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241.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e vera peel에서 항우식 및 함염증 활성이 있는 물질로 분리, 동정한 aloe-emodin과 barbaloin에 대한 Streptococcus mutans JC-2의 항균활성 및 glucosyltransferase (GTase)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Aloe-emodin과 barbaloin은 Streptococcus mutans JC-2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0ug/mL 첨가농도에서는 lag phase가 연장되고 대수기의 생육도 저하되는 뚜렷한 항균효과가 있었다. 배양액의 pH의 감소폭은 대조군에 비해 aloe-emodin과 barbaloin의 첨가로 적게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 JC-2의 세포질 성분들은 aloe-emodin과 barbaloin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많은 양이 누출되었으며, aloe-emodin과 barbaloin간의 세포막 손상에 있어 큰 차이는 없었다. GTase의 활성은 aloe-emodin과 barbaloin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각각 100ug/mL 첨가 농도에서 각각 99.8, 98.4%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42.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 antimicrobial agent, dried bamboo trunk was extracted by high temperature suction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2825 and Escherichia coli DH 5α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with tea tree oil and BHA.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disc diffusion method, BH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S. aureus ATCC 2825 but bamboo essential oil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Gram-negative bacteria such as E. coli DH 5α. 2. By broth dilution metho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BHA, tea tree oil and bamboo oil were not detected against S. aureus ATCC 2825(MIC, 6.0 ㎕/㎖) and E. cola DH 5α(MIC, 6.0 ㎕/㎖)
        4,000원
        24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ug delivery system(DDS) have been actively studied for the past twenty years. Dual action agents are unique chemical entities comprised of two different types of antibacterial 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gether in a single molecule in such a way that both components are able to exert their bactericidal properties. In spite of the advent of the antibacterial agent the sulfa agents are the most widely used antibacterial agent today. In this study, new antibacterials derivative was synthesized using glutaraldehyde such as crosslinking agent for the purpose of dual-action as DDS study.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se new synthetic derivative between their structures and activities were examined by disc diffusion method. As a result, new synthetic derivative exhibited the broa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 and Gram(-) bacilli. Especiall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new synthetic derivative against Gram negative(Esherichia. coli) was much stronger than that against Gram positive.
        4,000원
        24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active fraction of Dryopteris rhizoma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Also, antimicrob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of four herbs such as Terminaliae fructus, Eugeniae flos,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nd Dryopteris rhizoma.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ree herbs except for Terminaliae fructus showed higher activities in 75% ethanolic extracts than in aquoeus extract. Ethanolic extract of Dryopteris rhizoma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extracts of four herbs. Antimicrobial activity intens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Dryopteris rhizoma extracted by 75% ethanol were order to CHCl₃ fraction$gt;EtOAc fraction $gt;BuOH fraction$gt;H₂O fraction. The CHCl_(3+) EtOAc and BuOH fractions also inhibited growth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respectively. In case of EtOAc fraction, 1000 ppm of fraction almost inhibited completely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tested.
        4,000원
        24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mixture was showed a potent and quick antibacterial activity for 5 major bacteria causing food poisoning i.e.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typhi,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cholera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mixture on the ordinary bacteria inhibiting on the surface of lettuce was lasted even 6 hr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 mixture was non-effective on the color, smell and taste of lettuce. The treatment with 10% mixture solution of the foods such as fish, meat, rice and bread suppressed the growth of the bacteria and kept the foods more freshly than the untreated foods.
        4,000원
        24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leek was effective on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E. coli O157:H7, Pseudomonas fluorescens, Pichia membranaefaciens. Extract from raw Korean leek and that from frozen one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contrast, extract stored frozen condition or extract from blanched one lost antimicrobial activity. Filtration, centrifugation, and vacuum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eek, nor did the changes in storage pHs. Addition of ground leek to soy milk, soy curd, and broth for cold noodle resulted in the prolonged shelf lif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4,000원
        24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al-action agents are unique chemical entities comprised of two different types of antibacterial 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gether in a single molecule in such a way that both components are able to exert their bactericidal properties. Crosslinked sulfadiazine-sulfacetamide such as antibiotics synthesized by crosslingking reaction such as glutaraldehyde. Thes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confirmed by IR, NMR. 4 strains of Gram(+) and Gram(-) revealed effective susceptibility to synthetic crosslinked sulfadiazine-sulfacetamide.
