종, 파리목 3종, 벌목 3종, 선충 2종, 응애 1종)에 이른다. 유입경로가 밝혀진 76종은 병해충 중 묘목을 통한 유입이 40건으로 가장 많았고, 병은 종자(10건), 종서(6건), 매개충(4건) 순으로 해충은 화물(4건), 선박(3건) 순으로 유입이 많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입 병해충별 발견당시 병의 경우 33%, 해충의 경우 46%가 이미 전국에 분포하였으며, 이는 조기 발견율이 매우 낮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병해충 유입의 증가세로 인해 검역본부에서는 2010년부터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5년간 32종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외래병해충 87종 중 41종(병 14종, 해충 27종)만이 검역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어 검역이 이뤄지고 있지 않은 대상이 많아 그들에 대한 상황분석과 개선이 요구된다.
24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메틸브로마이드(MB)가 1989년 제정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거 오존층 파괴물질로 지정되면서 MB대체제로 에틸포메이트(EF) 훈증법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에틸포메이트 훈증제의 경우, 고압 이산화탄소를 충전하고 액체 에틸포메이트를 딥튜브를 이용해 분사 후 기화기를 통해 기화시키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의 충전, 이동 및 안전관리 부분에서 고비용이 필요하다. 고비용의 기존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액체 에틸포메이트와 질소 혼합처리법은 고안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체 에틸포메이트와 질소 혼합처리법을 오렌지에 대한 귤가루깍지벌레 효과 시험을 하였다. 질소가 사충율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질소 농도 (80, 82, 84, 86%/55L)를 다르게 하고, 액체 에틸포메이트 농도(1mg/L) 혼합 처리 했을 때, 질소 농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충율을 보였다. 질소가 사충율에 영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5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 야영장 관리를 위한 시범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피해가 급증하는 말벌류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는 왕바다리에 대한 먹이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 경북에서 도시화 등급 2-4등급에 해당되는 4개 지점, 10개의 벌집에서 사냥을 마치고 귀소하는 일벌의 먹이원을 채집하여 유전자바코드 법을 이용하여 먹이의 종류를 파악하였다. 총 325개의 먹이원을 채집하였는데, 총 9목 27과로 구분되어졌다. 그 중 나비목(유충)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사마귀목>메뚜기목>벌목>하루살이목>노린재목>파리목>딱정벌레목>대벌레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등급별로는 2등급에서 나비목, 메뚜기목이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는 나비목, 사마귀목, 4등급에서는 나비목, 사마귀목으로 나타나 나비목과 메뚜기류가 먹이의 대부분을 이뤘다. 녹지비율의 정도가 초식성 곤충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녹지비율이 높은 국립공원 내 야영장에도 왕바다리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야영객 안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5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는 월악산국립공원 2015년도 자연자원조사의 일환으로 국립공원내에 서식하는 거미류의 종조성과 분포도 를 분석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물자원을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악산국립공원은 충청북도 제천시의 한수면, 덕산면, 수산면; 충주시의 살미면, 수안보면, 단양군의 적성면, 단성면, 대강면;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읍, 동로면에 동서로 걸쳐 있으며, 조사기간은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 총 9회에 걸쳐 83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으로는 쓸어잡기, 털어잡기, 진동잡기 등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개체들은 현장 기록 후 96% 에탄올에 넣어 보관하였고,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월악산국립 공원에 서식하는 거미류는 모두 30과 11속 174종으로 확인되었다.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 중 종구성이 풍부한 과 우점순위는 깡충거미과 28종(16.1%), 꼬마거미과 25종(14.4%), 왕거미과 21종(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분포로는 범세계종(Cosmopolitan spp.)이 3종, 구북계(Palearctic spp.)가 13종, 전북계(Holarctic spp.)이 6종으로 조사되었다.
25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스핀 정제는 비용이 저렴하고 잔류량이 적어 세계적으로 저곡해충 방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물검역 훈증제이 다. 그러나 훈증시설 내부 온습도의 영향으로 기화량이 감소하여 약량을 과도하게 투약하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중국, 호주 등 45개국에서 포스핀 저항성 해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포스핀 저항성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포스핀 저항성 정도에 따른 적합한 방제 농도 및 훈증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쌀바구미에 대한 포스핀 저항성을 판별하고 저항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어리쌀바구미의 포스핀 저항성은 FAO 매뉴얼(PH3 0.039mg/L, 20 hr)을 참고하여 그 결과에 따라 포스핀 저항성과 감수성으로 나누어 사육 및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상온에서 20시간동안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포스핀 저항성 쌀바구미 성충의 LCT99값은 78.558 mg h/L, 포스핀 감수성 쌀바구미 성충의 LCT99값은 0.672 mg h/L였다.
25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w fungal disease of Scopendra subspinipes mutilans (Chilopoda: Scolopendridae) from Jeju island in Korea. Scopendra subspinipes mutilans are also known the Chinese red head and average 20cm in length. It is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 for skin-disease and tumor and S. s. mutilans is recently raised in Jeju island to use healing properties. We isolated fungi from surface of infected S. s. mutilans and incubated in SDBA at 24℃ for 14days, and then identified the morphology of the fungi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For the specific diagnosis of Metarhizium spp. in S. s. mutilans, 18srRNA of fungi was amplified by primers ITS4_MF and LR3_MR and sequenced by using the BLAST server at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18srRNA sequencing alignment was Metarhizium anisopliae (99.9%). The entomopathogenic fungi, M. anisopliae would be fatal cause of higher mortality to S. s. mutilans, and it is needed in vivo assay to confirm the pathogenic activities of M. anisopliae to S. s. mutilans.
