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8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남 창녕에 소재한 콩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 적, 화학적(중금속) 및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위해요소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 등으로 확인되었고, 화학적 위해요소 중 토 양과 농업용수에서의 중금속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이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6.0±0.3 및 3.6±1.6 log CFU/g, 농업용수는 3.5±0.7 및 1.9±0.7 log CFU/mL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고, E. coli 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O157도 토양 중에서 약 22%가 검출됨에 따라 분변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론적으로 재배환경 중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중금속)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에 적합했지만, 생 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최종산물로의 교차오염을 방지 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8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grasp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at golf course, corp oration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s’ revisit intention through a regular service evaluati on satisfying customers’ expectation and needs a
        6,400원
        86.
        200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ormation about time spent in microenvironments plays a critical role for an exposure assessment of the person concerned, considering the personal exposure rel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activity patterns of the population at risk and human activities impact the timing, location, and level of personal pollutant exposure.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present indoor time activity patterns of Korean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and to determine individual factors of time spent in microenvironments. The population based study collected time activity pattern of about 32,000 Korean for two consecutive days. The mean times spent at home, other indoors, outdoors, and transportation in related to the whole sample of 19.025 people are 14.23hrs(59.3%), 6.80hrs(28.3%), 1.26hrs(5.2%), and 1.75hrs(7.3%) in weekday, respectively. Database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he proportion of persons in different locations changes by time of day in weekday. Here, we see that over 90% of respondents were in a residence from about 11 PM to 5 AM, and the larg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in offices, factories, schools and public buildings occur between 8 AM and 5 PM.
        4,000원
        8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aCl 농도가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PDA배지에서의 NaCl 농도에 따른 균사생장은 0.5%처리까지는 버섯균사 생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1.0% 처리에서는 생장하는 속도가 무처리에 대비하여 감소되기 시작되어 5.0%에서는 균사생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톱밥배지에서는 PDA배지에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균사생장의 감소속도는 완만하였다. 톱밥 병재배시 NaCl 농도별 시기별로 관수 처리한 결과에서는 균긁기 직후 처리에서는 버섯 품질과 수확량에서 3.0%처리부터 떨어지기 시작하여 10.0% 처리에서는 무처리의 47%정도 밖에 수확할 수 없었다.버섯 발이 직후 처리에서는 균굵기 직후의 처리와 유사한 경향이나 발이전 침수보다는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10.0% 처리에서도 무처리의 90%정도로 그 피해가 적었다.버섯생육도중 관수처리시는 10.0% 처리 이외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처리도 발이전 처리 및 발이후 처리보다는 생육특성이 양호하였다.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에 있어서는 처리시기별, 처리농도 별로 커다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느타리버섯에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일부의 농가에서 부분적으로 먹는 물의 기준치에 초과하는 농도를 보이고 있으나 이것이 직접적으로 버섯재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8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DNA 바코드를 이용한 분자분류가 동물계 전반에서 빠른 종판별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과 단위 이상의 분류군에서 전체종이나 그에 상응할 수 있는 지역상 곤충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딱정벌레목 가운데 형태분류가 비교적 잘 정립된 한국산 병대벌레과(Cantharidae) 전체 종을 대상으로 DNA바코드를 이용한 종 판별 결과가 기존의 형태분류의 결과물과 어떤 관련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한국산 병대벌레과 총 4아과 13속 33종 중 DNA stock 확보가 가능한 총 4아과 11속 27종에서 DNA 바코드를 우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대벌레과의 분석종들은 0.6%에서 31.7%의 상당히 큰 폭으로 종간 유전적 분화율을 나타내었으나, NJ phenogram에서는 각 종간에 뚜렷이 구분되는 분지가 형성되었다. 특히, DNA 바코드 상에서의 종간 서열 차이가 비교적 작은 수치일지라도, 형태분류학의 동일 종의 샘플들의 분지는 같은 매듭(node)으로 수렴되었다. 이것으로 볼 때, 분자분류에서 유전자의 분화율과 함께 NJ phenogram 상에서의 분지양상 역시 중요한 종 동정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딱정벌레목에서 과 수준에서의 DNA 바코드을 이용한 종 동정 활용에 있어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8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was proposed to show the comprehensive review of laws and regulations on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that are being established and carried out in various countries. Ten countries including USA, Canada, Australia, Japan, and 6 European countries which were regarded as the leaders in the prevention of MSDs were selected for review. Compar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laws,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MSDs among different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various efforts of the advanced countries concerning on preventing MSD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factors that might be introducible to Korean policies. Some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our MSDs prevention policies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valuable information when revising relevant legal system.
