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농업생명과학연구 KCI 등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47권 제6호 (2013년 12월) 33

2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단위 암모니아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와 육계를 대상으로 암모니아 휘산량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개방한우사의 계절별 암모니아 휘산량은 겨울철이 가장 낮았고, 봄, 여름, 가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연평균 개방한우사 한우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7.605 kg hd-1 yr-1 로 평가되었다. 개방육계사의 계절별 암모니아 휘산량은 한우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연평균 개방육계사 육계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0.191 kg hd-1 yr-1로 평가되어 육계가 한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성 불포화지방산 복합제로 이루어진 보조사료를 첨가하여 이유자돈의 균일성과 증체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일반 종돈장의 Landrace 모돈 110두와 포유자돈 248두를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모돈시험에서는 장쇄지방산 복합제제를 분만사입식부터 이유시까지 약 4주간 급여하였고 자돈시험에서는 액상 중쇄지방산 complex를 포유기간 중 2회 구강투여 하였다. 모돈 시험에서 복당생존자돈수와 복당생시체중은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당이유자돈수와 복당이유체중에서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모돈의 사료섭취량은 시험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발정재귀일령은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시험구에서 평균 0.3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포유기간내 일당증체량 역시 이유체중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돈시험 결과 시험구는 포유기간내 이유체중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생시체중 대비 증체량도 같은 기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돈의 이유체중에 대한 변이의 지표를 보면 시험구와 대조구간 변이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개체간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처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포유기의 장쇄지방산 급여는 모돈의 젖에서 올레인산, 리놀산 등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젖 분비량과 사료섭취량을 증가시켜 자돈의 초기증체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돈에 대한 중쇄지방산의 급여도 이유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4,000원
2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자돈의 분변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faecim 193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을 부분정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천연 식품보존제 또는 첨가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Enterococcus faecium 193의 배양시간에 따른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균활성은 3시간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2시간째에 1280 AU/ml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Enterocin 193은 단백질 분해효소(trypsin, pepsin, 및 proteinase K)의 처리에 의해 항균활성이 소실되었으나 넓은 범위의 pH (1-11)와 열처리(121℃, 15분)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또한 50% 농도의 acetone, acetonitrile, chloroform 및 ethanol 등 유기용매에 안정하였으나, 50% methanol을 처리할 경우 항균활성이 50% 감소하였다. 이 박테리오신은 황산암모늄 침전,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와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되었고 specific activity는 14.8배 증가하였다. SDS-PAGE에 의해 측정한 이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5 kDa이었다.
4,000원
2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cessed cheese is manufactured by mixing natural cheeses with emulsifying salts and other ingredients and heating under agitation to produce a homogeneous product. Processed cheese, processed cheese food, and processed cheese spread are classified in the US standards for processed chees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processed cheese, such as firmness and meltability, are regarded as a quality indicator assessing overall cheese quality and consumer preference. Various analytic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ter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processed cheese. In this review, th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rocessed cheeses are described and analytical tools for evaluat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processed cheese are discussed.
4,000원
2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ar-baked 미트파이 제조에 있어서 외피 특성과 굽는 조건 및 해동 조건이 Par-baked 미트파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미트파이 외피제조에 적합한 적정 가수량은 33%였으며, 적정 숙성시간은 한 시간이 적당하였다. Par-baked 미트파이를 위한 굽는 시간은 210℃에서 1차 굽기가 12분, 2차 굽기는 9분이 적당하였으며, 해동시간은 Par-baked 미트파이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국내산 밀가루와 강력분이 중력분과 박력분에 비하여 Par-baked 미트파이 제조에 적합하였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과 질적 특성이 빵용에 적합한 국내 밀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4,500원
2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 목초액과 죽초액의 품질특성,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목초액과 죽초액의 pH, 가용성 고형분 및 총산도는 각각 3.02와 2.45, 5.61과 5.98 Brix, 3.12와 3.24%였으며, L, a 및 b값은 각각 43.00, 51.02, 73.59와 58.32, 37.02, 75.98이었다. 목초액과 죽초액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3.67과 13.86 mg/mL로 목초액보다 죽초액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목초액과 죽초액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보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목초액과 죽초액의 농도 10 μL 첨가시료에서 각각 99.27와 99.22%로 두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초액과 죽초액은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20 μL의 농도에서 E. coli O157:H7균에서 각각 15.6과 14.8 mm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목초액과 죽초액은 천연 항산화제 및 항균제와 같은 식품첨가물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unding to the mycelia of five mushroom species caused them to be susceptible to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he high transformation rate indicated that the wound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were a highly conclusive for agroinfiltration. Some transformants of Ganoderma lucidum were distinctive from the wild type in their morphology and antioxidative activity.
