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4

        14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20 new Korean GOC cases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The mean age of 20 GOC patients was 43.5 years (range, 29-73 years) with a strong predilection for male (male-to-female ratio, 4:1). Nine cases were located in the maxilla and 11 cases in the mandible. Eight cases involved the anterior areas of the jaws and 12 cases were located in the posterior area. Most of the cases (16/20, 80.0%) showed a well-defined unilocular radiolucency and some showed cortical perforation (55.6%) and bony expansion (72.2%) in computed tomography.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al feature was eosinophilic cuboidal cells (100%), followed by clear cells (95.0%), mucous cells (85.0%), variations in thickness (85.0%), and intraepithelial microcysts (80.0%). All cases were surgically treated by enucleation and no recurrences were found in routine follow-up.
        4,000원
        14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연림을 구성하는 어떤 수종집단의 갱신은 대부분 종자 비(seed rain)로 낙하된 종자 또는 매토종자가 발아하여 치 수, 성목으로 자라면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는 발아에 적 합한 입지조건이 필요하며, 발아묘를 가해하는 동물, 다른 식물들의 방해, 열악한 환경조건에서의 생존능력 등이 관련 된다(Kimmins, 1997). 한편 Grubb(1977)은 천연갱신에는 개화, 수분 및 결실을 포함한 활력 있는 종자생산, 발아, 정착, 성장 등의 단계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천연 림의 생태적 영속성이 유지되려면 가장 먼저 충분한 종자, 건전종자가 환경공간에 공급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 자생산의 연년변이와 이에 대한 원인과 생태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숲의 갱신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건전종자의 생산은 어떤 종의 천연림 생태계에서 지속적인 생존에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며, Masaki et al. (2007)은 치수발생 밀도 는 낙하종자 밀도로 설명됨을 보고하였다. Wesolowski et al. (2015)은 보호지역 천연림에서 우점하는 5종의 종자생 산 연년변이가 현저함을 보고했으며, 종자생산의 습성은 수 종마다 다르며 나름대로 생존을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가 지고 있다고 알려졌다. 북반구 수목의 종자생산 연년변이는 진화의 전략이며, 내생적 종자 생산주기(결실주기)는 관찰 되지 않았고, 종자생산의 연년변이는 실무율의 법칙(all or none law)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정규분포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수액을 음료용으로 이용하고 목재도 특수 용도로 활용되며, 조림수종으로 조림수요가 있는 고로쇠나 무의 천연갱신에 임상긁기(Figure 1)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종자풍년(masting year)인 21013년 가을, 양구군 해안면의 고로쇠 채종림에서 소형방형구(2×2m)를 4곳에 설치하고 종자낙하량, 치수발생량, 치수의 생육상태를 2015년 가을 까지 조사하였다. 발아묘가 발생한 이후 주기적으로 경쟁식 생을 제거하는 작업과 발아묘의 생육상태 및 개체수를 확인 하였다(Figure 2, 3). 현재까지의 주요 결과는 고로쇠나무의 발아묘의 형태적 특성, 발아묘의 피해양상, 시기별 발아묘의 개체수 등에 대 한 주요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2013년 종자풍년 이후에 2014년 봄에 다량의 발아묘가 발생하고 발아묘는 경쟁과 잎벌레류의 피해로 개체수가 점차 줄어드는 변화를 보였다. 고로쇠나무림 내에서 생육 중인 치수들이 드문드문 분포하 는 것을 고려하면, 다수의 발아묘가 생존하는 것은 부정기 적이나 종자풍년 이듬해 발생하는 다량의 발아묘가 피해발 생에도 불구하고 다수 생존하여 천연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일정기간 추가적인 조사ㆍ연구가 필 요하다. Figure 1. Injured seedlings of A. pictum subsp. mono in late May, 2015 Figure 2. Making regeneration bed in late August, 2013 Figure 3. Germination of A. pictum subsp. mono seed in early May, 2014 REFERENCES Kim, G.T. and H.J. Kim(2013) Secondary Dispersion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eeds by Wildlife in Mt. Jungwang, Pyeongchang‐.gu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1): 64-70. Kim, G.T. and Kim, H.J. 2012. Sex morph, fruiting habit,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91-95. Masaki, T., K. Osumi, K. Takahahi, K. Hoshizaki, K. Matsune and W. Suzuki(2007) Effects of mi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eed-to-seedling process and tree coexistence in a riparian forest. Ecol. Res. 22: 724-734. Wesolowski, T., Rowinski, P. and M. Maziarz(2015) Interannual variation in tree seed production in primeval temperate forest: does masting prevail? Europe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4 : 99-112.
