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9

        142.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veloped a real-time CCD photometric program for IBM PC compatibles. This program can perform several functions necessary for CCD photometry such as telescope control. filter rotation, CCD camera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two-dimensional image processing, simple aperture photometry and automatic differential photometry. The image processing of a spiral galaxy M51 observed with the SNU 61cm reflector shows a well developed spiral structure. Simple aperture photometric results of 14 stars in open cluster NGC 6871 almost accorded with those from IRAF/APPHOT. And we could confirm the light variation of eclipsing binary EM Cep by simultaneous automatic differential photometry of 7stars in NGC 7160. Due to the excellence in the precision and efficiency of automatic differential photometry using CCD. this program is very useful for the study of small amplitude δ δ Sct type variables and of the photometric stability of B ∼ ∼ F type stars.
        4,900원
        14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nthesis of urocanic acid which was started D-fructose, and its alkyl esters, urocanic ethyl ester and urocanic isobutyl ester, were prepared by esterificated. Urocanic ethyl ester and urocanic isobutyl ester were insoluble in water and soluble most organic solvents (ethanol, benzene, toluene, pyridine, THF, DMF) which adds to their practical applicability, and absorb ultraviolet light of greater wavelength than the free acid and there by are more effective for shielding sensitive materials, including the humanbody, from the chemically most effective portion of the solar ultraviolet spectrum.
        4,000원
        14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낱별의 광전측광 관측을 위하여 두 가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하나는 자료수집 (data aquisition), 자료의 표시, 통계처리, 오차추정, 대기상태의 모니터링 등을 다루는 실시간(實時間, real time) 측광제어 프로그램이고, 다른 하나는 하룻밤 관측의 도중 또는 관측 종료 직후에 수집된 자료 전체를 입력 파일로 만들어 주면 대기소광계수 결정과 표준계 변환 및 오차 추정을 해 주는 자료분석(資料分析, data reduction) 프로그램이다. 두 프로그램은 모두 임의의 다색측광계(多色測光系)에 대해서 입력 과일에 필터의 갯수, 색지 수의 정의 등 필요한 자료만 써주면 수행 가능하도록 일반화되어 있다.
        4,000원
        146.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심해역 자원개발용 라이저와 계류된 부유체와의 연성해석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라이저의 안전성은 부유체와의 연성해석 없이 최대 offset을 고려한 해석을 통해 보수적으로 평가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계류된 부유체의 연성 운동해석을 고려하여 라이저의 안전성을 분석한다. 라이저는 초심해역에 적용되는 SLWR이 고려되며, 부유체는 FPSO가 적용된다. 연성을 고려하는 방법과 고려하지 않는 방법론에 대하여 제시한다. 계류선이 모두 안전한 정상상태(Intact) 조건과 사고(damaged) 조건을 고려하여, 각 조건에서 파랑 입사각도에 따라 연성해석 효과를 분석한다. 하중 조건에 따라 계류선의 장력, 부유체의 운동 및 라이저의 거동 등을 분석한다.
        147.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nomic value of organic rice production using gelatin ․ chitin microorganisms in eco-friendly complex, Gongsan, Naju city. The soil condition of experiment paddy field was Jeonbuk series and silt loam with a slightly poor drainage. Except for the high effective silic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used were included in the optimum range of paddy soils in Korea. In growth, plant length, tiller number, ear number, and ear length were observed to be higher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than organic paddy fields. However, number of grain per panicle and grain filling ratio (%) were higher in organic paddy fields than conventional paddy fields. Incidences of diseases and insect pest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organic paddy fields. Water weevil, sheath blight, rice leaf roller and rice blast were more occurred in organic paddy field. On the other hand, false smut was higher occurred in conventional paddy fiel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ice sheath blight and rice leaf roller, and rice yield. In the milled rice quality, the quality of organically cultivated milled rices was lower by the increase of broken rice than that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milled rices.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rice were higher in organic cultivation with decreasing of protein content. Net income of conventionally and organically cultivated rice was 360,000 won/10a and 610,000 won/10a, respectively. Premium net income of the organically cultivated rice was 68%.
