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21.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하여 국내 재래 나물콩 계통의 콩나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전체 길이의 범위는 9.5~23.0cm, 하배축길이는 5.9~15.1cm, 뿌리길이는 3.2~9.2cm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고, 수율에서도 121~695%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2.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종피색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혼색종피종에서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백립중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잔뿌리수는 흑색종피종과 갈색 종피종에서 현저히 적었다. 3. 콩나물 길이와 전체길이에 대한 뿌리길이의 비율, 수율을 기준으로 한 공시품종 및 계통들의 분포에서 장려품종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재래계통이 분포하고 있었다. 4. 콩나물 하배축의 색도는 백색도(L값)에서 장려품종이 재래계통에 비해 백색에 더 가까웠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c값)는 장려품종보다 재래계통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4,000원
        2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mosaic virus에 감수성 품종인 단경콩과 저항성 품종인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형태로 자극을 처리하였을때 유도되는 isoflavone aglycones(daidzein, genistein)와 이들 배당체들(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UDP-glucose, , 의 처리 및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isoflavone aglycones와 이들 배당체들의 함량이 대조구(water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해서는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soflavone glucosides의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UDP-glucose, 및 의 처리에 의하여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daidzein의 경우,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해서 daidzein의 최대 축적 양에는 두 품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최대 축적 시간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 배당체인 daidzin과 geinstein의 축적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모든 자극처리에의해 높게 나타났다. UDP-glucose, , 및 의 처리에 의한 daidzein과 geinstein이 축적되는 양은 단경콩에서는 초기에는(24hr까지)에는 비슷하나, 48hr이후에는 daidzein의 축적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팔달콩에서는 대체로 전 기간에서 daidzein의 함량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두 품종에서 모두 daidzein의 양이 geinstein의 양보다 크게 나타났다.
        4,600원
        28.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원근교의 대두포장에서 채집한 자연발병된 이병주로부터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가 되었다. 이 바이러스에 이병된 대두의 병징은 Crinkling, 약한 Mottling 및 품종에 따라서 심한 위축증상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 quinoa), 동부(Vigna sinensis)에서는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담배(Bright yellow), 담배(KY-57)에서는 모자익병징이 나타났다. 이 바이러스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C, 내희석성이 으로 나타났으며 내보존성은 3일이었다. 충매전염시험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이 바이러스를 비교적 쉽게 전염시켰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혈청학적으로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전자현미경에서 바이러스의 검경결과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같은 형태의 입자가 관찰되었다.
        4,000원
        29.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투성살충제 Curaterr(Carbofuran), Cytrolane(Mephosfolan), Disyston(Disulfoton) 립제의 대두 파종용 처리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약제 모두 대두의 입묘에 영향을 주었는데 Carbofuran 4.6mg, 9.2mg(유효성분량) 처리를 제외하고는 Carbofuran 13.8mg 처리를 포함한 Mephosfolan, Disulfoton 처리에서 비교적 낮은 입묘유를 보였다. 2. Carbofuran과 Mephosfolan은 초기의 콩잎에 약해가 비교적 심하였으나 Disulfoton은 약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Carbofuran과 Mephosfolan 처리에서는 자엽과 제일본엽에 갈색내지 흑갈색 반점 또는 엽록을 따라 갈색엽소징색이 나타났으며 Disulfoton은 엽선에 약간의 위축징상이 보였다. 그리고 약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가 증대하였다. 3. 공시약제 모두 어느 약량에서나 약 3개월에 걸쳐 콩진딧물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며 약량이 높아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더욱 좋은 경향을 보였다. 4. 약제처리구에서 두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어 방제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특히 Mephosfolan과 Disulfoton은 처리약량의 증가에 따라 방제효과가 증대하였으며 Disulfoton의 용당 13.8mg(a.i) 처리는 약제처리 82일까지 계속 응애의 밀도가 가장 낮었다. 5. 콩나바아에 의한 콩의 초해율은 처리, 무처리 또는 약량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에 있어서도 그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6.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시약제의 대두 파종용 일회처리로서는 콩진딧물과 두점박이응애의 방제는 가능하나 콩나방의 방제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 major agricultural crop widely used for providing human and animal food owing to its high protein and oil content. For this reason, they have been consumed in Asia and world greatly and demand is ever increasing. Soybean is classified as a moderately salt-sensitive crop and its production is greatly affected due to increasing salinity stress. About 8 % of the world’s total land is salt-affected. In Korea, around 9 % of total agricultural land (approximately 130,000ha) was reclaimed since 1960's.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soybean and to solve arable land shortage problem, it is unavoidable to cultivate soybean in salt-affected soils. Fortunately, soybean germplasm has been shown to have salt-tolerant phenotypes, which have been used to identify the salt-tolerant genes. GmCHX1, a novel ion transporter, is one of the genes known to confer salt tolerance in soybean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equence variations of GmCHX1, on salt tolerance in wild and cultivated soybeans. A total of 1026 (301 lines of G. max and 725 lines of G. soja) lines were phenotyped for salt tolerance in greenhouse conditions. At the V1-V2 growth stage, the plants were treated with 100mM NaCl solution for two weeks and thereafter the response was measured depending on leaf scorch score (1-health, 3-mid, 5-dead). About 20 lines found to show tolerance to saline conditions and were selected for sequence analysis of GmCHX1. Most of the haplotypes detected in this study corresponded with the haplotype patterns in previous studies. However, several line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polymorphism in the coding region, suggesting that sequencing of more lines and analysis for the polymorphism in GmCHX1 is needed in order to identify new haplotypes that could confer greater salt tolerance.