25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각종 베리류 과실에 피해를 주는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에 있는 냄새감각기(Olfactory sensilla)들의 종류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암, 수컷의 촉각(Antenna)과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i)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다. 직경 20–50nm의 작은 구멍(Pore)들이 표면에 존재하는 감각기(Sensilla)들을 냄새감각기 로 구분했을 때, 벗초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분포하는 많은 감각기들은 대부분이 냄새감각기로 판단되었다. 이들 냄새감각기들은 표면미세구조가 다른 귀모양감각기(Sensilla auricillica), 털감각기(Sensilla trichodea) 및 추상감각 기(Sensilla basiconica)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감각기 종류와 분포양상은 촉각과 작은턱수염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벗초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은 서로 다른 냄새감각기능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벗초파리의 냄새통신을 이해하고 유인제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25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외국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면서 외래해충의 피해가 나오기 전에 해충 예찰조사를 통한 조기 발견 및 대응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현재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검역해충의 예찰 방법의 특징은 중요한 검역해충인 금지해충의 검출을 위해 특화된 트랩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외래해충은 예찰대상이 특정되지 않아 수입식물재배지를 중심으로 정기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미 유입된 외래해충의 예찰을 위해서는 대상 해충의 목록을 먼저 선정하고 적합한 예찰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유인방법이 없을 경우 빠른 시간내에 유인제와 트랩개발과 같은 기초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25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무역의 증가 및 기후변화로 국내로 유입된 미기록 외래곤충이 매년 확인되고 있으며, 유입된 종의 확산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외래생물 목록 또한 증가하였는데, 환경부 기준 국내에 유입된 외래생물은 2009년 896종에서 2014년 2,167종으로 증가하였으며, 2,167종 중 동물은 1,833종,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은 149종이다. 외래곤충은 종마다 특유의 서식처와 기주식물, 출현 시기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곤충조사방법 으로는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내 유입 외래곤충의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종의 특성에 맞는 조사방법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입된 외래곤충 중 피해가 확인되었거나 우려되는 주요 종들의 조사 방법을 국립환경과학원과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제안하였다.
25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와 나방은 딱정벌레 다음으로 종 다양성이 풍부한 곤충으로 99%이상이 초식성을 지녀 농업생태계에서는 주요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환경 변화는 농업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변화 에 따라 작물환경이 변화하고 이에 따른 곤충상 변화도 예상되는데 이들 변화를 미리 감지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대비책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의 중남부(경북, 충청, 전남) 지역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3년간 농업생태계 유형(논밭, 과수원, 인근 산림)에 따른 나방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채집된 나방을 대상으로 각 서식지 유형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설문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남 지역에서 주별 나비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시기별로 출현양상을 파악하여 나비 지표종도 함께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나비와 나방을 대상으로 농업생태계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5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논 생태계 내에 출현하는 수서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연평균기온을 고려하여 완도, 해남, 부안, 김제, 장수, 당진, 철원에서 논에 물이 있는 기간 동안 월 1회 실시하였다. 수서무척추동물의 채집은 본 연구자들이 새롭게 고안한 수중컵트랩을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물땡땡이류 중에서는 뒷가시물땡땡이, 애물땡땡이, 잔물땡땡이, 물방개 류 중에서는 꼬마줄물방개, 꼬마물방개, 애기물방개의 출현빈도 및 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지표종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왕우렁이의 경우는 우렁이농법에 의해 분포가 결정되기 때문에,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월동상황을 조사해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현장조사에서 얻어진 결과와 과거 자료를 활용하여 후보종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지표를 선정할 계획에 있다.
25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경우 개미의 분포는 기온에 의해 거의 결정이 된다. 따라서 온도분포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종의 분포를 예측하거나 군집구조나 다양성 패턴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릉에서 1993년과 2009년에 조사된 개미자료를 분석한 결과 난대성 종이 증가하고 한지성 종이 감소하였으며 추운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코토쿠뿔개미가 1999년에는 채집이 되었으나 2009년에 채집이 되지 않았다. 전국 365개 산림에서 조사한 개미자료를 토대로, 온도분포모델을 이용하여 우점종 종의 분포변화를 3종의 기후변화 시나리오(A1B, RCP 4.5, RCP 8.5)에 따라 예측한 결과 증가할 종 보다는 감소할 종들이 배 이상 많이 나타났다. 군집구조와 종다양성 변화를 예측한 결과 고지대 일수록 기후변화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재 종다양성은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나 온도증가로 종들의 분포가 변함에 따라 중간 고도에서 가장 높아지는 종모양의 패턴으로 변해갈 것으로 예측되었다.
26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교란 요소이다. 생물군집으로 대표되는 생태계의 기본 구조는 구성 생물의 기후를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최근 1세기에 걸친 기후변화의 패턴은 생물종의 분포 지역과 밀도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나, 특정 생물은 그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생물들은 그 변화의 외적 표출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생물의 발굴은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와 적응, 그 영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생태계 내 서식하는 벌류 곤충 중 기후변화를 지표할 수 있는 생물종을 선발하고자 선발 기준의 개발 및 발생 모니터링을 통해 지표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