        4,000원
        9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을 각종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지별 마늘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색도 중 L값은 53.41∼57.15, a값은 -3.49∼-4.38 및 b값은 11.47∼17.55였으며,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 및 회분 함량은 각각 65.24∼71.96, 6.24∼9.35, 0.21∼0.49, 19.01∼22.72, 0.58∼0.95 및 1.01∼2.01%로 나타났다. 산지별 마늘의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Na, Mg, K, Ca 및 P였으며, 그 함량은 각각 27.22∼112.03, 18.17∼32.56, 242.16∼569.28, 28.60∼63.93 및 117.72∼265.21 mg%였고,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였다. 마늘은 17종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그 중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주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2,709.33∼4,561.04 mg%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2.966∼8.673 mg%이었다. 산지별 마늘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였으며, 불포화지방산이 72.18∼74.35%였고, 포화지방산은 25.65∼27.82%였다. 산지별 마늘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그램 음성 및 양성 모든 세균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4,000원
        9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미기록속인 Mimemodes Reitter, 1876 큰머리긴고목벌레속 (신칭) 및 한국미기록종인 Mimemodes emmerichi Mader, 1937 큰머리긴고목벌레 (신칭)을 보고하고, 이들이 배속된 과명에 대한 논란과 변천을 소개하고자 한다. Mimemodes속은 극동러시아에 4종 (Medvedev, 1992), 일본에 5종 (Nakane, 1959; Hisamatsu, 1983)이 알려졌다. Mimemodes속은 국내에 이미 보고된 Monotoma Herbst, 1793 (톱가슴긴고목벌레속)과 근연의 무리로 이들과는 딱지날개의 점각이 도랑을 이루고 있다는 점으로 구별된다. Mimemodes속은 Reitter (1876)에 의해 Nitidulidae (밑빠진벌레과)의 한 속으로 알려져 왔으나, Mader (1937)는 이를 Cucujidae (머리대장과)에 배속시켰으며, Kôno(1940)는 이 속의 상위 아과인 Monotominae (톱가슴긴고목벌레아과) 자체를 Cucujidae (머리대장과)의 한 아과로 배속시켰다. 이 후 Crowson (1955)이 Monotominae를 Rhizophagidae Redtenbacher, 1845 (긴고목벌레과)로 편입시켰다. 하지만 Lawrence & Newton (1996)은 Rhizophagidae (긴고목벌레과)의 학명 선취권에 대한 논의를 통해 Monotomidae Leporte, 1840가 과에 대한 학명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하였으며, 현재는 이를 따르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는 Rhizophaginae 3종을 비롯하여 총 2아과 3속 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유류에서 옥시토신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신경뇌하수체 호르몬이다. 옥시토신은 주로 젖의 분비를 일으키고 분만 시 자궁의 수축 및 모성 행동과 관계가 있다. 모성 행동은 스트레스에 의해 억압을 받으며 옥시토신에 의해 촉진된다. 본 연구는 제왕절개의 스트레스와 자궁내 옥시투여에 따른 모성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 결과, 자연 분만 예에서 스트레스를 준 개체와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개체에서 새끼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
        4,000원
        96.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V40 Tag을 마우스 albumin 유전자의 promoter/enhancer 조절 하에 발현하도록 설계된 재조합 유전자를 마우스 1세포기 수정란에 미세 주입하여 형질 전환 마우스를 제작하고 이들의 인체 간암 모델로써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형질 전환이 확인된 총 11개체의 founder 생쥐들 중 4개체가 간암을 일으켰고, 두 개체는 신장암을, 한 개체는 피부 및 뇌에서 종양을 각각 일으켰다. 이들로부터 외래 유전자를 계대 유전하는 3가계를 얻었다(#1-2, #1-6, #1-11). 이들 가계의 자손들에서 8주령(#1-2, #1-6) 혹은 10주령(#1-11) 시부터 간암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었으며, #1-11 founder 개체에서 폐로 암세포가 전이된 것 외에는 다른 조직에서의 형태학적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간암 발생은 조직학적 변화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즉, 출생에서 3주령까지는 간세포의 과량증식을 보이나 세포핵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4주령부터 7주령(#1-2, #1-6) 혹은 9주령(#1-11)까지는 diffuse liver cell dysplasia를 나타내지만 tumor nodule은 발견되지 않았고, 그 이후에는 liver dysplasia를 배경으로 간암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출한 간암 모델 마우스는 인체 간암과 일부 유사한 소견을 보였는 바 인체 간암 기전 연구를 위한 유용한 동물 모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97.