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방 소도시인 경북 예천군의 100인 미만 어린이 급식시설 32개소를 규모별(50인 이상, 21인 이상 50인 미만, 20인 이하)로 나누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순회방문지도에 따른 개선효과를 조사·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소규모 어린이 급식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위생관리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규모별 분석대상은 집단급식소 25.0%, 소규모 급식소 34.4%, 비집단급식소 40.6%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 급식시설에 고용된 조리사 면허 소지자는 40.6%에 불과했다. 위생·안전관리 지도점검 결과 총 25가지 항목 중 18가지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집단급식소는 총 5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보관관리 1문항), 비집단급식소는 총 13가지 항목 (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 정관리 7문항, 보관관리 2문항), 그리고 소규모급식소는 총 7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정관리 1문항, 보관관리 2문항)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총점의 경우, 전체 순회지원 전 55.89점에서 지원 후 75.11점으로 상향되었고, 규모별로는 집단급식소, 비집단급식소, 소규모급식소 각각 순회지원 전 63.5점, 52.1점, 50.5점에서 지원 후 79.8점, 76.7점, 65.4점으로 세 그룹 모두 상향된 점수의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data not shown). 집단급식소의 경우 전문 인력에 의한 조리업무 수행 및 지자체로 부터의 지속적인 위생 점검으로 순회지원 이전부터 수행되고 있는 항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생·안전 순회지원을 통한 개선효과는 비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비집단급식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위생, 공정관리, 보관관리 항목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의 어린이 급식시설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순회방문지도가 위생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며, 제한적인 지원 횟수로 인한 다소 아쉬운 평점의 상승폭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교육지원을 통한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의 안전문제는 어린이 급식시설 즉 비영리급식 뿐만 아니라 어린이 식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가공식품 및 외식 등 식품 산업 전반에서 함께 풀어야할 과제이다. 이는 지속적인 교육지원 등과 더불어 식품산업체와의 협력 및 상호보완을 통해 균형 있고 지속가능한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한 구체적인 기반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한우는 도체형질의 개량으로 높은 개량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우의 육질은 등급이 높을수록 식감과 맛이 좋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격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식육에서 맛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크게 작용하는 부분 중 하나가 풍미이다. 식육의 풍미는 열처리를 통해 발현되고 풍미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지방, 탄수화물 및 수용성 비단백질 물질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의 특성을 알아보고 높은 가치의 식육 생산을 위한 개량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우 후대검정우 373두의 등심을 채취하여 지방산과 도체형질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도체중, 배최 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성적은 각각 383.73 kg, 83.88 cm2, 10.91 mm, 3.89로 나타났고 한우 등심의 oleic acid (C18:1)와 Linolenic acid (C18:3)의 조성비율은 각각 48.08%와 0.11%로 나타났다. Oleic acid의 유전력은 0.726으로 추정되었고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와의 표현형 상관이 각각 0.105와 0.141로 추정되었다. 근내지방도와 배최장근단면적의 표현형은 Oleic acid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두 형질의 개량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쳐 우수한 풍미를 가진 개체가 생산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o determine quality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and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whole Lycopus lucidus Turcz. roots. Additionally, we evaluated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human fibrosarcoma cells (HT-1080) and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human colon cancer cell (HT-29) lines using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from L. lucidus Turcz. were obtained through solvent extraction. Then we further fractionated both extracts with n-hexane, 85% aq. 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In fatty acid composition, L. lucidus Turcz. contained 33.2% of 18:1n-9 and 1.81% of 18:3n-3, respectively. The incorporation of treatment with A+M and MeOH extracts and n-hexane, 85% aq. 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fractions dose-dependently increased cytotoxicity against the growth of HT-1080 and AGS, HT-29 cancer cells (p<0.05). The A+M extract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all cancer cells in comparison to MeOH extract. Among the fractions, the 85% aq. MeOH and n-hexane fractions showed a higher inhibitory effect after proliferating the three canc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85% aq. MeOH and n-hexane fractions have a potential to inhibit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Objectives: Lipoma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mesenchymal tumor which grows slowly. [1] [2] Intraoral lipomas are rare and have been reported in approximately 1 to 4% of all neoplasm in various literature. [2-5] Oral lipomas mostly develop slowly without symptoms, [6] and predominantly affect the buccal mucosa, floor of mouth, tongue and lip. [3] Material and Methods: A 71-year old male presented with asymptomatic swelling on tongue. On the clinical examination, there were various size of three swelling areas on the dorsum of tongue. Result: All lesions were surgically removed via intraoral approach under general anesthesia. They were soft and yellowish in color. All of the specimens has histologically revealed as typical lipomas. Conclusion: It is a report of tongue lipomas as a rare site, with clinical, histolog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Also, there were several reports of a large or huge lipoma in oral cavity, however there were no report of multiple lipomas on the tongue. So, authors report the rarity of it.