        14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MR urography는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기능, 역류까지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유용한 검사법이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 수면 하 검사를 이용하여도 호흡에 의한 움직임과 pulsation 인공물로 인해 영상 판독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호홉에 대한 움직임을 보정하는 여러 기법들이 사용되는데 기존 소아 MRU에서 사용되는 PACE를 이용한 T1 강조영상과 최근 움직임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3D radial vibe FB기법을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적용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3D radial vibe가 TR/TE 4.4/1.9ms, FOV 320mm, slice thickness 3mm without gap, slice 52, radial view 600(rotation 6),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또한 T1WI-PACE는 TR/TE 400/11ms, FOV 350mm, slice thickness 4mm, gap 1mm, slice 50,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검사 시간은 radial vibe 1분 24초, T1WI-PACE 4분 23초(장비 설정값)이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영상의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 vessel clarity에 대해 5년차 이상 방사선사 3명이 five scale로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Radial vibe와 T1WI-PACE의 정성적 평가 결과는 overall image quality에서 radial vibe가 3.6, T1WIPACE가 3.3으로 나타나 두 기법사이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에서는 radial vibe가 4.1, T1WI-PACE가 3.4로 나타나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pulsation artifact에서는 raidal vibe가 3.8, T1WI-PACE가 2.7로,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보였으나 vessel clarity는 raidal vibe가 2.5, T1WI-PACE가 3.8로 PACE를 사용할 경우 vessel clarity가 더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검사 시간의 경우는 radial vibe는 1분 24초로 고정된 검사 시간이었으나 T1WI-PACE는 환자 호흡 상태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했다. 결 론 : MRI pediatric urography 검사에서 T1WI-PACE 기법과 radial k-space sampling을 이용한 3D radial vibe기법으로 획득된 영상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두 기법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는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하며, vessel clarity는 T1WI-PACE이 radial vibe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검사 시간의 경우 radial vibe는 고정된 시간외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T1WI-PACE의 경우 환자의 호흡 주기 등의 여러 상황에 따라 변화되므로 검사 시간에 대한 일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MRU에서 T1 영상 획득 시 3D radial vibe 기법은 시간을 줄이며 영상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 판단된다.
        144.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of the pancreas (BD-IPMN) without malignant features rarely developed into invasive cancer. However, invasive cancer is aggressive once an invasive change occurs.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s which developed in patients with BD-IPMN and they showed grave clinical courses.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D-IPMN < 3 cm without malignant features on imaging. Invasive cancer was detected at 2.5 years, 3.0 years, and 4.0 years after BD-IPMN detection in each patient. The intervals of invasive cancer and the last follow-up were 9 months, 3 years, and 1.5 years in the three patients, respectively.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ocally advanced pancreas invasive cancers and were treated with palliative chemotherapy or conservative management. The patients died at 3 months, 9 months, and 10 months after the diagnosis of invasive cancers, respectively.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 developed in BD-IPMN patients and followed fatal courses.
        4,000원
        14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atellite image data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Extraction of forest information is the field which has great application possibility. Forest type information can be used in forecasting and simulating soil erosion, landslides and debris flow as an important influence factor.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has advantages to obtain latest forest type information. NDVI calculated from near infra red band of satellite imagery represents vegetation activity, with seasonal difference of it forest type can be classified. In this study, we analyzed MODIS imagery from 2011 years to 2013 years in Gangwon-do where forest area is large and classified forest type with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As a result,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forest type of digital map and it classified from NDVI. The possibility for extraction of forest typ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ry was confirmed.
        4,000원
        14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debriefing with video and oral debriefing alone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educational simulation setting. Methods: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experiment were 168. Data was collected for each group after the simulation including debriefing. Result: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simulation debriefing with video and control group had differences in clinical practice item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simulation debriefing with video had significantly higher debriefing satisfaction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experience that.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imulation debriefing with video wa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promote debriefing satisfaction. It is needed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debriefing satisfaction.
