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56

        110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omplex odor was measured by direct sensory method on site. Air samples of the fish factories were sampled with polyester aluminum bag and were analyzed by GC/FID/O and GC/MS. The feature of the complex odor was fishy, boild fish paste and dried slices of file fish. The odor active compounds of individual odor which chotribute these smell were mainly Hydrogen sulfide, Heptanal, 1-Hexanal, 2-Heptanal, TMA. Also contribution level of The designated malodor materials were higher than other industrial complex.
        4,000원
        110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의 7 조사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을 수온과 관련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지역에서 1년간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녹조류가 48속의 123종(46%), 규조류가 27속의 89종(34%) 그리고 남조류가 12속의 25종(9%) 등으로 총 26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분은 Fenchel (1987)이 제시한 2~20 μmm의 미소식물플랑크톤, 20~200μm의 소형식물플랑크톤, 200
        4,000원
        110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worldwide leading companies try to establish more efficient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getting high quality, reliability and safet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tandards for quality management, dependability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We also suggest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ystem of quality(ISO/TS16949), dependability (IEC60300)and risk(JIS Q2001). The evaluation method on the performance of dependability management systems ar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y.
        4,000원
        110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erm liquid storage diluted with Brine Mineral Water (BMW) in miniature pig. Therefore we performed to find optimal concentration of BMW. The ejaculated semen from miniature pig was collected by gloved-hand method. The collected semen was diluted with dilution solution (Mulberry Ⅲ; modified-Modena B) which BMW was added. Concentration of BMW was 0, 2.5, 5, 7.5, 10 and 12.5% in dilution solution. The diluted semen was preserved at 17℃. Sperm ability was estimated by viability, capacitation acrosome reaction using chlortetracycline (CTC), hypoosmotic swelling test (HOST), morphologic abnormality. The diluted semen was observed for 7 days. The viability was significantly measured higher at 2.5% concentration of BMW than other groups (p<0.05). The AR-pattern of CTC analysis was significantly measured lower at 12.5% concentration of BMW than other groups (p<0.05). However, abnorma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p<0.05). In conclusion, viability of sperm was the highest at 2.5% concentration of BMW but BMW had a negative effect on HOST,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in sperm of miniature pig.
        4,000원
        1110.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규모의 기업이 모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급속한 성장을 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경영의 비효율화로 인해 생산 업무에 원활한 지원을 할 수 없는 상태의 중견기업의 기업환경을 분석하고 작업 환경을 분석하여 기업이 내부에서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을 찾아 성장하는 기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단계별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새로운 기업환경에서의 경영효율화와 경영최적화를 이루는 프로세스를 구현하였다. 기업 환경 분석은 내외부 수준분석과 각 부서별 인터뷰,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업무 현황 및 당면과제에 대하여 SWOT분석을 통해 나타내었고, 각 부서별 Issue 및 개선 사항은 As-Is Flow를 통하여 프로세스, 시스템, 사람, 기업환경의 네 가지 관점에서 주안점을 찾아내었다. SWOT분석과 As-Is Flow를 기반으로 경영업무 정상화를 위한 우선 실행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중장기적인 종합추진일정계획을 수립하였다.
        4,000원
        1111.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AOPT) on manual dexterity and corticomotor facilitation in stroke patients. Ten hemipar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participate the three conditions; base condition (Base), physical training (PT), AOPT.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serve the action in the video that a therapist moved the blocks during the AOPT conditions. Corticomotor facilitation was determined in three conditions by monitoring changes in the amplitude of motor-evoked potentials (MEPs) elicited in hand muscles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MEP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after participants attended to three conditions. For the manual dexterity,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Ps amplitude significantly tended to be larger than PT and Base condition. The scores of BBT in the AOPT condi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finding of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physical training for observation of an action is beneficial for enhancing a dexterity of paretic arm in stroke patients.