우리나라는 그 동안 중앙집권적 통치에 익숙한 나머지, 의회가 제정한 법률만이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지방자치가 실시되지 않던 시절의 중앙집권식 사고를 탈피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그 논란 중의 하나가 바로 지방자치법 제22조 단서의 문제이다. 지방자치법 제22조 단서가 법률개정으로 삭제되든 그렇지 않든 이로 인해 조례의 제정범위와 관련하여 법률의 유보 없이 권리를 제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여기서 조례제정권의 한계와 관 련한 논의가 제22조 단서에 관한 논의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례로 주민의 권리 제한적 사항을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 방자치법 제22조 단서를 삭제하는 소극적인 태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 기본권 제한의 법률유보에 상응하는 – 이른바 ‘기본권 제한의 조례유 보’를 지방자치법에 규정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포괄적 자치권, 지방의회의 민주적 정당성, 지방 자치의 보충성, 공공복리 실현을 위한 지방권력 행사 등을 고려하면, 지금과 같은 입법권의 분점에 대한 재고가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가 일방적이거나 억압적이라면 건강한 지방자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지방분권형을 지향하는 국가라면, 양자의 관계는 상호교차적이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도적 장치는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현재 인정되고 있는 제도적 장치만으로는 그 실효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지만, 정치의 영역에서 중요한 것은 정치적 관행이기 때문에 지방의 의사를 국가에 지속적으로 피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latability index for evaluating taste quality of pork through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fatty acids and taste related factors.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taste evaluation among varieties showed that the taste quality of Duroc pork was the best.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ty acids and taste evaluation factors. Saturated fatty acids (SFAs) and oleic acid increased the sweetness and savory taste, the preferred flavors, while sourness and bitterness, the non-preferred flavors, decreased, and thus positively affecting the tast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aste by decreasing their preferred taste while increasing their non-preferred tast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between fatty acid and five taste factors showed that stearic acid and oleic acid increased the sweetness and savory taste, while myristic acid decreased the bitterness. Linolenic acid was found to be negatively affecting the taste by increasing non-preferred flavors. In conclusion, SFAs,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taste of pork.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ex to produce delicious pork for pig producers as well as help consumers to trust and purchase high quality domestic p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 and components, decoration and locality of pyongnangans(平 欄干) in Yangban's Houses(32 Houses) in Gyeongbuk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carried out through both survey and on-site study, are as below. First, Pyongnangans of Gyeongbuk region Yangban's Houses can b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which are ①Mureum type, ②Gyoran(交欄) type, ③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④Simplified Saldae type. And these 4 types are again subdivided into eight types, depending on differences of both detailed form and framework. Gyoran type are the most common cases in Yangban's Houses of Gyeongbuk region, whose number is followed by the order of Mureum type,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and Simplified Saldae type Pyongnangans. Decorative 亞shaped Gyoran type are more set up in Sarangchaes than in Anchaes, and this was because Decorative Gyorans are more appropriate to show the Social status and class of a patriarch than humble Mureum type. Pyongnangans of Yangban's Houses in Gyeongbuk region have their peculiarities in the exclusion of decorativeity, by consistent use of plain single-layer Pyongnangans. A certain locality is reflected on the types and detailed forms of Pyonnangans. Mureum type are widely found in Gyeoungju region Yangban's Houses, while Gyoran type were more often used in Andong region. In Bonghwa region,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are found in large quantities. This was due to the locational chateristics of Sarangchaes in Bonghwa region, which were usually built on steep slopes.
본 연구의 목적은 농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조사하여 대상 지역 쌀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의 쌀 생산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정보는 2016년에 캄보디아 남부에 위치 하는 다케오주의 트람꺽군과 키리웡군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80개의 농가를 면접 조사한 자료이다. 농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술 관련 통계 자료가 활용되었다. 또한 inputorientation data envelopment analysis는 기술적 효율성 점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더불어 Tobit regression은 쌀 생산의 효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분야 농가의 평균 기술 효율은 0.67인 반면, 쌀 생산업자들은 같은 생산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투입 비용을 33%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케오주의 뜨람꺽군 및 키리웡군의 쌀 생산의 효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요인이 발견되었다. 토빗 회귀분석 결과, 가장의 성별, 가장의 주요 직업, 쌀의 재배 횟수를 포함한 요인들이 기술적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심어진 종자와 품종은 기술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쌀 생산 규모의 효율성은 0.80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농민들이 적정 규모에 가깝게 운영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생산관련 비효율의 원인이 투입 자원의 잘못된 배분이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것임을 의미 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of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C), and Morus alba (M).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M-root (34.56±0.045 mg GAE/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oot and M-leaf. Total flavonoid contents of C-root were highest (23.07±0.004 mg QE/g).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as used.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ipocytes are generated by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adipogenesis. Matured adipocytes accumulate in abnormal and cause obesity. We investigated effect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C and 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egrees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Root extracts of C and M, reduced lipid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root extracts of C and M, may be good candidates for managing obesity.
