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2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꽁치를 냉풍건조방법으로 생산한 과메기 의 성분 변화와 세척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를 하기 전 시료의 수분 함량은 56.62% 였으나 초기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완만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 처리 전의 과메기의 색도차는 42.40이었으나 온도와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차의 값이 감소하였다. 건조를 하지 않은 대조 구의 TBA 값은 0.219였고, 모든 온도 조건에서 건조가 진행될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다. 과메기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25℃에서 36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40℃에서 12시간을 건조 시킨 처리구가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낮았다.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른 과메기의 지방산 분석 결과, 주요 지방 산은 14:0, 16:0, 18:1 등이 각각 18.15~20.96%, 28.06~ 32.51%, 17.06~19.81%로 분포하였다. Chlorine dioxide 100 ppm에서 60초 동안 세척한 구에서 미생물제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메기의 위해미생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와 Pseudomonas putida 로 두 균주가 조사되었다.
        4,000원
        2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 of solidification condition on the pore structure in freeze drying process using the slurries of CuOlimable vehicles. Camphene and Camphor-45 wt% naphthalene based slurries with 14 vol% CuO powder were frozen into a mold at -25℃<, followed by sublim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green bodies were hydrogen-reduced and sintered at 500℃ for 1 h. The porous Cu specimen, frozen the CuO/camphene slurry into the heated mold of the upper part, showed large pores with unidirectional pore channels and small pores in their internal wall.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size of large pores was decreasing near the bottom part of specimen. The change of pore structure depending on the freezing condition was explained by the nucleation behavior of camphene crystals and rearrangement of solid powders during solidification. In case of porous Cu prepared from CuO/Camphor-naphthalene system, the pore structure exhibited plate shape as a replica of the original structure of crystallized vehicles with hypereutectic composition.
        4,000원
        2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far-infrared radiation or freeze-drying methods.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P) showed significantly lighter, weaker green, and stronger yellow color values than powder subjected to freezedrying (FAP) (p<0.001). F-IAP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an that of the FAP.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AP was 50.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P, at 43.51% (p<0.05). Color values of gru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powder (p<0.05). Gruels containing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G)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well a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uels containing freeze-dried Angelica keiskei powder (FAG). Gruels containing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showed 2.0 to 2.5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containing powder alon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black soybean or sweet pumpki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IAG containing more than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had higher sweetness and roasted grain flavor, as well as lower bitterness and astringency compared to FAG.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5.0 representing possibilities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gruels as a home meal replacement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owder.
        4,000원
        24.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순환형 감압 건조 장치를 제작하여 이를 통해 건조한 김치의 품질 변화를 연구하였다. 종래 건조 기술인 열풍 건조 방법은 60oC 이상의 열풍에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40oC 이상의 높은 온도로 높아지면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형되어 품질이 저하되고, 외형사의 변형을 일으켜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동결 건조 방법은 -50oC 이하의 온도와 진공 상태에서 건조하는 방법으로 열풍 건조의 문제점인 식품의 변형 및 영양소의 파괴를 막을 수 있지만, 24시간 이상의 건조 시간 및 높은 비용으로 생산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환형 감압 건조 장치를 제작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건조 시간 별 함수율에서는 순환형 감압 건조의 건조 속도가 10시간으로 가장 짧았으며, 함수율도 시간 별로 일정하게 감소하여 가장 효율적인 건조방법으로 나타났다. drying rate 또한 순환형 감압 건조의 변화 폭이 가장 짧고 안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건조 수율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 적정산도 및 염도 측정은 순환형 감압 건조 김치가 일반 건조 전 김치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치를 보여 특성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건조가 되었다. 건조 김치의색도는 순환형 감압 건조 김치의 적색도가 일반 건조 전김치와 가장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어 pH, 적정산도 및 염도의 결과와 함께 가장 안정적으로 건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기 성분의 분석에서도 건조 전 김치의 황화물과 ethanol 및 acetic acid 등의 성분함량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어 순환형 감압 건조 과정에 있어 김치의 풍미를 유지하였다. 관능 평가의 경우 색과 Texture에서 감압 건조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순환형 감압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김치 등의 식품을 건조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우수한 건조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조 김치의 품질 평가를 통하여 순환형 감압 건조 김치가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김치를 상품화 한다면 기능성 식품으로 다양한 식품으로 활용하는데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know proper drying condition for making a safe Sunsik, uncooked food,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real dried by hot-air drying was investigated. As moisture content of 3 Sunsik samples was reduced to about 8%, protein, carbohydrate, fat and ash content of those was increased. But approximate composition of black bean, black rice and glutinous millete and black bean showed little changes during hot-air drying (30, 40, 50oC). Lightness (L value), redness (a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was increased after hot-air drying. In case of black rice and glutinous millet, b value and L value wasn't changed individually. When we measured a texture for 3 kinds of raw cereal for, hardness of dried cereals was lower than raw cereals. Hardness of dried cereals was increasd as dry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As results of mocrobiologicl experiment for 3 kinds of sunsik on hot-air drying conditions, total cell count was reduced 2 log - 3 log and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 wasn't detected except B. cereus.
