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4

        18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입 곡물인 콩의 주요 교역국들의 생산, 소비, 무역 및 재고 동향과 각 국의 생산변동에 따른 조정유형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국제시장 전이효과를 계측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콩의 국제시장 전이효과가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 파라과이,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재고보다는 소비와 무역을 통해 생산변동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 콩 시장의 불안정성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콩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일정량의 국내생산기반 유지, 적절 한 재고정책의 활용, 선물시장의 활용,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해외조달능력의 향상을 통한 안정적인 국내 콩 수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8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and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Chungnam province.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ilage corn was higher in case of corn and soybean intercropping than that of corn single planting at paddy field. The height of stem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somewhat lower than Kwangpyongok single planting and higher at ear height and stem diameter. Fresh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the highest as 45.8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dry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at paddy field was the highest as 20.5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had good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lage compared with corn monoculture, corn and common bean intercropping.
        3,000원
        185.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과 가축의 영양을 위한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은 콩이며 콩 단백질은 영양 및 기능성면에서 우수하여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콩 단백질에는 알러지를 일으키고 영양가치를 떨어뜨리는 성분도 포함되어져 있다. 7S 및 11S 글로블린은 콩 저장단백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7S는 영양가치가 떨어지고 7S의 함량을 줄어든 콩 계통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S 성분중의 하나인 α′-subunit의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품콩2호와 PI506876의 교배로부터 98개의 F2 종자가 얻어졌다. SDS-PAGE로 각각의 종자를 분석한 결과 α′-subunit을 가진 종자가 70개였고 결핍된 종자가 28개였다. 이러한 유전양상은 단인자 유전원칙 (χ2 = 0.667, P=0.414)과 일치하여 콩 종자에서 7S의 α′-subunit 단백질은 한 개의 유전자에 의해서 좌우되었다. 이 결과는 7S 단백질 함량이 줄어든 콩 계통 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3,000원
        18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환경적인 조사료 생산과 사료가치 향상을 위해 콩과 작물과 청보리 혼파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근 보리 재배시 심하게 발생하여 감수를 초래하는 토양 전염성 병인 호위축 바이러스(BaYMV) 발생은 간작에서 3정도 발생하였으나, 혼파했을때는 발생이 1 정도로 경감되었다.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또는 자운영을 혼파했을 때, 혼파에서 출수 및 성숙기가 간작보다 다소 빨랐으며, 질소 시비량이 늘어날수록 생육이 지연되었다. 청보리의 단위면적당 수수는 간작에서
        4,600원
        18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두콩 된장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된장에 작두콩을 8.0% 첨가한 된장(J2)과 재래식 쌀 된장에 작두콩을 6.0% 첨가한 된장(J4)을 제조하여 시판 된장(K1-K6) 및 일반 재래 된장(J1, J3)과의 시험분석을 하였다. 수분, 회분 등 일반성분결과, 시료간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protease 활성은 다른 시료에 비해 콩함량이 높은 J1과 J2가 높게 나타났으며, amylase 활성과 환원당 함량은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J3과 J4가 다른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시판된장인 K5와 K6에서 각각 668.34mg%와 642.64mg% 함량을 나타내어 다른 시료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색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작두콩 첨가가 색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4,000원
        18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의 새로운 문제 해충인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양상, 콩 꼬투리 피해 및 약제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콩꼬투리혹파리는 구골나무에서 월동하 였으며, 봄철의 구골나무 열매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출현율은 약 9.0% 이었 다. 콩포장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은 개화기부터 발생되어 9월 중순경에 최고의 발생량을 보였으며,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한 콩 꼬투리의 피해률은 9월 상순경에 가장 높았다. 콩의 노린재 방제약제로 등록된 ethofenprox 유제의 살포횟수 및 시기에 따 른 콩 꼬투리의 피해는 1회 약제살포시의 경우 R2.5>R2>R3>R3.5>R4>R4.5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으며, 2회 약제살포시의 겨우 R2.5+R3>R2.5+R3.5, R2.5+R4, R2.5+R4.5>R2+R3>R2+R4>R3+R4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다. 따라서 약제살포에 의한 콩꼬투리혹파리의 방제효과는 1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에서 약 93%로 가장 높았으며, 2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R3에서 약 98%로 가장 높았다.
        19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biological activity in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 and general soybean pastes.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J2, J4) was higher than other soybean pastes with value of 81.5 ± 2.2% and 88.3 ± 0.7%,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total phenol compounds was higher in J2 and J4 compared to the others with value of 1773.8 ± 2.9 mg/kg and 1785.7 ± 3.9 mg/kg respectively. ACE inhibitory effect was higher in J2 and J4 than other soybean pastes with value of 63.1 ± 1.0%, 62.1 ± 1.4%, respectively. And aglycone type(daidzein, genistein)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than glucoside type(daidzin, genistin). But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as not different among test samples. From the results,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J2, J4)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ACE inhibitory effect than other soybean pastes, therefore, it may have potential to prevent hypertension.
