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 논이용 콩-밀 생산체계에서 재배유형별 밀 파종 전 경운여부에 따라 경운/무경운 처리, 콩 재배시 비닐 피복 여부에 따라 피복/무피복 처리, 논의 생태적 개선 여부에 따라 개선/대조구 처리로 시험구를 조성하여 밀 재배 중 곤충자원의 출현 및 분포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출현 곤충의 총 종수는 20종으로 경운 14종, 무경운 14종으로 차이는 없었고 피복 14종, 무피복 16종이었으며 개선구 18종, 대조구 13종으로 개선처리에서 곤충 출현 종수가 많았다. 출현 곤충의 총개체수는 경운 124개체, 무경운 76개체로 경운처리에서 많았고, 피복 100개체, 무피복 100개체로 차이가 없었으며 경운-무피복-개선에서 40개체로 가장 많았다. 유기농 밀에 피해를 주는 해충 으로 노린재류는 갈색날개노린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메추리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도 출현하였으 며 재배유형별 발생 개체수는 경운 81마리, 무경운 39마리로 경운에서 많았고, 무경운-피복-대조(7) = 무경운-무 피복-대조(7) < 무경운-무피복-개선(9) < 경운-피복-개선(12) < 경운-무피복-대조(13) < 무경운-피복-개선(16) < 경운-피복-대조(27) < 경운-무피복-개선(29) 순으로 발생하였다.
Soybean is an important crop widely grown in the northern region of Nigeria for human and animal consumption. Commercial production of soybean in Nigeria has existed for eight decades. Current malnutrition and nutrient health problems in Nigeria warranted the introduction of high nutritive and affordable food sources such as soybean in the Nigerian diet. The high demand for soybean and its products has led to the rise in the cultivation of soybean in Nigeria. Although an increase in production has been recorded, the region of production has failed to achieve the potential yield per hectare. In improving soybean production in Nigeria, it is paramou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production. This review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soybean production across the regions of production in Nigeria. The identified factors responsible for the yield gap includ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groecology shift, nutrient depletion and soil fertility, sowing date, the emergence of pests and diseases, and limited improved soybean cultivars. Adoption of improved soybean variety suitable in agroecology and sowing, at the appropriate sowing date by Nigerian farmers, can guarantee optimum soybean production. Further soybean breeding improvement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more improved varieties with superior performance in Nigeria’s agroecology to achieve yield potent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rn (Zea mays L.) - soybean (Glycine max L.) silage prepared by intercropping method on the nutritive value of the silag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ry matter degradability, as well as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In a couple of experiments intercropped corn-soybean silage (CSBS) was compared with corn silage (CS) and/or Italian ryegrass hay (IRG). Numerically, CSBS had high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lactic acid contents compared to CS.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up to a 24-h incubation period, both CS and CSBS showed higher total gas production, ammonia N concentration, and dry matter degradability compared to IRG (p<0.05). The investigation on animals was conducted in a commercial dairy farm located in Gyeongju, South Korea, employing 42 Holstein cows that were divided into 2 group treatments: CS and CSB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ilk yield, animals fed on CSB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ilk protein (p<0.05) and milk fat content (p<0.01), compared to animals fed on C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rn-soybean silage that is cultivated, harvested, and prepared through intercropping can improve the protein content of the silage, and can also enhanc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dry matter degradability, and performance of dairy cattle.
본 연구에서는 콩고기 제조를 위해 국산콩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제조된 콩고기의 수분 함량은 각각 47.42 (R1), 44.82 (R2), 46.72 (R3) 및 46.20 (R4) g%, 회분 함량은 1.81, 2.18, 2.24 및 2.28g%, 조단백질 함량은 28.65, 26.24, 20.77 및 21.91 g%, 조지방 함량은 9.12, 9.74, 9.51 및 10.95g% 및 탄수화물 함량은 13.0, 16.0, 20.76, and 18.66 g% 있었다. 제조된 콩고기에서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과 지방산은 각각 glutamic acid(20,702.17, 18,869.75, 11,640.85, 및 15,983.47 mg%) 및 palmitoleic acid(719.54, 749.38, 708.65, 및 818.56 mg%) 있었다. 기호성은 다른 조건들보다 R2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조직감은 견고성과 검성이 다른 조건들보다 R2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색도(L, a 및 b 값)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isoflavone의 구성(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은 다른 조건의 콩고기들보다 높았다. 그러나, total phenolics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은 다른 조건들보다 R4의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R4의 조건으로 제조된 콩고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 함량 이소플라본 생산을 위한 대두의 침지, 발아조건 및 청국장 발효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대두의 침지와 발아조건은 대두를 25.6oC에서 7 hr 침지 후 29.1oC에서 42.4 hr 발아 시 이소플라본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다. 또한 고함량 이소플라본을 얻기 위한 청국장 발효 최적 조건은 온도 39.96oC, 접종량 1.32%, 42.4 hr 이었다. 최적조건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2,544 ppm으로 대조구(1,960 ppm)보다 약 1.3 배 향상되었다.
세계 콩 교역은 일부 소수 수출국과 다국적 곡물메이저가 주도하는 시장구조이며, non-GM 콩 교역물량은 매년 축소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이 국민이 필요로 하는 콩을 해외시장에서 대부분 조달하는 수입국에게는 매우 불리한 여건이다.