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 tamin D3 and 1'etinoic acid(RA) on the human mesenchymal stem ce!ls(MSC) g1'owth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s. Cell proliferation, mineralization, cell cycl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 l atOJγ proteins and markers fo1' osteogenic differenatiaiton were determined by MTI assay, mineralization assay, flow cytomet1'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Cell viability was dec1'ease by each vitamin D3 and RA added to MSC. it was more decrease by vitamin D3 and RA. Mineralized nodule formation revealed similar expression pattern with positive cont rol group at vitamin D3 and RA mixed add to MSC. At vitamin D3 and RA mixed add to MSC after 7 days of incubation was increase G1 s tage. after 21 days of incubation was inhibit cell cycle prog1'ess by inc1'ease of sub-G1 Treatment vitamin D3 to MSC inhibits p53 and p21, but inc1'ease pRb. RA inhibit p53, but increase p21 and pRb, vitamin D3 plus RA group was same as added RA group. so two vitamin was effect to inhibited cell growth each different mechanism. Expression of BMP-2 protein was prominent in osteogonic supplement treated g1'oup of MSC at 2 weeks cultivation days, but vi tamin D3 treatment decreased BMP-2 expression rather than in (+) control group. BSP protein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OS compa red to positive controls at 2 weeks cultivation, but similar to that of vitamin D3 group t1'eatment group and was least expressed in plus RA mixed group, at 3 weeks, BSP expression was similar to 1'esult of 2 week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s that vitamin D3 and RA have diffe1'ential effects on the MSCs g1'owth and differ entia tion 211
        4,000원
        9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NO donor, S-nitl‘ oso-N-acetyl-DL-penicillamine(SNAP) on heme oxygenase-1 (HQ-l) ex pression in human oral immortalized & malignant keratinocytes, and investigated in the control of keratinocyte proliferation evidence tha t HO-1 cou ld be involved in a low dose of NO, NO inhibitor, HOinducer, and HO inhibitor medi ated cytoprotect ion against cytotoxi city induced by a high dose of NO Oral keratinocyte growth inhibitory or anti-proliferative effects were exerted by with SNAP and hemin in a dose- and cul tivation time dependent manner The level of HQ-1 protein was increased in all cell types after exposure hernin dose, and the hemin induced HQ-1 protein achieved at higher maximum level by 12 hrs in all kind of cells , The pretreatment of cells with 0, 2 μ M SNAP reduced 1 mM SNAP-induced death in IHOK and HN4 cells , These cytoprotective effects on high dose of NO induced HQ-1 expresion and cell ular toxicity were blocked by low dose of SNAP, HCB, and ZnPP IX supporting the involvement of HQ-1 in high dose NO induced growth arrest or cell death, But these cytoprotection pattern is different from immortalized and malignant keratinocytes , These results indirectly demonstrate that HQ-1 could be involved in cytoprotection by NO priming against high dose NO induced cytotoxicity in immortalized and maigla nt oral keratinocytes, Thus, HQ-1 might be an important cellular target of NO donor,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pre vention of inJlammatory di seases and anti-tumor immunity
        4,000원
        100.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ase stability of tetragonal phase in Y-TZP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grain sizes and heat-treating atmosphere. Y-TZP with various grain sizes were prepared using duration time at 1600℃ as experimental parameter. Accumulated grain size distributions were built from the SEM micrographs and the amount of tetragonal phase were measured using XRD. Both result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critical grain size before and after heat-treatment in vacuum. The critical grain size drastical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small increase of average grain size due to the autocatalytic effect which critically affects the tetragonal to monoclinic phase transformation. After heat-treatment in reductive atmosphere critical grain size relatively increased due to the stabilization of tetragonal phase. The formation of oxygen vacancies during heat-treatment was ascribed to the increase of stabili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