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2

        44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ntioxidant efficacy of roasted maize tea according to different moisture contents (9% to 14%) using the puffing system (PS) and the roasting system (RS). Compared with the RS, the PS caused higher turbidity (0.017 vs. 0.003 in PS-14% vs. RS-14%), brown color intensity (0.170 vs. 0.059 in PS-14% vs. RS-14%), a-values (0.20 vs. -0.44 in PS-14% vs. RS-14%), b-values (7.90 vs. 5.57 in PS-14% vs. RS-14%), and a lower L-value (19.67 vs. 21.03 in PS-14% vs. RS-14%).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roasted maize tea were increased along with the moisture content and they were higher with the PS (polyphenol; 5.95 mg GAE/g, flavonoids; 1.27 CE/g in PS-14%) than with the RS (polyphenol; 5.39 mg GAE/g, flavonoids; 1.12 mg CE/g in RS-14%).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oasted maize tea were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scaveng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PS (DPPH; 160 mg TE/100g, ABTS; 507 mg TE/100g in PS-14%) compared with the RS (DPPH; 120 mg TE/100g, ABTS; 362 mg TE/100g in RS-14%). The polyphenol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rbidity, brown color intensity, and L, a, and b-values of the roasted maize tea. In addition, an increase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roasted maize tea induced antioxidant activities. As a result, an increase in polyphenol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nduce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ould prevent damage from free radicals.
        4,000원
        44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군자탕 구성 재료의 기능성을 연구하고자 사군자탕가루를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케이크에 대한 한약재의 첨가량은 6%로 5개(S1(사군자탕가루), S2(인삼가루), S3(백복령가루), S4(백출가루), S5(감초가루))의 첨가군으로 구성하였다. 한약 재료의 첨가에 따라 완제품의 부피감소가 SC> S1>S3>S2>S4>S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제품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서 생균수는 S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C는 저장 7일째에 9x107 CFU/g로 가장 높다가 저장 10일째에는 2.5x106 CFU/g 으로 감소하였다. 한약재가 들어간 다른 시료에서는 낮게 나타나 특히 S5의 경우 같은 7일째에 1.2x102 CFU/g 으로 적게 나타났다. 제품의 조직특성은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이 SC에 비해 다 높은 값을 가졌다.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과산화기질 생성억제효과의 크기는 스폰지 케이크에서 S5>S4>S3>S2>S1>SC의 순으로 나타나 한약 재료의 첨가군의 항산화효과가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SC에 비해 S3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3>SC,S2>S1>S5>S4순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4,000원
        44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stitution of beet powder for rice flour in julpyun recipes with amounts of 0, 1, 3, and 5%. The beet powder had a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crude fat content, crude ash content, crude dietary fiber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of 18.90, 1.37, 0.17, 0.91, 3.65, 12.03%, and 87.63 mg,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The pH, DPPH and total 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L’ and ‘b’ of julpyun de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but ‘a’ increased. The texture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of julpyun increased with increasing beet powder content, but the springiness decreased. The adhesiveness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beet powder content. The overall preference scores showed a high overall acceptability for julpyun made with 3% beet powder.
        4,000원
        44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0, 1, 3, 5, and 7%) substituted for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ll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added to the cookies recipe. In addition, the Hunter’s color L and a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According to hardness measurements, the substitution of 1~7% mulberry leaf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The sensory evaluation revealed cookies containing 3% to have the highest scores.
        4,000원
        44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기능 미래 식량자원으로서 이용 가치가 높은 밀웜과 검은콩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고, 밀웜 및 검은콩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기호성을 비교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밀웜의 첨가량을 0%, 10%, 20%, 30%로 증가한 쿠키와 밀웜과 함께 검은콩 분말 10%, 20% 를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관능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창율, 손실율은 밀웜만 첨가한 쿠키와 밀웜과 검은콩 분말을 함께 첨가한 쿠키 모두에서 밀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ABTS 측정 결과 밀웜 분말과 검은콩 분말을 첨가한 쿠키 모두에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쿠키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여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한 양의 밀웜에 검은콩 분말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밀웜 분말만 첨가한 쿠키 보다 총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밀웜만 첨가한 쿠키의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밝기(L 값)와 황색도(b 값)는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적색도는(a 값) 증가 하였고, 밀웜과 검은콩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적색도(a 값), 밝기 (L 값), 황색도 (b 값)가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 되었다. 쿠키의 조직감 측정결과 밀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 < 0.05), 검은콩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강도가 강하게 나타나 밀웜 증가에 의한 쿠키 강도의 감소를 검은콩을 첨가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밀웜 쿠키의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기호성을 모두 향상하기 위해서는 밀웜 분말을 10%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4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5월에서 8월 기간 동안 단양지역의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기상·기후학적 인자와 아로니아 과실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로부터 기상 요소, 과실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건, 비가림 및 해가림 설치에 따른 과실의 특성 변화 등을 조사한다. 그 결과로서, 첫째, 단양지역의 최근 최고기온, 누적강수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등의 기상·기후 인자가 아로니아 재배 적지뿐만 아니라 일정한 품질 유지 및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4월과 5월의 강풍은 아로니아의 개화기 및 만개기의 낙화현상에 큰 영향을 준다. 둘째, 아로니아 품질과 생산량은 일최고기온, 일토양온도, 일토양 pH, 누적강수량, 일토양습도 등의 농업 기상·기후 인자와 0.9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인자들을 이용한 회귀식을 통해 그 품질과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 아로니아의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일 변색기 이후에는 비가림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로니아 표본 농가의 노지 및 비가림 재배 시에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 간 회귀분석 결과는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4,800원
        44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quality characteristics, like moisture contents, hunter color value, total polyphenol, starch, amylose, and ash contents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cultivars according to storage periods. Moisture contents of all the varieties decreased with long storage period, and were lower in dry type than tender and moist type sweet potato. Lightness(L value) of sweet potato flesh was decreased in Shinyulmi, Daeyumi, Shinhwangmi but other seven cultivars showed increasing trend. Redness(a value) was increased in Sinyulmi, Sinhwangmi, Sinjami and yellowness (b value) increased in Yeonjami on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in Dahomi, Sinjami up to 4 months of storage and all other varieties showed decrease during storage period. The starch contents also decreased with storage period. The amylose contents showed different by the cultivars. The ash contents in all varieties ranged from 1.1 to 1.7%,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varieties and storage periods. There was no change in pasting temperature during storage periods. Peak viscosity, through viscosity, breakdown and final viscos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torage periods and cultivars. But setback tended to increase in all cultivar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