Background: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epithelial tumor of the salivary gland in the oral cavity. In South Korea, it occurs most frequently in the palate, retromolar area, floor of the mouth, buccal mucosa, and other areas of the oral cavity. MEC is ra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nder 20 years of age, but it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in this group. Reconstructive surgery is often required due to cystic lesions or resection of malignancy in the oral cavity. Buccal fat pad (BFP) is a flap that is reliable and suitable for reconstructing oral defects because it has a low complication rate and small volume change over time. Case Presentation: We report the case of a 12-year-old female patient with low-grade MEC on light soft palate with no neck metastasis. After tumor resection the palatal mucosal defect was reconstructed with a BFP flap.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features and treatment methods of MEC that is rarely occurring in children, and the usefulness of BFP for reconstruction. Therefore, we will make a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as we examine the clinical feature and review the litera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winter forage crops cultivated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4 species (Rye, Oat, Triticale and Italian ryegrass), and varieties were “Marton”, “Donghan”, “Shinyoung” and “Kowinnearly”, respectively. As a result,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higher in rye than in the other winter forage crops, and lowest in Oat(p<0.05).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talian ryegrass(p<0.05). However, Crude ash and ADF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inter forage crops. NDF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Rye > Triticale > Oat > Italian ryegrass(p<0.05). TDN and total amino acid content (EAA+NEAA) were higher in order of winter forage crop with high crude protein content (Italian ryegrass > Oat > Triticale > Rye). Total mineral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Rye > Triticale > Oat > Italian ryegrass(p<0.05),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Oat > Italian Ryegrass > Triticale > Rye(p<0.05). Compared with the results above, Italian ryegrass and Oat are high in crude protein, TDN,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 Rye and Triticale have the merit that feed value is decreased but high yield(dry matter and TDN yield) can be maintained.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grow Rye and Triticale as winter forage crops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프랑스 헌법상 지방자치의 헌법적 근거는 프랑스 헌법 제1조, 제34조 제3항 및 제12장에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프랑스 헌법 제72조에서 도 출되는 헌법적 가치로서의 “자유로운 행정의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프랑스 헌법상 자유로운 행정은 선출된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를 대표하는 상원에 의해 제도적으로 보장되며, 자유로운 행정의 최소한의 요구조건인 지방의회의 선출은 정치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의 투표권 문제와 평등선거의 원칙의 측면에서 여러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자유로운 행정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법적 및 재정적 수단을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프랑스의 경우 지방자 치단체의 일정한 결정의 자율성은 국가에 의해 행사되는 행정적 통제와 단일국가적 특성에 따른 규범제정권의 통일성을 유지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상대적 결정의 자율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재정적 자율성과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세입을 정하는 것은 입법자의 권한이지만, 프랑스 헌법재판소는 이와 같은 입법자의 권한을 자유재량으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프랑스 헌법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권한의 분할을 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입법자의 권한이라고 이해되며, 이에 대해 프랑스 헌법재판소는 제한적 통제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프랑스 헌법상 지방자치단체간의 일체의 감독은 금지되며, 프랑스 헌법재판소 또한 일련의 결정을 통해 이와 같은 지방자치단체간의 감독의 금지가 존중 될 수 있도록 감시하고 있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utin, buckwheat components on cell growth and anti-inflammation in adipocyte 3T3-L1 and human colon cancer cell SW-480. Methods: We cultured 3T3-L1 adipocyte and SW-480 colon cancer cell to confluence, at which time starvation was induced with SFM for 1 day. Cells were then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0, 25, 50, or 100 μmol/mL of rutin 3T3-L1 or 0, 10, 20, or 40 μmol/mL SW-480.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 cell viability ki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mRNA related to inflammation. RT-PCR was used to quantity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1β (IL-1β), IL-6,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mRNA levels. Results: Rutin significantly inhibited 3T3-L1 and SW-480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Rutin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L-1β, IL-6 and TNF-α at the highest dose. In addition, rutin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X-2 and iNOS mRNA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rutin has the potential to reduce inflammation, and that these effects are greater during tissue-damaging inflammatory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the meat analog were studi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ensory preference and mimicking animal meat. The meat analog was made with different types of liquid materials such as oil, water, lecithin, polysorbate 80, or the emulsion of these components. At the aspect of density, the sample mixed with oil was higher than the sample mixed with water. Cooking loss value was higher at the sample with water than the sample with oil and this was the result opposite to the liquid holding capacity analysis. Also, texture profil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amples with medium chain triglycerides (MCT) oil onl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all attributes except for adhesivenes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sensorial properties and it showed that the overall acceptance was high when the juiciness and softness increased. This result was highly related with the addition of emulsion. Therefore, emulsion technology can be a good candida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t analog and for mimicking the taste of animal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