        4,000원
        24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a lactic starter to produce antimicrobial substance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a variety of foodborne spoilage bacteria in fermented foods,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against foodborne spoilage strains, and its sensitivity on the treatment of proteolytic enzymes. L. amylovorus IMC-1, which was isolated from a traditional cheese in Inner Mongolia, produced a maximum amount of antibacterial substance in the skim milk medium after 72 h incubation at 37℃, and further incubation resulted in the same activity. The substance obtained from gel filtration inhibited all strains used such as Bacillus subtilis IFO 3025, Staphylococcus aureus IAM 1011, Listeria monocytogenes VTU 206, Escherichia coli RB, and Pseudomonas fragi IFO 3458 at the concentration of 20 units/ml. This substance was found to show bactericidal action against B. subtilis, E. coli, and Ps. fragi, and bacteriostatic activity against both Staph.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bactericidal action was due to cellular lysis. The substance is not organic acid, hydrogen peroxide and proteinaceous compound.
        4,000원
        25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원성 Escherichia coli O157 : H7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알칼리에서의 적응성과 항균요법제에 의한 불확실성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 : H7은 고 농도의 알칼리 (pH 11.5)에 노출 후, pH 9에서의 증식이 pH 7에서보다 좀 더 저항성이 있게 나타나 알칼리에서의 적응능력이 강했다. 이러한 알칼리 적응성은 pH 9에서 6시간 이내에서 잘 나타났다. 한편 Escherichia coli O157 : H7은 항균요법제 중 saicin 과 ceftnaxone에서 감수성이 매우 높았고, 반면, erythromycin과 yosamycin에서는 저항성이 높았다. 또한 saicin과 ceftriaxone에 5∼100kGy로 감마선을 조사하여도 균주의 최소발육저해농도(MIC)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253.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백질성의 치아우식 예방제를 개발하기 위해 polylysine을 선정하고 Streptococcus mutan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anaerobic broth system에서 미생물학적인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으며, polylysine의 항균활성에 대한 pH와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Streptococcus mutna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은 polylysine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1.0㎎/ml 이상의 첨가농도에서는 두 시험균의 lag time이 약 1시간 정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시험균의 산 생성량도 polylysine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1.0㎎/ml의 첨가농도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 Polylysine은 pH 5.0∼8.0에서도 그 항균활성이 유지되었으며, 60℃에서 30분간, 120℃에서 15분간의 열 처리에도 그 항균활성이 소실되지 않았다.
        4,000원
        254.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액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왔다. 냉면국물의 미생물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혼합사용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하고, 이를 냉면국물에 100%, 50%, 10% 및 0% 첨가하여 20℃ 및 10℃에서 보관할 때에 동치미액의 항균력으로 인하여 의도적으로 첨가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의 증식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동치미액 100%인 냉면국물은 20℃에서 보관할 때에 Listeria monocytogenes는 8시간만에, Escherichia coli O157:H7는 40시간만이 10^6CFU/ml에서 10^0CFU/ml로 각각 급격히 사멸하였고, 10℃에서 보관할 때에도 시간경과에 따라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감소속도는 20℃에서 보관할 때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50% 첨가한 육수에서도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는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는 동치미액 100%일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10% 첨가한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에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약간 있었으나 동치미액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16시간 이후부터는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동치미액을 첨가하지 않은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부터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10℃에서 보관할 때는 24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본 동치미액의 항균활성은 후자의 미생물보다 전자에 대하여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동치미액을 육수에 50% 첨가하여 냉면국물을 제조한다면 보관중의 미생물 오염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5.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액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왔다. 