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1

        10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degree of harmony of food pairing with Korean traditional liquors according to the taste and flavor.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eight experts from May 7 to 17, 2016, to screen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 food. For traditional liquor, Sanseong-makgeolli, Hansansogokju, Damsol, Gamhongro, and Andong Soju were chosen. For foods, pan-fried beef, squid with vinegar dressing, clam soup, honey-filled rice cake, prune, grilled mushroom, Swiss cheese, pistachio, honey, and chocolate cake were chosen. Harmonization of the analytical results Sanseong-makgeolli, between honey and Pan-fried Beef achieved the most harmonious results. Hansansogokju with honey and prune were harmonious. Damsol and Gamhongro, which are distilled liquor and containing added ingredients, were perfect matched with chocolate cake and squid with vinegar dressing. In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Andong Soju and food, it was confirmed that squid vinegar and Swiss cheese were the most harmoniou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harmony with food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ic beverag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not only taste and flavor, but also the alcohol content of alcoholic beverag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armony with food.
        4,000원
        10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women’s Chima and Jeogori in traditional Hanbok catalogs from 2010 to 2020, an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each typ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modern Hanbok and decorative techniques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uch work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technique of decorating the Jeogori and Chima that appeared in the traditional Hanbok catalog of the study period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Jeogori, in the first half of 2010, the decorative technique of a relatively large size was used, and the decorativeness tended to be strong. However, in the late 2010s, the number of decorative techniques used in Jeogori has decreased, and the size of the decorative technique has become smaller and more concise, leading to a tendency to understated decoration. In the case of Chima, techniques to express natural texture by processing threads or fabrics themselves were mainly used rather than techniques to add decoration to the surface, and techniques to express various surface texture tended to develop toward the late 2010s. The change in the decoration technique of Jeogori and Chima appears to be a combination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a change in consumption culture and a reduction in the wedding market.
        5,100원
        105.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전통의 계승과 보급은 인류 발전 과정에서 하나의 화두이자 주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와 과학의 발전에 따라 경관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세계화 물결의 배경 아래에서 전통문화는 현대화의 전방위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에 조성된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초로 조성된 월화원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 한 경관이미지 특성을 도출하고, 경관이미지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월화원의 경관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는 심미성, 개방감, 특이성, 친근성, 전통성 등 총 5개의 인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다. 둘째, 전체 선호도 평균값은 4.64로 비교적 높게 나 타났으며, 전통재현경관요소와 자연적 경관요소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경관은 월화원 주요 선호경 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심미성이 월화원 경관이미지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현대 도시공간에 조성된 중국 전통재현정 원의 유지·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시에 중국 전통정원 조성 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경관계획을 수립 시 기초재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6.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 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 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 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5,800원
        107.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mmun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s (doenjang) based on the aging period in Gyeongnam province.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ven regions in Gyeongnam Province (Goseong, Hadong, Haman, Hamyang, Sacheon, Sancheong and Uiryeong). Contents of moisture, salinity, pH, and acidity of doenjang after 210 days aging were 56.40~65.21%, 9.05~16.08%, 4.88~6.86 and 0.64~2.14%, respectively. L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he aging period, while the redness tended to increase over the aging period. Yellowness was from 21.39~26.81 to 21.10~28.36. Reducing sugar content was from 0.31~1.45% to 0.11~3.13%. The amino-type content increased from 141.87~495.13 mg/100 g to 328.53~823.67 mg/100 g. In contrast, the ammonia-type content declined from 136.74~364.70 mg/ 100 g to 128.62~331.00 mg/100 g. The overall total microbial cou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ut it tended to decrease in sample GD4. Fungus declined overall or was not detected. Coliform group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Lactobacillus and Bacillus cereus tended to decrease over the aging period. The common fungus and bacterium were Aspergillus oryzae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respectively. After the aging period, the predominant fungi were Candida versatilis, Candida apicola, and Debaryomyces hansenii. The predominant bacteria were Tetragenococcus halophilus and Cronobacter sakazakii.