4,000원
2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들기름을 농도별로 배추김치에 첨가하여 6주의 발효기간 동안 pH, 산도, 젖산균수, 산가, 과산화물가, 색도 등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들깨로부터 볶지 않고 냉압착한 들기름과 볶은 후 가열 압착한 들기름을 같은 농도별로 배추김치에 첨가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감소하였으며 6주 후에는 최적 pH인 4.48~5.38 범위였고, 산도도 점차 증가하여 1.20~2.09% 범위였다. 젖산균 수는 발효 0~1주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여 발효 6주에는 4.48~6.04 log CFU/g에 도달했으며, 냉압착 및 가열압착 들기름을 첨가하였을 때 젖산균이 더 증가하였다.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발효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들기름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열압착 들기름 첨가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 기간 경과와 더불어 색도 중 L 값과 a 값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b 값은 1주까지는 증가하다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들기름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관능평가를 한 결과 5% 냉압착 들기름을 첨가하였을 때 관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배추김치 제조 시 냉압착한 들기름의 첨가는 발효 시 유용한 젖산균을 증가시키고 관능특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fatty acid and dimethyl acetal (DMA) compositions of phospholipid (PL) classes [phosphatidylcholine (PC)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obtained from the reproductive organs of male (testis, vas deferens, seminal vesicle and spermatophoric sac) and female (ovary, oviduct, oviducal gland and nidamental gland) common squid. The PL contents in the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organs were 0.45-1.94 and 1.25-5.88 g/100 g tissues, respectively. The prominent PL classes in the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organs were PC (39.1-54.5% and 59.8-77.0%, respectively) and PE (30.6-40.6% and 18.7-31.8%, respectively).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PC and PE in the reproductive organs were docosahexaenoic acid (DHA, 22:6n-3), 16:0, 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20:1n-9, 18:0 and/or 20:4n-6. The percentage of DHA was higher in PC of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organs, while that of EPA was higher in the PE of both reproductive organs. The PE of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organs contained 18:0, 16:0, 16:1 and 20:0 DMAs, which derived from plasmalogen, especially 18:0 DMA was the richest (5.26% of total fatty acids and DMA) in the PE of the testis in all the organs tested.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roductive organs of male and female of the squid could be used as good sources for PC, PE, n-3 PUFA and plasmalogen.
4,500원
3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양식산 진주담치 Mytilus edulis 의 가치증진 및 향후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식품학적 자료를 얻기 위해 연안에서 생산되는 진주담치의 식품성분 조성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복합추출법으로 추출한 진주담치 추출물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진주담치 육의 수분, 조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79.0%, 15.2% 및 1.9% 이었고, 진주담치 총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16:1n-7, 20:5n-3 및 22:6n-3 등으로, 20:5n-3 및 22:6n-3을 위주로 하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매우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15,344.8 mg/100 g 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lysine 및 arginine의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총함량은 961.8 mg/100 g 으로, taurine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14.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및 arginine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진주담치 열수추출물, 잔사 효소분해물 및 복합추출물(Brix 20°)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6.6, 8.6 및 7.4%, 염도는 1.8, 0.9 및 1.6%, 아미노질소량은 264.6, 358.4 및 323.0 mg/100 g 이었다. 추출수율은 진주담치 1 kg 당 열수추출물 689 mL, 잔사 효소분해물이 323mL 로서 복합추출을 통해 약 47%의 수율이 증가하였다. 진주담치 복합추출물은 열수추출물과 관능적인 면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시판 굴자숙농축액과 비교하여 전혀 손색이 없었다. 열수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은 각각 5,733.5 및 7,210.5 mg/100 g 으로 glutamic acid가 함량 및 taste value로 보아 지배적이었으며, 다음이 aspartic acid, alanine, glycine, arginine, lysine 및 histidine 순으로 맛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4,300원
3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입경·비중 겸용 밭작물 곡물 선별기 개발을 위한 전 단계로서, 밭작물 곡물의 완전립과 불량립의 기하학적, 공기역학적, 마찰 특성을 측정하고, 선별기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선별 요인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곡물의 기하학적 특성 결과(길이, 폭, 두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치수와 형상을 결정하여 선별기를 제작하여 선별시험을 한 결과 선별효율은 콩의 경우 94.7%, 커피는 92.0%, 아몬드는 74.5%, 옥수수는 90.0%로 나타났다. 측정된 곡물의 마찰 특성 결과를 이용한 고무벨트 선별 시험 결과 콩의 경우 벨트 속도 0.5 m/s, 벨트 각도 5˚ 일 때 선별효율이 8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곡물의 공기역학적 특성 결과, 종말속도는 콩의 경우 4.4∼6.0 m/s, 커피는 3.2∼4.4 m/s, 아몬드는 3.5∼5.1 m/s, 옥수수는 4.7∼6.0 m/s의 범위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구제역으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발생원인과 바이러스 전파 과정에 대해서 명확한 원인과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의 발생에 있어서 불명확한 살처분 방지와 감염경로의 예측을 위한 지형적인 특성을 구명하고자, 2010년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 58개의 지형을 분류하였다. 분류요소는 농가가 위치한 고도, 경사도, 축사의 방향, 도로인접도, 마을인접도와 경사방향을 설정하여 발생농가의 지형적 자료를 각 항목에 분류하였다. 각 요소별 분류에서고도와 경사도, 하천인접도에서는 차이점을 나타내었으나, 축사방향 및 경사방향, 도로인접도, 마을인접도에서는 유사한 지형적인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제역 발생 농가만의 특수한 지형은 알수가 없었지만, 많은 변수들을 고려한 지형분류가 구제역 확산 방지와 예찰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작업효율 향상 및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을 위하여 고밀식 재배가 가능한 순환형 재배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시스템은 길이방향 이송장치, 측면이송장치, 10개의 재배베드부, 양액공급부, 제어부로 구성되어있다. 화경장과 그림자 길이를 고려하여 베드 거리를 60 cm로 설치하였을 경우 재배주수는 약 20~22 주/m2 로서 관행 고설재배에 비하여 2.1배 많은 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베드부를 견인할 때 최대견인력은 길이방향 이송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고안한 시스템에 대한 설계 중량을 이용하여 길이방향 이송을 위한 작동기의 용량을 계산한 결과 0.83Nm이상의 토크를 가진 것이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0개의 재배조 모두에 대해 수확이나 관리작업을 수행할 경우 소요되는 소비전력량은 41.1 Wh 이었다. 재배베드의 진동각은 측면 이송장치의에서 이동할 때 최대 5.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