        4,000원
        1112.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에 대한 화학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해충의 저항성이 발달되고 환경오염, 인축에 대한 위험 등의 이유로 화학농약의 사용을 줄이게 되었다. 그래서 친환경적인 방제인자인 미생물농약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t)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B.t는 그람 양성의 호기성 간균으로 토양, 곡물의 분진, 낙엽, 곤충의 사체등 다양한 곳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풍뎅이류 곤충의 사체로부터 B.t를 분리하여 딱정벌레목 및 나비목 해충에 대한 생물활성 검정을 하여 살충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SDS-PAGE를 수행하였다. 파밤나방에 대한 생물활성 검정 결과, CAB530 균주는 처리 48시간 후에 90%가 넘는 사충률을 보여주었으나 CAB533 균주는 6%의 사충률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장수풍뎅이 유충과 배추벼룩잎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살충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DS-PAGE 수행 결과 파밤나방에 살충활성이 있는 CAB530 균주는 B.t subsp. kurstaki와 비슷한 130kDa의 밴드를 나타냈으며 파밤나방 중장액으로 소화를 시킨 후에 약 65kDa의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파밤나방에 대해 살충활성이 적은 CAB533 균주는 65kDa의 독소단백질 밴드를 나타냈지만 파밤나방에 대해서 살충활성이 높지는 않았다.
        111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모기는 인간에게 질병을 매개하는 위생해충으로 세대기간이 짧으며, 번식력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모기에 대한 국내의 모기 방제는 대부분 성충을 대상으로 분무식 화학농약을 처리하였으나성충의 휴식 및 행동습성 그리고 정확한 서식처에 직접 접촉을 해야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방제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해의 본질적인 원인이 되는 모기 유충을 대상으로 곤충 살충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Bacillus thuringiensis(이하Bt)균주를 선발하여 친환경적인 모기 방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의 토양에서 Spherical type의 Crystal을 형성하는 19개 균주를 위상차 현미경으로 확인 후 모기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B.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CAB191균주를 선발 대량배양하였다., 생물검정은 현재 시판중인 B.t.i 약제(B제품) 와 에스메토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식물성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인 약제(A제품)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대상 해충은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이나도미집모기 (Culex inatomii),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의 3령 유충으로 생물 검정을 수행하였다. CAB191균주와 B제품은 103cfu/ml에서 이집트숲모기, 이나도미집모기, 지하집모기에 90%이상의 높은 사충률을 보였다. 반면 A제품은 1,000배 희석액에서 48시간 후 검정시 10%정도의 사충률을 보였다. 이로써 CAB191균주와 B제품이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t.i와 B제품, CAB191, 대조 균주로 B.t.morrisoni의 단백질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SDS-PAGE한 결과 CAB191, B제품이 B.t.i와 동일한 130, 72, 27KDa의 밴드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111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적의 성공적인 정착과 산란력은 천적의 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다.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사막이리응애를 사용함에 있어 천적과 해충사이의 적절한 밀도관리를 통한 해충 발생억제기작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강낭콩과 장미, 딸기를 기주로 하여 IOBC quality control guideline에 따라 산란력 및 생존율을 조사하여 점박이응애의 생물적 방제인자로서 사막이리응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도 20, 25, 30℃, 상대습도 70%RH, 광조건 16L:8D에서 각 작물별 산란력을 조사한 결과, 사막이리응애는 20℃에서 산란수는 적고 생존율은 높았으며, 30℃에서 산란수는 증가고 생존율이 급속히 감소하여 산란력과 생존율 간에 반비례의 관계를 보였다. 작물별로는 온도에 관계없이 장미에서 산란수 및 생존율이 높았으며, 강낭콩과 딸기에서의 산란수 및 생존율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연중 20~28℃의 온도 조건에서 재배되는 장미에 사막이리응애를 사용했을 때 좋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딸기의 경우에도 주간 17~20℃, 야간 10℃ 내외로 서늘하여 사막이리응애의 방사밀도를 조절하면 높은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11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해충의 역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해충명이 황(蝗), 황충(蝗蟲), 또는 비황(飛蝗)이다. 