        4,200원
        108.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Korean traditional vinegar using ginseng radices (wild simulated ginseng, red ginseng), and to investigate its functional ingredients and functionality.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red ginseng vinegar and wild simulated ginseng vinegar was 124.36 mg% and 168.37 mg%, respectively, which wa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red ginseng and wild simulated ginseng (70.71 mg%, 76.29 mg%). In addition, the polyphenol contents of red ginseng vinegar and wild simulated ginseng vinegar were 73.26 mg/g and 82.43 mg/g, respectively, which wa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red ginseng and wild simulated ginseng (43.42 mg/g, 51.32 mg/g). And also, the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red ginseng vinegar and wild simulated ginseng vinegar was 893.26 μg/mL, 803.92 μg/mL, which showed that the scavenging ability was better than that of red ginseng and wild simulated ginseng (1253.21 μg/mL, 1021.01 μg/mL).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red ginseng vinegar and wild simulated ginseng vinegar contain 0.024% and 0.028% of compound K, a unique component of fermented ginseng, which is not contained in red ginseng and wild simulated ginseng.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traditional vinegar using ginseng radices is a traditional functional foo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10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s inside and outside the pot as well a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enjang made by seven different farmers, in the Gyeonggi province during fermentation. The outside temperature of each region in the province was 5 to 10℃ higher in one place, in which fermentation took place inside the glass greenhouse, compared to other regions, while six other places showed similar changes in temperature.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amples decreas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fermentation period from 53.6~62.3% to 51.0~58.5%. The salinity generally increased from 9.7~14.2% to 10.6~16.3% except for samples B and D, which declined from 17.0~17.2% to 16.6~16.9%.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s increased from 180.3~557.8 mg% to 437.3~840.7 mg%. The ammonia-type nitrogen contents decreased from 116.3~561.9 mg% to 70.7~149.2 mg%. Overall, the color of Doenjang was similar, but sample E had higher a and b values than the other regions, and the total bacterial count in the entire region was similar.
        4,000원
        110.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도권 인근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을 풍수적으로 해 석하고, 풍수적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각종의 비보물의 존재형태와 기능분석 으로 전통마을의 전개⋅발전되었음을 논증하는데 있다. 연구 사례지 는 총 15 개 마을이며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양평지역은 조산, 정자, 숲을 통한 비보가 있었는데 흉상차 폐 및 지맥연장, 수구막이 숲 등이 존재하였다. 양평지역은 한강 및 흑천 등 이 흐르고 마을은 하천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주로 하천의 풍수적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둘째, 용인지역은 산세가 수려한 지역이다. 비보의 형태는 주로 수구막이 숲이 대부분이었고, 지맥연장비보 및 돌(石)비보의 형태가 존재하였다. 용인지역은 중부내륙에서 볼 수 있는 산간 지역 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셋째, 이천지역은 남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이 대부분이고, 마을은 대부분 평야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평야지역이라 하더라도 대부분 하천을 끼고 있고 있음으로 인해, 평야지역과 하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 이었다. 본 연구 대상지에서 가장 많은 비보형태는 수구막이 숲이었고, 다음으로 지맥연장, 조산비보 등이 있었다. 또한, 돌을 매개로 한 비보형태도 발견되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보 숲은 기후조절효과, 휴양효과⋅ 마을 구 성원들의 위한 화합장소로서의 효과 등이 나타나, 이들 숲을 비롯한 비보 물들이 전통마을의 지리적⋅지형적으로 전개, 발전된 것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7,800원
        11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달크로즈 신체 리듬 교수법은 전통적인 교탁 의자 교수법을 뒤집고, 신체 리듬 방식으로 음악 교수법을 재구성하고, 음악 예술의 특성과 음악 학습의 법칙에 부합하는 교수 경로를 탐구 하였다. ‘동(動[움직임])’을 주제로, 신체 리듬 음악 교육의 기 본 문제, 즉 신체 리듬이 무엇인지, 왜 움직이는지, 어떻게 움 직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시에 중국 전통 미학의 관점에 서 신체 리듬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수행하였다. 신체 리듬 교육을 ‘심신합일(心身合一)’ 및 ‘기운생동(氣韻生 動)’의 측면에서 이해하여 향후 중국에서 신체 리듬 교육의 현 지화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4,800원
        11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enjang is a major fermented soy-based food in Korea. Rec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fermented soybean foods have immunity-enhancing, anti-cancer,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Several studies also have reported that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are easily absorbed in the body are produced in larger quantities in aged doenj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s in the anti-cancer effects of commercialized doenjang as it ages. Four groups were form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aging periods of doenjang, namely short (under 5 years, S group), mid (under 10 years, M group), long (under 15 years, L group) and very long (over 15 years, E group). The anti-cancer effects of doenjang were determined by cell cytotoxicity assays in A549, YAC-1, and HepG2 cancer cell lines. Also, NK cell activity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were assayed for cancer immunotherapy. The quanti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doenjang at different ages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cancer effects increased in the S and M groups for all three cancer cell lines. Interestingly, similar to this result,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NK activity were also the highest in the S and M groups. In contrast,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The quantity of phenolic compounds was similar to that of the anti-cancer result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ation period of doenja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ts anti-cancer effects.