        14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tevia rebaudiana (Asteraceae), a perennial plant, has been used as a low caloric sweetener and therapeutic agent for diabetes, hypertension, myocardial, and antimicrobial infections. It has been commonly used leaves and stems because of their high anti-oxidative potential. The present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plore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flos in B16F10 cells. Methods and Results :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flos extract (SFE) was determined by using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reducing power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SFE was 63.154 ± 0.0002 ㎍·QE/100㎎ and the total flavonoid was 8.64 1 ± 0.002 ㎍·GAE/100㎎. SFE exhibited a big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179.6 ㎍/㎖) comparing with standard ascorbic acid (IC50: 368.6 ㎍/㎖), and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131.8 ㎍/㎖). Anti-melanogenic effect of SFE was also examined with B16F10 melanocytes. The amount of melanin synthesis follow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on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SFE treatment (p < 0.05). SFE also suppressed the tyrosinase activity (p < 0.05) and α-glucosidase activity (p < 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Stevia rebaudiana flos has an antioxidant potency and can be used as an anti-melanogenic agent.
        14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entiana spp. cultivar “Skyblueball” was bred by crossing between “Jinbu-65 line” with violet blue (VB 95B) colored petals as female and “Jinbu-1 line” with violet blue (VB 93B) petals as male in 2000 year. The superior line of 00-168-3 was selected in Daegwallyeong from 2001 to 2003 year, and its growth and flower characterization were conducted from 2004 to 2007 year in field of Daegwallyeong and Jinbu, Pyeongchang, Gangwon-do, Namwon, Jeollabuk-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do. The flower showed violet blue (VB 96C) color at opening, the petal of flower had not spot and flower stem color was purple. The flowers were bloomed at the same time from bottom to upside (Table 1). Plant height was 62.9 ㎝ , number of flower stem per plant is 8.3, number of flower node per stem was 5.3, and number of flower per stem was 21.7 (Table 2). The flowering of ‘Skyblueball’ was bloomed from July 26 in Daegwallyeong, August 3 in Jinbu and Namwon, and June 28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do. ‘Skyblueball’ cultivar can be used for cut flower.
        150.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esun’, a new cultivar of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with sharply wrinkled oval and red leaf, produced by a cross between 'Nongjeockchima’ (red leaf color) and ‘Jeockchima’ (high yield) has late bolting and high yield in the field. The cross and selection for advanced lines had been done by the pedigree method from 2002 to 2008. The ‘Hyesun’ has gray seed color and medium elliptic leaves. The yield and adaptability of the advanced lines were evaluated at several locations of Korea (Gangwon-do,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llabuk-do, Gyeongnam-do, and Jeju-do) for 3 years (from 2009 to 2012). The type of maturity of ‘Hyesun’ is early-medium. The leaf hardness of ‘Hyesun’ is a 1,237kg/cm2, which is not thicker than ‘Yeolpungeokchima’. The anthocyanin content of 'Hyesun' is a 88.32mg/100g, which is lower than that of ‘Yeolpungeockchima’. The BSL (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latucin + 8-deoxylactucin + lactucopicrin) content of ‘Hyesun’ is a 5.0ug/g of DW, which is lower than that of ‘Yeolpungeockchima’. Compared to ‘Yeolpungeockchima’, marketable yield of ‘Hyesun’ was higher by 7% (at 381g per plant) and the bolting time of ‘Hyesun’ was remarkably delayed under high temperature cultivation in the field. The shelf-life of ‘Hyesun’ was four weeks longer than ‘Yeolpungeockchima’ at 4℃. Furthermore, because ‘Hyesun’ is more crispy and sweeter than ‘Yeolpungeockchima’, ‘Hyesun’ has the better taste. So, we recommend that the new cultivar ‘Hyesun’ can be suitable for cultivation in both spring and fall season.
        15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진 초등학생 대상 영어어휘지도방법 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초등학생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2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어휘 지 도 방법, 어휘 제시 방법, 활용 자료 유형에 따라 구별되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도 방법에 있어 암시적 지도 방법과 명시적 지도 방법 은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두 지도 방법의 효과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두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시적 지도 방법을 우선에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제 시 방법에 있어 그림 활용, 번역 활용, 맥락 활용 제시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 였고 특히 번역 활용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활용 자료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맥락 적 자료와 탈맥락적 자료 활용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점차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15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amages detec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super tall building. In the results of detections, the damage locations and extents were similar to the actual damages. The accuracy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learning case is larger.