        4,200원
        14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evaluation in the simulation-based maternity nursing. Methods: The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taken by 112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30 item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evaluation tool has been developed for instructor. And 30 item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scale(self reported form) was used for students. Result: The critical items of the simulation-based maternity nursing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Mean score for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are as follows: student's evaluation 4.0(on a 5-point scale), instructor's evaluation 76.7(on a total 90-poi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evaluation score. Conclusion: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guideline in development direction of qualitative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4,000원
        14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nursing,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Methods: Participants were six nursing students who underwent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n-depth focus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wo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1) shift from being an observer to being active participants and 2) shift from unidimensional to multi-dimensional problem solvin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learning attitude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se results can also guide nurse educators regard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simulation environments are more effective
        4,000원
        14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inical competence scale to assess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neonatal core nursing management after delivery in the simulation-based clinical situations. Methods: The assessment items developed with 14 items of 3 point scale. An expert panel of 4 professor and 1 nurse reviewed the scale for content validity by using the CVI(Content Validity Index).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content validity, 14 items of the checklist were developed. The simulation-based neonatal core nursing education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for 6 hours lecture and practice was provided to 26 small groups. Result: The total mean score of clinical competence in neonatal core nursing care was 20.04. Items with the highest mean score was 1.87 with 'apply clean gloves'. Items with lowest mean score was 1.15 with 'perform the body temperature management to the neonatal'. Reliability of between two evaluation using Cronbach's alpha was .86. Conclusion: This results show neonatal core nursing care assessment tool developed this study had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property of tool in neonatal core nursing care assessment tool.
        4,000원
        15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게 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임상수행능력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나아가 임상수행능력이 뛰어난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4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임상실습 경험을 한 간호대학생 3-4학년 21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임상수행능력과 자아탄력성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전공 만족도, 자아탄력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봤을 때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증진을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의 증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역시 이런 사실을 반영하여야 하며, 특히 비(非)교과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전문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4,800원
        151.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경/목적: 2012년 급성췌장염의 애틀랜타 분류 개정안이 발표되었고 이후 널리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2년 애틀랜타 분류와 2012년 개정안을 이용하여 급성췌장염 환자를 분류한 후 임상경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7월 사이 대구경북지역 6개 대형 병원에 입원한 총 574명의 급성췌장염 환자를 대상으 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2년 애틀랜타 분류와 2012 년 개정안을 이용하여 중등도 평가를 시행하고 인구 통계 자료, 장기부전, 국소합병증, 입원기간, 임상경과 등을 분석하였다.결과: 대상 중 377명(65.7%)이 남성이었다. 연령의 중간값 은 55.4세였다. 급성췌장염의 2대 원인은 음주(238명, 41.5%)와 담석(193명, 33.6%)이었다. 2012년 개정안에 따르 면 경증췌장염은 356명(62%), 중등췌장염은 197명(34.3%), 중증췌장염은 21명(3.7%)이었다. 입원기간은 중증도 증가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증가하였다(경증 5.9일, 중 등 8.3일, 중증 13일, p <0.001). 모든 경증 및 중등췌장염 환자는 임상적으로 호전되었다. 하지만, 호전을 보이지 않은 11명은 모두 중증췌장염에 속했다. 결론: 애틀랜타 분류 개정안이 급성췌장염의 임상경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좋은 방법이다.