황충은 어떤 특정종의 이름이 아니며,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흔히 이주형 풀무치 또는 메뚜기의 총칭으로 흔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반도의 문헌을 비교하여 일찌기 Saigo(1916), Maramatsu(1921), Okamoto(1924)는 군거성 풀무치, 멸구류, 또는 일부 다른 종이 섞여있다는 주장들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백(1976과 1977)은 조선왕조실록에서 38건의 황충에 대한 기사를 추출해 분석하여 황충은 멸강나방이 주를 이루고, 일부는 벼멸구이고, 풀무치는 1건만 확인되며 나머지는 종류미상이라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윤과 문(2003과 2006)은 황충으로 풀무치와 대발생이 가능한 메뚜기류를 중심에 놓고 다른 곤충류의 가능성도 열어둔 바 있다. 이들 주장사이에는 한반도의 황충이란 것이 중국대륙처럼 풀무치를 비롯한 메뚜기류가 중심무리인지 또는 멸강나방 같은 과거에서 현대까지 이어 발생하는 주요 농업해충이 중심 무리인지를 놓고 해석의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우선 조선시대 관료들이 황충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문헌을 통해 고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조선왕조실록 원문DB에서 찾아볼 수 있는 황충 관련기사 229건를 분석하였고, 그 가운데 해석이 가능한 범위에서 현재의 생물학적 실체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조선시대의 황충의 실체는 미확인 종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 분석된 기사 중에는 멸강나방 유충을 대표로한 농업해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진정한 메뚜기류로 볼 수 있는 기록은 2건에 불과하였다. 아울러 문헌 비고를 통해 조선의 황충이란 것은 농업생태계에서 주로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을 일컫는 용어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11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프리카 품종별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섭식 행동패턴과 생명표작성을 통한 생물학적 특성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파프리카 4품종(그린에이스, 오로벨, 퍼플, 스마트 고추)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생식개시일, 수명, 생식일, 총 산자수, 평균세대기간(Tc), 순증가율(R0), 내적자연증가율(rm)을 25±℃, 상대습도60-70%, 광주기16L:8D 조건에서 조사하여 생명표를 작성하고 EPG기술을 이용하여 섭식행동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파프리카 품종간 복숭아 혹진딧물의 수명은 17.2~17.7일, 생식일은 11.9~12.4일, 총 산자수는 42.6~45.3 마리, 내적증가율에서0.364~0.365로 품종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생식개시일, 평균세대기간(Tc), 순증가율(R0)은 오로벨에서 각각5.6일, 10.29일, 42.86마리였고 그린에이스에서는 각각6.6일, 10.46일, 45.27 마리로 품종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EPG를 이용한 체관부 섭식시간 분석에서 첫 번째 탐침시간은 158~386초, 총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은 6675~7096초, 체관부 섭식횟수는 7.67~8.33회, 총 체관부섭식시간에서 9116~10871초로 품종간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탐침횟수, 구침활성시간, 첫 번째 체관부섭식시간은 오로벨에서 17.67회, 714초, 639초였고 그린에이스에서는 31.33회, 1460초, 1426.33초로 품종간 차이를 보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111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허브식물는 기능 및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식품 제조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소면적 작물로 그동안 허브 병해충에 대한 기존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고품질 허브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해충 종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전조사로 허브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발생소장이 규명되어야 한다. 이에 준고냉지에 20종의 허브식물을 식재하여 해충발생 특성을 2008년과 2009년 2년간 육안조사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발생한 해충은 총채벌레목 1종, 노린재목 4종, 매미목 4종, 나비목 8종, 딱정벌레목 1종, 파리목 1종, 거미강 1종, 기안목 1종 등 총 21종이었다. 허브식물별 해충발생수를 조사하였을 때, 바질 8종, 페퍼민트와 레몬밤, 7종, 세이지, 로켓샐러드 6종, 배초향, 구절초 5종, 벨가못, 펜넬, 한련화 3종, 로즈마리, 오레가노, 백리향 2종, 라벤더, 케모마일, 에키네시아, 고수, 쳐빌, 로즈제라늄 1종이었고,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는 피해 해충 종수는 더욱 감소하였다. 해충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허브식물은 재배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비가림하우스에서는 마조람 1종에서, 노지에서 재배한 허브식물 에서는 라벤더, 케모마일, 오레가노, 마조람, 백리향, 에키네시아, 고수, 로즈제라늄에서는 해충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후 해충발생특성 및 피해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해충방제체계를 구축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111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루이류, 응애류, 나방류 알과 어린유충 등을 포식하는 참딱부리긴노린재에 대한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5, 30, 35, 37.5, 40℃와 습도 70±10%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알 부화율은 25~35℃에서 80%이상이었으나, 37.5℃는 59.98%였고, 40℃는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알 발육기간은 25℃가 13.22일로 가장 길었고, 37.5℃가 4.98일로 가장 짧았다. 