냉면국물의 미생물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혼합사용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하고, 이를 냉면국물에 100%, 50%, 10% 및 0% 첨가하여 20℃ 및 10℃에서 보관할 때에 동치미액의 항균력으로 인하여 의도적으로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동치미액 100%인 냉면국물은 20℃에서 보관할 때는 Salmonella typhimurium은 16시간만에, Staphylococcus aureus는 32시간만에 10^6CFU/ml에서 10^0CFU/ml로 각각 급격히 사멸하였고, 10℃에서 보관할 때도 시간경과에 따라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감소속도는 20℃의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50% 첨가한 육수에서도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는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는 동치미액 100%일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10% 첨가한 육수에서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에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수증가가 약간 있었으나 동치미액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8시간∼16시간 이후부터는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육수에 동치미액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부터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수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10℃에서 보관할 때는 24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본 동치미액의 억제력은 후자의 미생물보다 전자에 대하여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동치미액을 육수에 50% 첨가하여 냉면국물을 제조한다면 보관중의 미생물 오염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6.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 homohiochii B21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관능적인 특성이 좋고, 냉면중의 유해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냉면용 동치미액의 속성 제조방법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두 젖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할 때에는 각각을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 사용하는 것이 산생산과 항균활성에 더 좋았다. 동치미 담금시에 스타터를 접종하지 않았을 때에는 발효초기에 그램음성균과 대장균군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동치미액의 항균활성도 거의 없었다. 스타터를 접종했을 때에는 그램음성균과 대장균군의 수가 초기부터 급격히 감소하였고 항균활성도 매우 높았다. 동치미 재료를 가열살균하고 스타터를 접종했을 때에는 그램 음성균과 대장균군이 초기부터 검출되지 않았으며 항균활성도 높았다. 본 스타터로 20℃에서 동치미를 발효할 때 발효 2일에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고 6일에는 항균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동치미액의 대장균군수, 항균활성 및 관능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재료를 80℃에서 15분간 열처리하고 상기의 두 젖산균을 혼합접종하여 20℃에서 2일간 발효함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57.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면용 동치미액을 제조했을 때 항균할성이 높고 관능적 기호도가 높은 젖산균 스타터를 선발하기 위하여 김치젖산균 24주에 대하여 항균활성과 유기산생산능력을 검사하였다. 검사된 24주 중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 Leu. paramesenteroides C18, Lactobacillus bavaricus B01, B06, C19, C32, Lac. homohiochii B21 및 B22의 균주들은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항균활성은 그램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 보다 그램 양성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동치미액 냄새의 기호도는 hetero 발효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의 균주로 발효한 것이 homo 발효균이 Lactobacillus bavaricus 및 Lactobacillus homohiochii의 균주들로 발효한 것보다 좋았다. 그러나 동치미액에 쇠고기 육수를 동량 가하여 만든 냉면국물은 시료간에 냄새의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치미액의 항균활성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Lac. homohiochii B21와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의 2균주를 동치미 스타터용 우수균주로 최종 선발하였다.
        4,000원
        25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SPD and HPLC method about simultaneous determination for residual synthetic antimicrobials of sixteen species such as sulfonamide etc. in livestock products. Elution solvent used in HPLC was ethylacetate : acetonitrile (4 :1), and mobile phases for solvent A and B were water : methanol : acetonit rile : phosphric acid (700:250:50:0.2) and 100% acetonitrile respectively. The detector and absorbency used in HPLC was UV 266 nm. This study showed the reduction effect of 99.1% for organic solvents, 94% for experimental steps, 95% for analytical time and manpower and 98.9% for costs compared with korea food standard method. The average recovery rates for chicken, bovine, pork and milk were 67.7% 96.2 %, 67.7%-96.6%, 70.0%-96.2%, and 13.8%-97.8%.
        4,200원
        260.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ntimicrobial substances, many kinds of medicinal herbs were extracted with absolute 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Ethanol extract from cinnamon bark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submitted microorganisms. Specially, molds such as Aspergillus sp. and Pencillium sp. were inhibited strongly. Therefore, the crud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such as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n-butyl alcohol and then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tested.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n-hexane fraction was the best in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against mold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 by heat treatment at 100℃ for 60 min or 121℃ for 15 min and by the change of pH 4.0-10.0. We could get the results that the n-hexane fraction of cinnamon bark extract showed not only antimutagenicity but also no mutagenicity by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