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58

        2024.
        199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미립 BaTiO3분말을 출발물질로 하고 La3+을 0~2 mol% 첨가하여 1200~1400˚C에서 소결하였을 때 La3+을 첨가하지 않고 1350˚C 이상에서 소결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10~240 nm의 평균입경을 갖는 초미립의 La3+-doped BaTiO3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평균입경이 240 nm에서 110 nm로 감소함에 따라 정방정비 (c/a), 90˚ 분역의 부피분율, 상온 비유전율, 상전이온도(TC)에서의 최대 비유전율, TC 에서의 상전이 완만화도 등은 모두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유전특성의 입경 의존성은 평균입경 감소에 따른 90˚ 분역 생성의 억제 및 그에 따른 내부응력의 영향으로 해석하였다.
        4,000원
        2025.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02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lytic shellfish poison threatens public health most seriously from April to early May every year and gives adverse effects on export of these products. Major shellfish products exported were canned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blue mussel, Mytilus edulis. Toxicities of canned shellfishes with toxin of low levels were mostly inactivated during the processing; in contrast, residual toxicity was of great concern with canned products from highly toxic shellfishes.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ood safety measure by evaluating the changes of toxicity during 2 year storage of canned products with toxic blue mussel and oyster.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wo samples. Boiled can and smoked can showed inactivation of toxicity to some extent, whereas acidified can did not show reduction of toxicity even after 2 year storage. In case the initial toxicity of shellfish was high long term storage could not inactivate the toxicity of the canned product.
        4,000원
        202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ying levels of photobiostimulation treatment dosage on plasma -endorphin concentration in huma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healthy men and women, who wer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Seonam University.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October 26, 1998 to November 5, 1998.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2.0 laser group, a 4.0 laser group, an 6.0 laser group. He-Ne laser (632.8 nm wave length) and infrared laser (820 nm wave length) of three different energy densities (2.0, 4.0, and 6.0 ) were applied on the Su-Sam-Ri (L I 10) and Hab-Gog (L I 4) of acupuncture point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treatment, 30 min's post-treatment and 60 min's post-treatment. The level of endorphin was measured by radio immuno assa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uman plasma -endorphin concentrations were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due to the energy densities of laser photobiostimulation (p<0.05). 2) The human plasma -endorphin concentrations were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period after laser photobiostimulation (p<0.05).
        4,500원
        202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HVPCS) would enhance wound healing in neuropathic rabbits. Ten rabbits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The wounded part around the peripheral neuropathy of the experimental rabbits was stimulated for two hours twice a day for six day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pulse frequency 80 pps, pulse duration , and stimulation intensity 30~40 V.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ound clo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aspects in collagen and reticulum, which were observed by colored Masson's trichome. While the rabbits in the control group had more or less thick fibers, the rabbi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in and branched-shape fibers. The rabbi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oth strong responses in the shaping of elastic fibers and the increased aspects in fibroblas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000원
        2030.
        1999.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 항공기 및 기타 산업에서 복합재료의 사용은 증가되어 왔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재료중의 하나인 Carbon-epoxy 복합재료의 열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반복적인 냉각과 가열이 부가되는 열 피로에서 복합재료의 탄성계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봄으로써 복합재료가 가지고 있는 여러 열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복합재료는 온도가 증가하면 탄성계수가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에서는 열 피로가 부가되었을 때에는 어느 정도 온도까지는 탄성계수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특이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2032.
        1999.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성계수의 정밀측정은 과학적인 관점과 공학적인 관점 모두 중요하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탄성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원자와 원자사이, 이온과 이온 사이의 bending에 관한 해석 및 이해중진의 중요한 도구가 되며 공학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공학적인 기계설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설계기준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탄성계수 측정을 위해 두 가지의 동적 진동실험(음향 공진법과 충격가진 방법)을 비교해 보았으며, 이 두 실험적으로 얻은 공진수파수는 Euler 빔 방정식과 Timoshenko 빔 방정식에 각각 적용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4,000원
        2033.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 greater part of all ship use a coarse heavy fuel oil(HFO) over specific gravity(S.G) 1.00/15℃ and viscosity 3,500 cSt/40℃ as the fuel oil of marine boiler 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al ship' operation. The greater plan to improve a combustion methods of heavy fuel oil, such as atomization, homogeneity and emulsification, were contrived and carried out newly, and then applied 20kHz ultrasonic homogenizer to one of test methods. Also, adopted the marine oils(fuel oil and lubricating oil etc.) and sludge oil as test solutions, and its matrix structures were examined with photographs, Especially, it is important at control system of oil pollution, for the sludge oil emulsified, to be recycled as fuel oil of boiler according to 20kHz Ultrasonic homozenizer, and then fuel saving is attained effectively by making sludge oil to be burnt.