        4,000원
        26.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ggplant pick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alt concentration (1, 3, 5%) and three groups based on drying time (30, 60 and 120 minutes), followed by storage at 5℃ for 28 days. Raw eggplant contains 94.82% water content. The increase in salt concentration and drying time caused a de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the 0.27% ash content of raw eggplant, the ash content of eggplant pickles increased noticeably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due to penetration into the eggplant pickles. pH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and dying time increased (p〈0.05). In terms of storage time, pH values decreased from 21 days. The variation in salin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pickles salted at 5.39% salinity, eggplant pickles constituted 0.27~0.77% (1%), 0.40~1.14% (3%), and 0.47~11.20% (5%) 'low-salinity' eggplant pickles. Reducing-sugar content differed on the dates of 7, 14 and 21 in drying time and at 3% salinity. Hardness differed at 30, 60, and 120M on the 28th and 1, 5% salt concentration. Resilience differed according to drying time and from dates of 0 to 14th. The number of total microbes decreased at low salinity. In terms of storage time, the number of microbes tended to decrease after the 21st. In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lightness of 5%-30M was the highest value.
        4,600원
        2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밀관수를 위한 관수시간, 점적라인 설치 등 관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얻고자 점적관수 시 토성에 따른 물의 수분함량변화를 공간적, 시간적 변이의 차이를 구명하였다. 20cm의 간격의 노즐로 설치된 1열 점적관을 이용 관수 하였을 경우 양토와 사양토내의 수분은 중심을 따라 대칭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였으나 수분확산 폭은 양토가 더 넓고 속도가 느린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높은 모래성분 함량을 갖는 양질사토의 경우는 낮은 수분 보유력으로 인하여 위치별 수분함량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만큼 물 빠짐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수개시점과 종말점을 고려하였을 때 사양토의 경우 20cm 깊이에서 관수개시 30분 후에 수분의 포화가 이루어졌으나 양토와 양질사토의 경우는 약 80분이 소요되어 효율적인 수분공급 측면에서 관수시간은 토성별로 달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깊이 10cm에서의 시간에 다른 토양수분의 감쇠특성은 지수함수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토양별 안정된 상태에서의 수분함량은 양토, 사양토, 양질사토 각각 17.6%, 6.2%, 4.2%로 예측되어 토성에 따라 잔여수분함량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수분함량과 토양수분퍼텐셜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분특성곡선은 시험 토양의 경우 모두 높은 결정계수를 갖는 지수함수로 근사가 가능하여 수분퍼텐셜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재배시스템에서 대응하는 수분함량 예측에 유용한 관계식을 얻었다.
        4,000원
        2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er inquired drying characteristics by reflecter shape. Near infrared ray (NIR) is very useful in various drying field. The researcher compared and investigated, temperature about reflecter's shape with numerical analysis method and experimental method. The researcher also investigated about distance between a lamp and a drying target plate using experimental method. As far as a experimental method is concerned, the researcher used the thermal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hanging distance between a lamp and a drying target plate into H=500mm, 600mm and 700mm. Also presented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about thermal image for temperature distribution at each cas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has come to the H=700mm about best result in this study.
        4,000원
        3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iral vibration heat exchange dryer moves, dries continuously and mixes uniformly particles on the spiral heating plate. So this system is adequate to dry the powder-type food materials. The mass and heat balance equation is used to design dry capacity and water content measurement, sieve analysis and vibration moving test are practiced to lay out the spiral plate. Spiral vibration dryer(300 kg/hr) is manufactured and tested by Dashida powder of 4.8% water content at 80~85oC. The frequency of vibration motor is operated 45Hz, 55Hz, 60Hz and the product mass per time is measured by digital scale. The water content of product is 1.0~1.6% and the dry efficiency is 67.4~78.2%. The spiral vibration heat exchange dryer make 125~363 kg/hr of Dashida dehydrated with temperature consistency and without dust in case.
        4,000원
        37.
        199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무건조법으로 용사용 원적외선 세라믹/알루미늄 복합분말을 제조하여 플라즈마 용사법으로 알루미늄 모재에 용사한 후, 미세구조, 결정상, 열충격저항성 그리고 분광복사율을 조사하였다. 분무건조된 복합분말의 입형은 구형으로 34~105μm . 영역에서 높은 복사율을 보였다. 그러나 알루미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원적외선 방사특성은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용사법으로 원적외선 방사특성의 큰 손실 없이 방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20~30%wt%Al를 첨가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4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석탄가스화 슬래그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석고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길이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석고 미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5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에 비해 굉장히 큰 변화량을 보이는 반면, 석고 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0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치환율에 따라서 적은 수준의 길이변화량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CGS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고의 혼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