        4,000원
        152.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근시성 레이저굴절교정수술 후 근시퇴행안에서 밤에 착용하는 역기하렌즈 착용 후의 시 력교정효과와 시력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레이저굴절교정수술을 받고 근시퇴행이 발생한 성인(4안)을 대상으로 세극등현미경검사 후 Paragon CRT 100 Trial Lens를 착용시켜 적절한 피팅상태를 확인한 후 각막굴절교정렌즈 를 착용시켰다. 각막굴절교정렌즈(paragon CRT100) 시험렌즈는 회사 기준표에 따라 레이저굴 절교정술 후 약주경선굴절력 값과 원하는 구면교정굴절력값을 기준으로 결정하였고, 플루레신 패턴을 보고 적절한 피팅상태 확인하여 최종처방렌즈를 결정하였다. 착용 1일, 1주일, 2주일 후에 ETDRS Chart 100%와 10%를 사용하여 밝은 조명상태와 어두운 조명상태에서 시력을 확 인하고, 굴절검사를 실시한 후 WASCA CRS-Master를 사용하여 전체수차, 고위수차, 구면수 차, 코마수차를 측정하고 렌즈 착용 전과 비교하였다. 결과: 레이저굴절교정수술 후 근시퇴행안의 자각적굴절검사값은 -2.38±0.43 D, 각막굴절교정 렌즈 착용 후 -0.56±0.13 D 로 감소되었고,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후 100% 대비시력은 밝 은 조명상태에서도 착용 1일 0.48±0.19 logMAR, 착용 1주 0.24±0.11 logMAR, 착용 2주 0.11±0.07 logMAR 로 착용 전 0.91±0.06 logMAR보다 좋아졌으며, 어두운 조명상태에서 착 용 1일 0.71±0.08 logMAR, 착용 1주 0.39±0.10 logMAR, 착용 2주 0.29±0.07 logMAR로 착용 전 0.99±0.03보다 좋아졌다. 10% 대비시력도 밝은 조명상태에서는 착용 1일 0.82±0.08, logMAR, 착용 1주 0.56±0.12 logMAR, 착용 2주 0.40±0.14 logMAR로 착용 전 1.04±0.06 logMAR보다 좋아졌고, 어두운 조명상태에서도 착용 1일 1.02±0.06 logMAR, 착용 1주 0.85±0.10 logMAR, 착용 2주 0.73±0.19 logMAR로 착용 전 1.08±0.00 logMAR보다 좋 아졌다. 6mm zone에서 분석한 고위수차는 변화가 없었으나 전체수차, 코마수차 그리고 구면 수차는 착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근시퇴행이 발생한 사람에게 밤에 착용하는 역기하렌즈를 피팅한 결과 시력이 개선되고 전체수차, 코마수차, 구면수차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 근시퇴행안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에 의한 시력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15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연령에 따른 양안 굴절이상 차이를 분석하여 급증하는 노인인구 안보건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세 이상의 성인 100명(평균나이: 46.14±15.67세), 200안을 대상으로 KR-8800(Topcon inc., Japan)을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IOL Master(Carl Zeiss inc., Germany)를 이용하여 안축 길이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핵백내장성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와 수술을 고려하여 세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양안 굴절이상의 분포와 차이 및 부등시와 안축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결 과: 굴절이상도는 20~39세 그룹의 등가구면 굴절력이 .5.25±2.73D, 40~59세는 -2.38±3.41D 그리고 60~79세가 0.57±1.37D의 분포를 보였으며, 양안굴절이상도의 차이는 20~39세 그룹이 0.71±0.74D, 40~59세는 0.96±0.66D 그리고 60~79세가 1.56±0.34D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안의 양안 안축 길이 차이는 20~39세 그룹이 0.34±0.57 mm, 40~59세는 0.27±0.30 mm 그리고 60~79세가 0.42±0.13 mm로 나타났다. 양안 굴절이상 차이와 양안 안축 길이 차이의 상관관계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20~39세 그룹: r=0.48, 40~59세 그룹: r=0.61, 그리고 60~79세 그룹: r=0.72). 결 론: 나이가 증가할수록 부등시의 발병률과 양안 굴절이상 차이가 증가하였다. 이것이 노인 인구의 시기능 저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올바른 안경 처방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척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DTI 기법은 현재 많은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spinal cord를 영상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DTI 기법 중 2D ss-DWEPI에 IMIV(Interleaved Multisection Inner Volume) 방법을 접목한 2D ss-IMIV-DWEPI 기법은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공간적 범위를 감소하여 자화율 왜곡과 motion artifact 등을 줄이고 진단 시 병변 감별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DTI 기법 사용 시 2D ss-DWEPI에서 IMIV 기법을 적용 할 때와 기존 2D ss-DWEPI에서의 rFOV변화에 따른 FA 값과 ADC 값을 비교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여 IMIV 기법사용 시 DTI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cervical spine 검사 시 DTI sequence를 적용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spine coil과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DWEPI DTI는 TR/TE: 4000/65ms, FOV: 192mm, slice thickness: 2mm without gap, matrix: 128×32, 64, 128(rFOV 25%, 50%, 100%), NEX: 8을 사용하였다. 또한 ss-IMIV-DWEPI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matrix 128×32(rFOV 25%)를 사용하였으며 두 기법 모두 slice 수 10개, b factor 0, 500s/mm² 적용하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sagittal 영상을 얻어 cervical C1에서 T1까지 각각의 척추디스크 사이에 ROI를 그려 ADC, FA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2개 segment (C1∼C5, C5∼T1)로 나누어 영상의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을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ADC와 FA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한 평균값은 ADC에서 IMIV 560.7, rFOV100% 1261.3, rFOV50% 1387.3, rFOV25% 1321.9 로IMIV의 ADC 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IMIV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rFOV50%에서 138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에서는 IMIV 623.1, rFOV100% 578.7, rFOV50% 544.5, rFOV25% 495.7로 IMIV의 F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ADC에서 IMIV와 rFOV25, rFOV50, rFOV100의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FA에서도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IMIV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rFOV 변화에 따른 값들 모두 유의한 값을 얻었다. 