2009년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 non-GM 식용 콩 조달은 중국(76%)과 미국(22%)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매우 크다. 하지만 중국은 근본적으로 대규모콩 순수입국이며, 최근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자 중국은 국내 물가 안정 차원에서 주요 곡물 수출에 대해 수출세를 부과하고 수출에 대한 관세 환급제를 폐지하는 등 보호적 태도를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은 식량수입국에게 안정적인미래 식량 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이에 단기적으로 무엇보다 콩 수입선 다변화, 선물거래의 활용, 해외농업개발과 연계된 조달방안 마련 등 해외 조달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GM 작물의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임에도 국내 소비자들의 non-GM 작물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non-GM 콩의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여 기존 미국과 중국에서 대부분의 콩을 수입해 온 것에서 벗어나 곡물메이저가 진출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나 연해주, 또한 수확시기가 다른 점을 이용할 수 있는 남반구 국가들과 같이 다양한 지역의 여러 가지 요소를 전략적으로 고려한 공급기반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과 같이 고품질의 non-GM 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곡물 유통기업을 설립하여 효과적 수입조달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동시에 국내적으로는 콩비축 관리제도를 확대 운영하고 조기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제도적 노력과 함께 국내 생산 증대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노력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입 곡물인 콩의 주요 교역국들의 생산, 소비, 무역 및 재고 동향과 각 국의 생산변동에 따른 조정유형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국제시장 전이효과를 계측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콩의 국제시장 전이효과가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 파라과이,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재고보다는 소비와 무역을 통해 생산변동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 콩 시장의 불안정성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콩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일정량의 국내생산기반 유지, 적절 한 재고정책의 활용, 선물시장의 활용,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해외조달능력의 향상을 통한 안정적인 국내 콩 수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and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Chungnam province.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ilage corn was higher in case of corn and soybean intercropping than that of corn single planting at paddy field. The height of stem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somewhat lower than Kwangpyongok single planting and higher at ear height and stem diameter. Fresh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the highest as 45.8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dry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at paddy field was the highest as 20.5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had good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lage compared with corn monoculture, corn and common bean intercropping.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탈취온도, 진공도, cycle time 및 stripping steam 주입량의 4대 요소를 조정하여 탈취를 행한 후 탈취유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rans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탈취온도가 높을수록 AV, POV는 하락하였으나 trans 지방산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진공도는 4torr 수준이 적정하였으며, CT는 길어질수록 효과가 우수하였다. SS주입량은 2.0%(w/w) 수준이 가장 적절한 조건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대두유에서 trans 지방산 함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는 탈취조건은 최고 탈취온도 235℃, 진공도 4torr, CT 14~15분 및 SS주입량 2.0%(w/w)내외의 조건에서 trans 지방산 함량 0.31% 내외의 우수한 탈취유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탈취과정에서 trans 지방산 생성량을 극소화하기 위하여는 탈취온도가 가장 중요하였는데, AV, POV 등 다른 품질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때, 더 이상의 탈취온도 하락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재래식 콩된장의 제조공정을 과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메주의 건조 및 발효과정에 있어서 수분함량과 단백질 분해에 의한 아미노산 생성과정을 근적외 분광법으로 쉽게 판단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생메주를 일정한 크기(3×4×3 cm)로 잘라서 수분이 30%가 되도록 25℃ 항온기에 3주간 발효시킨 모델계 발효메주를 만들어 가시광-근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해석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수분이 감소되면서 수분과 관련이 있는 1,430 nm대의 흡광도가 감소 및 시프트 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아미노산과 관련이 있는 2,050 nm대의 흡광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전통 재래식 발효메주를 속부분과 겉부분으로 분리하여 1,000-2,250 nm에서의 가시광 스펙트럼과 근적외 스펙트럼 데이터로 판별분석한 결과, 겉부분과 속부분이 잘 판별되었고, 가시광 보다는 근적외 영역에서 잘 구분되었다. 이들 전통메주중의 아미노산 농도를 비파괴 측정하기 위해 PLSR한 결과 R²은 0.9 이상이며, RMSECv 0.23%로 나타났으며, 전통메주중의 수분함량도 R² 0.81, RMSECv 0.83%이어서 근적외 분광법으로 전통메주의 품질을 비파괴 측정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oybean is a crop of importance economically and nutritionally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anks to many new genes brought from genomic research, It is possible to introduce various candidate genes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genes in field. In our lab, soybean transformations have been tried for last 10 years to probe the possibility of traits improvement by transformation of new gene into soybean. For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genes were transformed into Korean soybean variety, Kwangan. First, the gene that controls early flowering of plant was transformed into Kwangan. Second, a candidate gene for soybean mosaic virus (SMV) resistance was transformed to produce transgenic plants. Third, another candidate gene for drought tolerance was transformed. All the transgenic plants from three genes transformation were produced for their gene insertion and their expression using PCR, qRT-PCR. Further analysis including harvesting seeds is currently undertaken.
AtRabG3b and CaMsrB2 genes incorporated into pPZP vetor were transformed to Korean soybean cultivar Kwangan using highly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AtRabG3b gene plays a positive role in xylem development in Arabidopsis and 64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CaMsrB2 gene is known to confer drought tolerance in rice and 63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As a result of PPT leaf painting assay, about 20% of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observed from 2 times of inoculation. These transgenic plants were confirmed for gene introduction using PCR. Currently, the copy number and the gene expression is investigating using qRT-PCR and RT-PCR. Moreover, 62 lines and 53 lines of T1 seeds from AtRabG3b and CaMsrB2, respectively, were sown in GMO field.
Bacillus thuringiensis (Bt) crystal protein genes encode insecticidal δ-endotoxins that are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sect-resistant crops. Common soybean is a crop of economic and nutritious importance in many parts of the world. Korea soybean variety Kwangan was transformed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crystal protein genes. These genes were transformed into Kwangan using highly efficient soybean transformation system. Transgenic plants with Bt crystal protein genes were confirmed for gene introduction and their expression using PCR, real-time PCR and RT-PCR. Currently, the confirmation of stable gene introduction with Bt genes is also performing by southern blot analysis and physiology test and agronomic characters are investig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