        4,200원
        116.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와 중국전통의학에서 바라보는 질병에 대한 병리적 이해를 비교하였다. 두 전통의학은 고대로부터 내려온 의학체계로 수많은 유형의 질병을 극복하여 온 역사적 기록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질병의 원인으로 심신의 잘못된 사용과 감각기관의 과잉 사용 혹은 부족한 사용과 자연을 거스르는 행동으로 꼽았다. 중국전통의 학에서는 질병의 원인을 외인으로 외부 사기의 침범, 내인으로 칠정의 손상, 불내인으로 외상과 음식 및 과로라고 보았다. 질병의 발현을 보는 관점도 차이가 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도샤의 불균형을 질병 발현의 핵심으로 본다. 반면에 중국전통의학에서는 음양의 평형이 파괴되는 것을 주요인으로 본다. 질병의 발전과 변화단계를 보면, 아유르베다에서는 6단계로 나눈다. 도샤의 불균형, 자극단계, 분산, 재배치, 출현단계이며 마지막으로 분화단계는 합병증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중국전통의학에서 질병의 발전과 변화단계를 살펴보면, 사기와 정기의 변화단계를 거쳐 음양 평형의 파괴 단계, 기혈의 병리 변화단계, 생리 장애단계 이며 마지막으로 장부의 병기 발생단계로 나눈다. 두 전통의학에서는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행동이나 환경으로부터 주의가 필요하며, 질병 발현의 초기 단계에서 불균형을 인식하고 더이상 진행이 되지 못하게 하는 것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4,500원
        117.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 of hanbok in online fashion styling games, and examined the main themes of and user reactions to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KrKwic, Textom, and NodeXL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designer’s expressive method,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provide typical traditional hanbok, modern hanbok, and dress-like fusion hanbok, demonstrating contents with various themes for different sexes, classes, and situ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mes of hanbok-related styling game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main themes are tradition, color, historical drama, fusion hanbok, holiday, and love. Most of them produce modernized hanbok that reflect the situation and utility rather than strictly traditional on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 reviews of hanbok styling game contents, positive factors mostly turned out to be the satisfaction of the hanbok contents, with the users also showing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Through this, it was found out that hanboks portrayed in game contents could potentially cause the user’s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Negative factors turned out to b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intrinsic image of hanbok and the game character’s image.
        4,000원
        118.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매의 우물에서』와 『이머의 유일한 질투』가 어떻게 예이츠 자신의 독특한 영성에 대한 생각을 문화적 민족주의와 결합시키는지를 보여준다. 두 극은 쿠훌린을 주제로 사용함으로써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통해 민족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 중 첫 번째 작품인 『매의 우물에서』는 쿠훌린이 영생의 샘물을 찾아나선 젊은이로 등장한다. 그러나 쿠훌린은 결국 샘물을 얻지 못하고 떠난다. 두 번째 작품인 『이머의 유일한 질투』는 그보다 훨씬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극에서 쿠훌린은 아들을 제 손으로 죽인 후 미쳐서 파도와 싸운 후 의식을 잃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다음으로, 논문에서는 두 극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는 노 극 『요로』 (養老)와 『아우이노우에』(葵上)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예이츠가 어떻게 노 극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동시에 변형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5,500원
        12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can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se cases and forms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painting wal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ttempted basic research to prevent disaster damage using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use of the Hwabangbyeok wall of J oseon Dynasty as follows. First, Hwabangbyeok wall was used from the early J oseon Dynasty and was adopted by palaces and other major state facilities to cope with fire and theft. Second, the Hwabangbyeok Wall was also referred to as the wall below the lower part of the wall, and was constructed with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sters from outside. Third, in an analysis of the Daeseongjeon shrine of Hyanggyo, many construction cases were identified mainly in the Gyeonggi area, which is assumed to be based on production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long with local climatic factors. Fourth, it can be said that the Hwabangbyeok wall was basically adopted to prevent comprehensive disaster risk reduction in case of external intrusion and fi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