약충(1~5령)의 발육기간은 25, 30, 35, 37.5℃에서 각각 30.68 18.95, 14.34, 12.35일로 온도가 높을 수 록 짧아졌으며, 40℃에서는 발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충 발육기간 동안 생존율은 25℃에서 56.1%로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온도에서는 28.4%이하로 매우 낮아 대량사육과정에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성충의 평균 산란기간은 25℃가 37.93일로 가장 길고, 40℃가 6.46일로 가장 짧았으며, 성충 우화 후 70%산란기간은 25, 30, 35, 37.5, 40℃에서 각각 39, 23, 19, 11, 5일이었다. 총 산란수는 35℃에서 111.19개로 가장 많았고, 40℃가 22.11개로 가장 적었다. 성충의 수명은 25, 30, 35, 37.5, 40℃에서 각각 62.45, 39.32, 33.81, 17.00, 9.31일로 온도가 높을 수 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딱부리긴노린재는 35℃의 고온에서 정상적인 발육과 산란을 하는 것으로 보아 비닐하우스 고온 조건에서 재배되는 참외 등 포복성 작물에 발생하는 가루이류 등의 해충 생물적방제 천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1119.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MS(ethyl methansulphonate)는 alkylalting 물질로 초파리를 비롯하여 꼬마선충, 애기장대, 모기 등에 single-site mutation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은 노출량을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곤충의 돌연변이 유발에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당벌레의 번데기에 0.1과 1%농도의 EMS를 처리한 것과 UV-A(360mm)에 1시간과 12시간 노출시킨 것을 대상으로 발육기간과 성비, 색상패턴별 출현비율을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돌연변이원 처리가 무당벌레의 자손세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의 자손세대를 처리농도, 처리시간별로 동일한 진딧물을 공급하여 F2세대까지 사육하여 결과를 얻었다. EMS-1%와 UV-A 12시간처리구의 경우, 우화 세대의 성충이 산란한 알이 부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며, 발육기간은 EMS-0.1%처리구와(무처리: 20.24±1.90; 0.1%: 23.39±1.83; P=0.00), UV-A 1시간, 12시간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발육기간이 증가하였다(무처리: 21.43±1.79; 1Hr: 22.30±1.68; 12Hr: 22.75± 1.76; P=0.00). 우화 세대의 성비는 EMS와 UV-A에 따른 차이없었고, 생존율은 EMS-1% 처리에서 크게 감소 하였다(무처리: 95.23±8.24; 1%: 42.70±19.15; P=0.05). EMS와 UV-A 처리를 하면 발육기간동안 비정상적 탈피현상이 많았다. UV-A를 처리한 비멜라닌계통 모세대의 자손세대는 모든 개체가 비멜라닌계통으로 출현된 반면, EMS-1% 처리구에서는 비멜라닌계통의 출현비율이 70%로 EMS에 의한 자손세대의 색상패턴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112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산 병대벌레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하여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Asiopodabrus fragiliformis)는 체색이나 앞가슴등판의 형태에 의해 2개의 무리로 뚜렷하게 구분되었지만, 수컷 개체의 부족으로 생식기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없어서 형태 변이폭이 큰 종으로만 인식해 왔다. 최근 한국산 병대벌레과의 전종에 대한 DNA barcoding 분석에서 9개체의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가 각각 5개체와 4개체로 나누어져 2개의 단일 집단으로 구분되어 새로운 은밀종이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두 집단 사이에서는 3.9-5.2%의 큰 서열 차이를 보였고, 이들 각각의 집단 내 서열 차이를 보면 기존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집단은 0.0-2.0%, 신종 추정집단은 0.3-2.0%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2.0%의 divergence threshold를 보여주면서 뚜렷한 barcoding gap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 집단의 형태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로 신종 추정집단에서는 수컷 생식기에서 화살모양의 ventral process가 개체마다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기존 연노랑목가는 병대벌레집단에서는 기부에서 두껍다가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의 ventral process를 가짐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과거 형태적 분류로서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의 개체변이는 체색과 앞가슴등판의 형태적 차이를 가진 2종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종추정집단을 기존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에서 독립된 Asiopodabrus sp. nov.로 명명하여 신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