        4,300원
        2034.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203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03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방사에 의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의 방제효과를 비닐하우스 재배 신선초(Angelica utilis)에서 조사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약성충을 7월 23일 당 25마리 방사했을 때 피해잎 4당 차응애 밀도는 7월 22일 25마리에서 9월 9일 0.4마리로 감소했으나 다시 10월 16일에는 9.3마리로 증가했다. 차응애의 밀도는 8월 13일로부터 10월 1일까지 낮았다.
        4,000원
        203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안의 경포호를 비롯한 6개 석호를 조사한 결과 모든 호수가 부영양화가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명도는 1.0 m 내외의 낮은 값을 보였으며 청초호를 제외한 모든 호수에서 남조류인 Oscillatoria sp.가 우점종이었다. 염분의 경우 청초호와 화진포호의 북호는 각각 18~30‰와 10~25‰이었으며, 다른 호수는 10‰ 내외 로 호수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모든 호수의 Chl. a, TN 및 TP도 각각 11.4~97.3 mg/m3, 0.77~2.36mgN/L 및 0.056~0.292 mgP/m3의 범위로 보여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의 TN/TP 무게비는 6~14 정 도로 매호가 가장 적었으며, TSI는 56~79의 범위로 영랑호가 가장 컸다.
        4,200원
        203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양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적 천이는 1996년 에 Asterionella → Peridinium → Anabaena의 순서이었고 1997년과 1998년에는 Asterionella → Cryptomonas → Anabaena로 천이양상이 바뀌었다. 면적당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규조류의 spring bloom시에 가 장 많았으며 늦여름에는 Anabaen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6년에서 1998년으로 해가 지날수록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의 Eodiaptomus, Cyclops, Diacyclops, 지각류의 Bosmina, Daphnia, 윤충류의 Polyarthra, Keratella 속의 종들이 계절에 따라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요각류의 현존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봄에 규조류의 생체량이 높은 시기보다 2~3개월 후인 6월말부터 7월에 걸쳐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았고 이때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월 전후에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아졌는데 이 때는 남조류의 우점 시기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보아 남조류는 동물플랑크톤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식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봄의 규조류 증식 초기에는 bottom-up 효과가 우세하였고 이후에는 동물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억제하는 top-down 효과가 우세하였으며, 남조류 번성기에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먹이 연쇄의 기능적 연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는 미생물먹이망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04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서식종 호박벌(Bombus ignitus)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호박벌의 여왕벌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온도 1, 상대습도 5% 및 암조건 하에서 실내사육하였다. 채집된 여왕벌의 산란율은 94.4%이었고, 채집 후 산란시기는 6.002.41일이었다. 산란된 알로부터 첫일벌 출현은 1.16일에, 첫수펄 출현은 3.94일이었다. 채집된 여왕벌의 봉군형성율은 86.1%이었고, 봉군을 형성한 채집 여왕벌 중에서 새여왕벌의 출현율은 96.8%였으며, 새여왕벌의 출현일은 6.88일이었다. 채집 여왕벌의 생존일수는 봉군을 형성한 여왕벌의 경우에 24.35일이었으며, 봉군을 형성하지 않은 여왕벌은 7.37일로 나타나, 봉군을 형성하는 여왕벌이 봉군을 형성하지 않는 여왕벌보다 약 5.5배 정도 수명이 길었다. 봉군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일벌수는 18.23마리, 수펄수는 159.24마리, 여왕벌수는 47.48마리로 전체 봉군의 크기는 987.82145.84마리였다. 여왕벌의 출현기간을 조사한 결과, 6.95일의 단기형과 17.61일의 장기형의 2가지 형태가 나타났으며 이의 비율은 1:0.93이었다. 여왕벌과 수펄의 교미시간은 평균 7.33분이었다. 여왕벌이 산란한 난괴의 크기는 단경 0.88mm, 장경 1.11mm, 높이는 0.22mm이었다. 난괴당 난의 수는 평균 4.00개였으며, 난기간은 산란 후 3일이었다. 난의 크기는 단경 0.09mm, 장경 0.21mm로써 바나나형이며, 무게는 0.30mg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