        15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병충, 다수성 계통인 CB02214-131 (IT232701)을 모본으로 하고, 청양 7호(IT23260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CB04340-64를 선발하고,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병충해에 강하며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청양 1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구기자 우량계통 ‘청양 14호’는 청양, 예산, 진도 등 3지역에서 2009∼2011년 3개년간 지역적응성을 검증한 결과 생육이 양호하고 병해충에 강하며 약용성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수량성이 우수하여 ‘청광’으로 2012년에 품종보호출원하였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품종보호 제 4794호, 2014.02.10∼2034.02.09) 되었다.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잎은 둥근 피침형이고 다소 작으며, 열매는 장타원형이고 중간크기이었다. 개화기는 6월 26일로서 중생종이였다. ‘청광’은 대비품종에 비하여 2회의 적심에 의하여 분지 발생이 많았다. 혹응애와 탄저병 저항성은 중강으로 대비품종과 비슷하였다.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은 0.75%, 당도는 15.3°Brix로 대비품종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건과수량은 대비품종에 비하여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15%, 지역적응시험에서 6% 증수되었다. 이 품종은 자가불화합성이 있으므로 수분수 품종으로 ‘청명’과 같이 혼식하여 재배하여야 한다.
        15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꽃가루(약) 배양은 유용유전자의 조기고정으로 육종년한 단축을 위한 육종법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 배양법에 의해 1985년 처음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화신벼를 육성한 이래 현재까지 20여 품종이 육성되었고, 국외에서는 IRRI에서 1995년 첫 약배양 유래 품종이 육성되었다. 국내에서 이 육종법은 전통교배육종에 비해 품종육성 기간을 2년정도 단축시켰다. 도입초기의 주요 목적형질은 양질, 내병충성이 강화된 품종이 육성되었으며 최근 2000년대 들어서는 기능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간 국내 약배양 유래 품종육성 수는 1985년 이래 전통교배 품종수의 약 8%정도였으며, 농가재배 면적은 지난 30여년 동안 2,200천ha정도 재배되어 왔다. 주요 육성품종으로는 화성, 화선찰, 화영, 화봉, 호평으로 꾸준히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벼 약배양 기술은 어느 작물보다 일찍 시작하여 생명공학의 기초를 이루어 성공적으로 실용화를 이루어냈고, 앞으로도 기후변화 등에 좀 더 다양한 유용형질이 요구되는 즈음, 이 약배양법은 유용변이체 및 형질전환체 등을 조기 고정하는데 중요기술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
        15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eneral, the lateral resistant of bearing in a straight bridge is designed for lateral load such as wind or seismic forces. In this study,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cause of damage of bearings in a straight bridge adjacent to the curved road is the centrifugal force or the breaking force of the vehicle.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repair method for the damaged bearings.
        15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eneral, the lateral resistant of bearing in a straight bridge is designed for lateral load such as wind or seismic forces. In this study,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cause of damage of bearings in a straight bridge adjacent to the curved road is the centrifugal force or the breaking force of the vehicle.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repair method for the damaged bearings.