정성적 평가는 방사선사 5명이 영상을 관찰하고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 등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5명의 점수를 평균화 하였다. ADC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 upper/lower spine segment 모두 3.8-4.8 사이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는 lower spine segment에서 1.2-2.0 사이의 낮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upper/lower spine segment에서 3.6-4.6 사이의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 1.4-1.8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0T MRI Cervical spine 검사에서 small FOV DTI 사용 시 IMIV-DWEPI 기법을 사용한 DTI는 기존 DWEPI에 비해 긴 검사 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motion artifact, distortion 등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능력이 우수하므로 임상적 이용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5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전국 의료기관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Electrical Medical Record; EMR) 도입 수준 및 임상 용어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작업치료 임상용어체계의 표준화를 위한 기 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하는 121곳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임상 용어 사용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 EMR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SPSS의 다중응답(multiple response) 모듈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 총 121개 기관 중 EMR을 사용하는 기관은 102개, 84.3% 였다. 치료예문이 미리 입력 되어 있고 시행 내용을 불러오는 형식으로 예문 수정이 가능한 경우가 많았으며, 사용하는 작업치료 용 어가 수행중인 치료 영역을 포함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60.0%이상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작업치료 임상용어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85.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협회에서 공식적인 임상용어 표준안을 제시할 경우 74.5% 기관에서 적용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국제의료행위분류,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PT) 코드,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 용어 등에 근거한 한국화된 작업치 료 임상용어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500원
        15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소아 척추 MRI 검사 시 빠른 심박동수와 호흡으로 인해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인공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조영증강 후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IBE(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기법을 기존의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한 소아환자 30명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9세에서 18세까지이며, 평균 연령 13.4세였다. 사용 장비로는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로 하였고, 32ch spine coil과 20ch head &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SE 기법과 VIBE 기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흉추 MRI 영상을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항목(1: bone cortex & marrow의 선예도, 2: 뇌척수액과 척수의 묘사, 3: 움직임과 호흡에 의한 인공물 감소, 4: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 5: 조영 증강의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point scale로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는 척추신경에 대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SPSS 22.0 사용한 paired t-test로 통계적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결 과 : 5명의 평가자가 TSE 기법과 VIBE 기법을 평가한 결과 영상평가 1번 항목에서 평균값이 각각 3.10(±0.12)점, 3.80(±0.31)점, 2번 항목에서 3.03(±0.56)점, 4.25(±0.35)점, 3번 항목에서 3.20(±0.62)점, 3.75(± 0.51)점, 4번 항목에서 3.13(±0.58)점, 3.88(±0.68)점, 5번 항목에서 3.68(±0.43)점, 3.35(±0.47)점으로 나타났다. 척수와 척수액의 평균 CNR은 TSE 기법이 3.91, VIBE 기법 5.71으로 1.02~2.29배(평균:1.46배) 높게 측정되어 VIBE 기법이 TSE 기법보다 CNR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paired t-test 통계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척추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있어서 TSE 기법과 VIBE 기법의 영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VIBE 기법에서 움직임 및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가 우수하였으며, 척수와 척수액의 CNR이 평균 1.46배 차이를 보임으로써 VIBE 기법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하여 뇌신경계 병변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VIBE 기법이 척추 질환 진단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앞으로 소아 척추 질환 진단 시 VIBE 기법이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5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Multi echo Dixon을 기반으로 한 PDFF(Proton Density Fat Fraction) 기법을 이용하여 넓은 간 영역의 지방 함량을 계산하고 자기공명분광법(MRS)과 비교 분석하여 불균질 적으로 침착된 지방간에서의 유용성을 입증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2월부터 7월까지 본원에서 복부 자기공명 영상검사를 시행한 환자 142명(남: 97, 여: 45, 평균연령: 57.9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R System은 3.0T Magnetom Tim Verio(Siemens Healthcare, Germany)를 사용하여 Multi echo Dixon(3D VIBE DIXON), MRS(Single voxel high speed T2 corrected multiple echo 1H-MR spectroscopy) 기법을 시행하였다. Multi echo Dixon의 영상변수는 TR은 9.2msec이고 TE는 1.23, 2.46, 3.69, 4.92, 6.15, 7.38msec이며 Slice thickness는 4mm, Matrix: 165×256, FOV: 315×420이며, MRS에서 TR은 3,000msec 이고 TE는 12, 24, 36, 48, 72msec, Voxel size: 30×30×30mm를 사용하여 각각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PDFF Fat percentage map 상의 각각의 7개의 엽에 (II-VIII) ROI를 설정하였으며(“Segmental-PDFF”), MRS의 VOI와 같은 지점에 ROI를 설정하였다(“VOI-PDFF”). 