        3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provide opportunities to reveal the genetic variants and differentially expressedgenes. The genetic variants are closely relevance to understanding of genes and phenotypic differences related to agronomic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rs. In this study, we conducted RNA-seq using two Korean soybean accessions, including Daewon and Hwangkeum, by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against Williams 82 genome as reference. A number of variants such assingle nucleotide variants (SNV), multiple nucleotide variants (MNV), insertion/deletion (InDel) and replacement, was 34,411 and 55,544 in Daewon and Hwangkeum, respectively. Among these variants, 9,611 nonsynonymous variants were detected within 4,290 genes in Daewon and 13,225 non-synonymous variants were located on 5,672 genes in Hwangkeum. The distribution of nonsynonymous variants and expression values of genes can serve as invaluable resource for genotyping and study of traits within genes for soybean improvements.
        3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의 환경 변이 특성을 구명하 고자 검정콩의 재배 지역과 파종기를 달리하며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지역, 품종 및 파종 기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일품 검정콩의 평균 안토시아닌 함량이 11.58 mg/g으로 제일 높 았으며, 지역에서는 연천에서 재배한 품종들의 평균 함량이 9.85 mg/g으로 제일 높았다. 파종기에서는 6월 15일 파종 이 9.00 mg/g, 5월 30일 8.36 mg/g, 5월 15일 8.24 mg/g으 로 나타나 만식재배가 안토시아닌 함량 제고에 유리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검정콩 안토시아닌의 색도와 안토시아닌 함 량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L (명도)과 b (적색도)값은 안토 시아닌 개별색소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 관을 보인 반면, a (적색도)값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 었다. 검정콩 안토시아닌 함량과 기상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평균기온 및 적산온도와 부의 상관, 평균일교차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안토시 아닌 고함유 검정콩 생산을 위해서는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 이 낮고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3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d the estimation of corn and soybeans yields of four states in the US Midwest using time-series satellite imagery and climate dataset between 2001 and 2012. We first constructed a database for (1) satellite imagery acquired from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including NDVI (Normalized Di°erence Vegetation Index), EVI (Enhanced Vegetation Index), LAI (Leaf Area Index), FPAR (Fraction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GPP (Gross Primary Productivity), (2) climate dataset created by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such as precipitation and mean temperature, and (3) US yield statistics of corn and soybeans. ˜en we built OLS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for corn and soybeans yields between 2001 and 2010 after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collinearity tests. These regression models were used in estimating the yields of 2011 and 2012. Comparisons with the US yield statistics showed the RMSEs (Root Mean Squared Errors) of 0.892 ton/ha and 1.095 ton/ha for corn yields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and those of 0.320 ton/ha and 0.391 ton/ha for soybeans yields. ˜is result can be thought of as a good agreement with the in-situ statistics because the RMSEs were approximately 10% of the usual yields: 9 ton/ha for corn and 3 ton/ha for soybeans. Our approach presented a possibility for extending to more advanced statistical modeling of crop yield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climate dataset.
        3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has around 20% oil in total seed compound. Fatty acid concentration of soybean oil is about 12% palmitic acid, 4% stearic acid, 23% oleic acid (ω-9), 54% linoleic acid(ω-6) 54% and 8% linolenic acid(ω-3). To improv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of oil, the breeding programs mainly focused on reducing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ing oleic acid and reducing linolenic acid in soybean oil. In plant oil, an essential fatty acid omega-3 fatty acid is in the form of α-linolenic acid (ALA) therefore, increasing ALA in soybean oil became one of the breeding goals for human health. In our research group, we have two breeding programs for concentration of ALA in soybean oil. Wild soybeans have almost twice ALA than that in cultivated soybeans. Introgression of alleles from wild soybean to cultivated soybean may lead to the increase of ALA in soybean seed oil for various applications. We developed several backcross populations by elite cultivars x wild soybean to select high ALA with good agronomic traits. In the case of low linolenic acid program, we developed an EMS (ethyl methane sulfonate) mutation population to select low ALA concentration line and found a mutant line with low ALA in seed oil. The scheme for developing high ALA concentration from wild soybea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for low ALA line will be discussed.