        4,000원
        19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in soybean fields using pheromone. The most effectiv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were fish trap and 60 ㎝ above ground. Ratio of R. clavatus adults female and male in soybean field was 1.5 to 1 and Piezodorus hybneri was also attracted to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R. clavatus. Attractiveness of two stink bug species caught on synthesis pheromone of R. clavatus was surveyed with imported production and synthesized production. Imported pheromone attracted only adult of R. clavatus, but synthesized pheromone attracted both adult of R. clavatus and P. hybneri. Change of population of R. clavatus was observed using pheromone trap and sweeping method in soybean field. Adults of R. clavatus occurred from early August and the population reached its peak in early September when pheromone trap was used. In case of sweeping method, its fluctu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pheromone trap.
        4,000원
        19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sceptibility of five stink bugs species collected soybean fields in Milyang in 2006 to seven insecticides was evaluated using electric auto-sprayer. The insecticide deltamethirn had the lowest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₅₀) of 0.4 to 2.3 ppm regardless of stink bugs species while phenthoate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r one-banded stink bug (Piezodorus hybneri), green stink bug (Nezara antennata), sloe bug (Dolycoris baccarum), and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and fenthion for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e average LC₅₀ for stink bugs to seven insecticides was lowest at 7.5 ppm for R. clavatus, followed by 16.6 ppm for H. halys, 17.6 ppm for D. baccarum, 19.1 ppm for N. antennata, and 28.4 ppm for P. hybneri. The relative tolerance ratio (TR), which is the TR of 90 percent lethal concentration (LC₉₀) of stink bugs to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in fipronil for R. clavatus, P. hybneri and D. baccarum, fenitrothion for N. antennata, and fenthion for H. halys. The relative average TR was lowest at 0.09 for R. clavatus, followed by 0.26 for D. baccarum, 0.30 for N. antennata, 0.37 for P. hybneri, and 0.39 for H. halys. Therefore, insecticides susceptibility was highest for R. clavatus and lowest for P. hybneri while the relative average TR was lowest for R. clavatus and highest for H. haly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stink bug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with by spraying insecticides in soybean field because the relative average TR value of stink bugs was below 1.0, indicating high susceptibility of stink bugs to insecticides.
        4,000원
        19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o sites on a plant and within a field, to plant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The insect layed its eggs mainly on the back surface of leaf in the upper half of plant in both observation from oviposition cage and soybean field. The egg number in fields were observed at a statistically-same rate in marginal and inside area, and at a median value of one egg per leaf in oviposited leaves. Full seed stage of soybean hardly affected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insect. A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 in oviposition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4,000원
        19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ean pyralid, Omiodes indicatus (Fabricius), moulted 4 times during larval period. When temperature increased from 15 to 20, 25, and 30℃, the developmental period of immature stages was shortened, 18.2, 7.5, 5.0, and 4.1 days of egg period, 51.8, 20.0, 12.7, and 9.9 days of larval period, 29.5, 12.0, 8.0, and 5.9 days of pupal period, respectively. Adult longevity was 16.0, 14.7, 11.2, and 7.5 days at respective temperatures. A female adult layed 57.0, 63.3, 82.2, and 31.7 eggs in 3.7, 6.0, 5.8, and 3.0 days of oviposition period at the same temperature regimes, respectively. Field survey in 2006 and 2007 showed that leaf damage on paddy field and upland soybeans began to appear in mid July, reaching its peaks in mid August and late September. Adults of the bean pyralid appeared in mid July and peaked in late August and early October.
        4,000원
        20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국내에서 콩의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신 문제 해충으로 콩꼬투리혹파리를 들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콩꼬투리혹파리가 콩의 주요 해충으로 크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3년 일본에서 DNA분석을 통해 기주교대 한다는 사실이 재발견되면서 비롯되었다. 콩꼬투리혹파리는 봄과 겨울에 각각 여름기주와 겨울기주를 교대하면서 연중 생활사를 완료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콩꼬투리혹파리의 기주교대에 관한 최초의 발견은 1975년 지중해 동부의 키프로스공화국의 쥐엄나무에서 월동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였다. 그 후 일본에서 상록수인 쥐엄나무(2003년)와 구골나무(2005년) 열매의 충령에서 콩꼬투리혹파리가 1령으로 월동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본 충의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콩꼬투리혹파리는 파리목 혹파리과에 속하며, 성충의 크기가 3~4㎜로 작고 그 형태가 모기처럼 생겨 조사가 쉽지 않다. 콩꼬투리혹파리는 콩의 어린 꼬투리 안에 산란하고 부화된 약충이 꼬투리 안에서 자실체를 먹고 발육하여 번데기가 되고 우화하면서 탈피각을 꼬투리 표면에 부착함으로 그 발생여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해 피해 받은 콩 꼬투리는 기형화 되므로 정상적인 발육이 불가하여 큰 수량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는 농업생태계에 있어 해충의 발생양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금후 콩의 신 문제 해충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 본 충에 관한 관심을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