        15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식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추(청고추, 홍고추)를 유기 및 관행으로 재배하여 품질특성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은 pH, 가용성고형물 함량, 경도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가용성고형물이 유기재배에서 2.6~10%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도는 관행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성분은 클로로필 함량, ASTA 값, 총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SEM을 통한 세포조직을 검토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청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녹색도(-a value)값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chlorophyll 함량 또한 a, b, total 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홍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붉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STA 값이 28%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총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청고추와 홍고추에서 모두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유기재배의 경우 고추 색깔에 관계없이 품질특성 측면에서 색택이 더 우수하고 기능성 측면에서 또한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158.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자체 처리 후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거나 산업폐수처리장을 통해 처리 후 방류된다. 산업단지 내 공급되는 공업용수는 인근 정수장에서 1차 처리 된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세정용, 냉각용, 온・습도 조절용수 등으로 이용될 정도의 수질을 나타낸다. 제품생산용이나 공정용수의 경우 수질기준이 공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현재 공업용수의 공급 수질기준에 맞추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다양한 처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하여 방류수 수질을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업용수의 수질기준과 비교 분석하고 재이용 방안으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을 적용하여 처리 수질 및 효율을 비교하였다. 먼저 pH,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철, 망간, 알칼리도, 염소이온, 탁도의 항목에 대한 산업단지 방류수 수질을 분석한 결과 pH, 철, 망간, 탁도의 경우 공업용수 공급기준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알칼리도, 염소이온의 경우 높은 농도로 분석되어 처리되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으므로 실험실 규모의 반응조를 설치하여 위 항목에 대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멤브레인 실험 결과 UF막 실험에서는 전반적으로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나 단독공정으로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고 NF막 실험에서는 총 경도, 총 증발잔류물, 알칼리도, 염소이온 항목에서 모두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나 염소이온의 경우 37.9mg/l로 다소 높게 유출되었다. 이온교환수지 실험 결과 양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총 증발잔류물 556mg/l, 염소이온 238.1mg/l, pH 2.9로 나타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음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염소이온은 8.0mg/l로 처리가 잘 된 반면 pH 12.2, 알칼리도 598mg/l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증발 잔류물과 총 경도제거에도 좋은 효율을 보이지 못하였다. 두 이온교환수지를 2단으로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접촉시켜본 결과 모든 항목에 걸쳐 만족스럽게 나타났으며 특히 두 공정 모두 문제가 되었던 pH의 변화도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16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량’은 생리장해 저항성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9년도 경기도 여주 농가 포장에서 수집해 2002년에 개체를 선발하 였고,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특성검정과 2007년도부터 2009년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음성1호’의 계 통명을 부여한 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수성이면서 염류저항성이 강한 품종으로 인정 되었고, 2011년에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규 등 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천량’으로 명명하였다. ‘천량’의 잎색 은 녹색이며, 소엽 가로 자른면의 모양이 볼록형으로 대조품 종인 ‘천풍’의 오목형과 비교된다. 줄기의 색깔은 전체가 연 두색이나 엽병 주위와 기부에 연한 자색을 나타낸다. ‘천량’ 의 열매색과 잎노화색은 적색을 나타내나 대조품종에서 등황 색, 황색을 나타내어 확연히 구분이 되었다. ‘천량’은 ‘천풍’ 보다 출아기는 2일, 개화기는 3일 그리고 과육성숙기는 5일 빨랐다. 4년생에서 ‘천량’의 경장은 41.3 cm로 ‘천풍’에 비해 짧았으며, 경직경은 6.4 cm로 ‘천풍’에 비해 더 굵었고, 엽장, 엽폭, 엽병장도 ‘천풍’보다 더 길었다. ‘천량’의 근장과 동체 장은 대조품종과 비슷하며, 동직경은 대조품종보다 5.3 mm 굵었고, 주당 생근중은 57.0 g으로 ‘천풍’보다 더 무거웠다. ‘천량’의 주당 열매수는 ‘천풍’보다 더 적게 맺혔으나 천립중 은 53.1 g으로 ‘천풍’보다 무거웠고 개갑률은 ‘천풍’보다 5.4% 높게 나타나 우량 묘삼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 다. ‘천량’의 수량은 생산력검정을 한 결과 평균 수량이 536 kg/10 a로 ‘천풍’보다 12% 증수되었다. ‘천량’은 모잘록병과 탄저병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점무늬병에서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역병과 뿌리썩음병은 거의 발생되 지 않았고 가루깍지벌레와 선충 등 충해에 대해서는 저항성 을 나타내었다. ‘천량’은 염류 과다로 발생되는 지상부의 황 증 현상과 지하부 적변삼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 온에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어 천풍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인삼의 주요 성분인 ginsenoside 함량 중 total 함량은 22.18 mg/g으로 ‘천풍’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조사한 ginsenoside 8종류 중 Rb1과 Rf를 제외한 6종류의 함량은 ‘천량’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