        3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야생콩과 재배콩의 교잡 후대 집단에서 25계통을 선발하여 사료 수량 및 품질을 평가하여 사료용 콩 품종육성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생콩과 재배콩 교잡종의 조사료 수확시기별 수량 및 품질 검정에서 교잡종을 대조품종인 재배콩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사료의 수량이나 품질을 고려하면 협비대기인 R6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야생콩과 재배콩의 교잡후대 계통에 대한 사료 수량 및 품질평가에서 대조품종과 비슷하거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수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가식부위 생체중은 대조품종인 재배콩 보다 교잡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교잡종에 대한 사료품질을 평가한 결과 AFGC의 두과 건초 품질 등급기준에 따라 나누었을 때, 특등급의 조건인 조단백질 함량 19% 이상, NDF 함량 40% 미만, ADF 함량 31% 미만, DDM 65% 이상, DMI 3.0% 이상, RFV 151 이상을 모두 충족시키는 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고, 이들중 몇몇 계통은 수량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따라서, 재배콩과 야생콩의 교잡을 통해 사료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사료용 콩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find agronomically important loci in the soybean plant, extensive linkage disequilibrium and genome duplication have limited efficient genome-wide linkage analyses that can identify important regulatory genes. In this respect, recombination block-based analysis of cultivated plant genomes is a potential critical step for molecular breeding and target locus screening. We propose a new three-step method of detecting recombination blocks and comparative genomics of bred cultivars. It utilizes typical reshuffling features of their genomes, which have been generated by the recombination processes of breeding ancestral genomes. To begin with, mutations were detected by comparing genomes to a reference genome. Next, sequence blocks were examined for likenesses and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genome. The boundaries between the blocks were taken as recombination sites. All recombination sites found in the cultivar set were used to split the genomes, and the resulting sequence fragments were named as core recombination blocks (CRBs). Finally, the genomes were compared at the CRB level, instead of at the sequence level. In the genomes of the five Korean soybean cultivars used, the CRB-based comparative genomics method produced long and distinct CRBs that are as large as 22.9 Mb. We also demonstrated efficiency in detecting functionally useful target loci by using indel markers, each of which represents a CRB. We further showed that the CRB method is generally applicable to both monocot and dicot crops, by analyzing publicly available genomes of 31 soybeans and 23 rice accessions.
        3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콩과 수입콩의 판별에 NIRS를 도입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한 식별분석을 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NIRS를 사용하여 400~2,500 nm 범위에서 콩 분말의 파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spectrum은 WINISI II program 을 이용하여 수처리와 회귀분석을 하였다. 검량식 작성을 위한 수처리는 spectrum을 1차미분 및 4 nm gap으로 조정한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회귀식은 변형부분최소자승회귀법(Modified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이 우수하였다. MPLS 회귀분석시 원산지 판별을 위해 loading value를 국내산 콩은 '100', 수입콩은 '1'로 처리하여 검량식을 작성하고 그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factor가 10일 때 도출된 calibration equation의 상관값이 0.98, 교차검증의 상관값이 0.94를 나타내어 상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NIRS를 이용한 국내산 콩과 수입콩의 판별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cultivative environment and conditions, locational genetic variation on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seed isoflavones soybean genotype. The concentration of isoflavones showed difference between three different seeding time. Specially, Somyung of normal seeding (6. 21) reveal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7657.0 ㎍ g-1) than other soybean seeds. On the other hand, Cheongjakong and Taekwangkong of early seeding (5. 25) showed the lower concentrations (1518.6 ㎍ g-1, 2524.0 ㎍ g-1) than other soybeans. For different regions, Taekwangkong of Yeoju region had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3227.5㎍ g-1) than other cultivation regions. While, Taekwangkong of Miryang region (619.5 ㎍ g-1) revealed lower concentrations than other regions. And, Cheongjakong of Yeoju regions also revealed higher concentrations (3140.1 ㎍ g-1) than other regions. On the other hand, Cheongjakong of Miryang (1619.4 ㎍ g-1) showed lower concentrations of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In our present study, the isoflavone concentration of soybean was influenced by seeding and cultivation regions.
        40.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제품을 이용하여 천연보존료나 건강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검은콩 중 약콩과 서리태를 선정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검은콩과 청국장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약콩과 약콩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16.23 mg/100 g, 896.01 mg/100 g이었으며, 서리태와 서리태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04.28 mg/100 g, 875.2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