그리고 서로 다른 세 지점에 Tablet pen을 이용하여 Liver margin을 따라 ROI를 그렸다(“Free drawn-PDFF”). 지방분율 cut-off 값인 5.56%를 기준으로 T-test, Pearson’s correlation, Linear regression test, McNemar test를 이용하여 PDFF와 MRS의 상관관계 및 좌, 우엽의 지방 함유 관계와 각각의 진단적 능력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Mean fat percentage는 Free-drawn PDFF(4.5%±3.7)와 VOI-PDFF(4.5%±4.1)가 MRS(4.5%±4.3)에 가장 근접한 결과 값을 보였고, 그 중 VOI-PDFF가 가장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r=0.972, r2=0.944). 또한 지방증과 비 지방증 집단에서 우엽이 좌엽보다 더 높은 지방 함유를 나타냈다(7:2). 또한 MRS는 142명 중 40명(28%)을 지방증으로 구분하였고, Free-drawn PDFF는 32명(22.5%)을 지방증으로 구분하였다. 결 론 : MRS에서는 VOI를 국소적인 곳에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 불균질하게 분포 되어 있는 지방을 정량화함에 있어 지방분율 Cut-off 값인 5.56%를 기준으로 지방증을 진단하는데 다소 부정확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PDFF의 Free-drawn 기법은 간 전체 영역의 지방을 정량화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다. 따라서 Reference standard로서 MRS기법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15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차림 잠재식생 변화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예산군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지상부 (현존식물)와 지하부 (매토종자 발아식물) 식생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매토종자 발아의 관속식물은 침엽수림이 20과 27속에 딸린 28종 1변종의 29분류군이었고, 활엽수림은 18과 32속에 딸린 34종 2변종의 36분류군이었다. 국화과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모두 가장 많이 발아한 매토종자의 식물 집단이었고, 조사구 출현빈도는 침엽수림의 방동사니와 활엽수림의 고들빼기가 높게 나타났다. 토심별 분류군은 침엽수림이 토심 0~10cm, 활엽수림이 토심 0~5cm에서 가장 많았고, 개체수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모두 토심 0~2cm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토심이 깊을수록 감소하였다. 매토종자의 발아 개체수가 가장 많은 식물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모두 고들빼기이었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유사도지수는 평균 0.22로서 낮았으며,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은 유사도지수가 평균 0.40으로서 지상부와 지하부 비교보다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5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on simulation-based practice in woman’s hospital an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level of satisfaction affect to clinical competence. Method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93 students who did simulation-based practice and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70 students who practiced in woman’s hospital. Data was analyzed using ex post factor experimentation during second semester in 2013.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to clinical competence in experimental group were satisfaction of contents and duration(R2=.24). The most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to clinical competence in control group were satisfaction of evaluation and practice stressor (R2=.32). Conclusion Si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ce the difficult part in clinical practice of maternity nursing is practiced repeatedly, student’s competence can be improved. Hence the continual study was required.
        4,500원
        16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inical competence scale to assess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ostpartum bleeding care in the simulation-based clinical situations. Methods: The assessment items developed with 12 items of 3 point scale. An expert panel of 3 maternity professor reviewed the scale for content validity by using the CVI(Content Validity Index).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content validity, 12 items of the checklist were developed. The simulation-based postpartum hemorrhage nursing education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for 6 hours lecture and practice was provided to 32 small groups. Result: The total mean score of clinical competence in postpartum hemorrhage care was 17.34. Items with the highest mean score was 1.88 with ‘introduce myself to the patient'. Items with lowest mean score was 0.19 with 'assess the general conditions'. Reliability of between two evaluation using Cronbach's alpha was .86. Conclusion: This results show postpartum hemorrhage access tool developed this study had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property of tool in postpartum hemorrhage access too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