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4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on baking properties of white breads were investigated by evaluation of specific loaf volume, pH, acidity, rheological property, color and sensory quality. Bread was processed by adding 4.7%, 9.4%, 14.1% and 18.8%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basic formulation. The compositions of Japanese apricot flesh were 88.19% moisture, 0.45% crude ash, 4.10% dietary fiber, 4.04% citric acid and 0.41% total sugars. The specific loaf volume of the breads was decreased from 3.274mL/g to 1.857mL/g as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creased from 0% to 18.8%. The pH of the breads decreased but the acidity of those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wheat flour increased. Lightness(L value) of the bread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Japanese apricot flesh, while yellowness(b value) and redness(a value)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with increase of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Whil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bread with 9.4% Japanese apricot flesh, and increased in the bread with 4.7%, 14.1% and 18.8%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flavor, taste,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when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 was 4.7%, and softness and chewiness was the best when 9.4% of Japanese apricot flesh was add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s containing Japanese apricot fles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 add no flesh during storage at 25℃. Based on physical, rhe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 addition of 4.7~9.4% Japanese apricot flesh suggested to be acceptable for processing bread.
        4,000원
        42.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addition with maesil(Prunus mume) juice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wet noodl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quality changes such as total microbial count and pH. The Prunus mume juice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When the wet noodles containing Prunus mume juice were kept at 4℃ for 20 days, it was showed that the drop of pH was not significantly occurred during the storage. Total microbial counts for control exceeded the initial putrefactive criterion level of 1.0×106 cfu/g at 16 days of storage at 4℃. However, total microbial count of wet noodles with the addition of 10%, 20% and 30% Prunus mume juice were 3.0×102 cfu/g, 3.0×102 cfu/g, and 1.5×102 cfu/g, respectively, and these bacterial counts were still less than the criterion level ever at 20 days of storage. The addition of Prunus mume juice extended the shelf-life of wet noodle appreciably.
        4,000원
        43.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현상을 일으키는 세균 5종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매실 착즙액의 항균성을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으로 생육 저해환의 생성유무로 관찰한 결과 매실 착즙액은 시험 균주 모두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가장 뚜렷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한 매실 착즙액의 농도는 Sal. enteritidis (15.0mm)는 1% Lis. monocytogenes (14.7mm)는 3%, Bac; cereus (14.75 mm), Esc. coli (13.45 mm)와 Sta aureus (11.9 mm)는 5%였다.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유발균의 생육 억제 효과는 매실 착즙액 3%와 4% 첨가에 의해 Sal. enteritidis는 각각 24시간 6시간에서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매실 착즙액에 의한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Bac. cereus 경우에는 3%와 4% 첨가에 의해 모두 12시간, 그리고 2% 첨가구에서는 24시간에 완전히 생육을 정지시는 뚜렷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와 4% 를 함유한 배지 상에서 Sta. aureus의 성장은 배양 후 24시간에 모두 저해되었고, Lis. monocytogenes 의 경우는 각각 48시간과 24시간에 , Esc. coli의 경우는 모두 36시간에 균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매실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는 Sal. enteritidis. Bac. cereus, Sta. aureus, Lis. monocytogenes. Esc. coli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매실 과육에 함유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α-ketogluta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 ~ 9, 23, 24) 매실의 유기산 함량은 다른 과실보다 다소 높게 함유되어 있고, 가장 많이 들어있는 유기산은 citric acid로 이는 레몬이나 감귤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들어있었다^23).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매실 착즙액 3%와 4% 첨기구에서의 pH는 각각 3.47과 3.34를 나타내었다. 다라서 본 실험의 매실 착즙액이 각종 실험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가지는 것은 낮은 pH와 더불어 citrid acid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매실 착즙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공 합성 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보존료로서 식품에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었다.
        4,000원
        4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m milk에 매실 착즙액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4종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casei)의 젖산균을 단독균주 또는 혼합균주로 접종하여 매실 착즙액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저장성을 조사하였고, 매실 착즙액으로 사용한 매실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다. 매실의 일반 성분은 조회분 0.4%, 식이섬유 4.1%, 구연산 4.66%, 총당 0.264%, vitamin C 405.34mg%이었고, 매실 착즙액의 첨가는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산생성도 증가하였다. 실험구 중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와 Lac. casei의 혼합균주에 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많은 양의 젖산 (1.23%)을 생성하였고, 가장 높은 생균수 (3.6×10^11 cfu/mL)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 요구르트를 대조구와 함께 4℃와 20℃에서 30일 동안 저장한 결과, 세 개의 혼합균주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를 사용한 호상 요구르트가 4℃에서 pH는 4.25, 생균수는 4.1×10^9 cfu/mL이었고, 20℃에서 pH는 3.76, 생균수는 8.7×10^8 cfu/mL으로 대조구인 매실 무첨가 호상 요구르트에 비하여 높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차 및 매실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 전자 공여능 및 NDMA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질산염과 아민이 풍부한 식단(CW)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이용한 "simulated digestion" 에서 확인하였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pH 1.0, 4.2 및 6.0에서 실험 결과, pH가 낮을수록, 시료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pH 1.2에서 녹차 추출물 0.5ml 첨가시킬 경우 99.6%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매실 추출물 3ml 첨가시 77.2%의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은 각각 70.6%, 75.1%로 높게 나타났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 1.2 에서 가장 뛰어났고,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높아 3ml 첨가시에 82.1%와 7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에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억제 효과는 시료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20ml 첨가시 녹차 추출물은 57.9%, 매실 추출물은 48.4%의 N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4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실용액의 기능성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매실용액을 농도별(0, 0.5, 1.0, 1.5, 2.0brix)로 혼합 반죽하여 매실빵을 제조하였다. 반죽의 Amylogram 및 Farinogram특성과 dough의 pH 및 부피 그리고 식빵의 부피, 색도, 텍스쳐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mylogram의 최고점도는 매실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점도는 낮고 호화개시온도는 높았으며 Farinogram의 반죽형성시간은 control에 비해 매실용액으로 반죽한 생지가 길고 생지의 안정도는 낮았다. 1차 발효후 dough의 부피는 pH 4.0이하(1.5 brix 매실용액 첨가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빵의 부피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Crumb의 색도는 매실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L값(lightness), a값(redness)은 감소하였고 b값(Yellowness)은 증가했다. 빵의 텍스쳐에 있어서는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control보다 매실용액으로 만든 빵이 낮았으며 관능검사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0.5 brix의 매실용액으로 만든 빵이 우수하였으며 control과 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통해 매실용액을 기능성소재로서 식빵에 이용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0.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에서 뽕나무깍지벌레의 기주식물, 생활사 및 천적에 관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뽕나무깍지별레의 기주식물은 總 22科 74種이 조사되었으며 특히 Prunus層의 核果類에 피해가 많았다. 또한 本蟲은 연 3세대를 경과하며 유충 발생시기는 1세대가 5월 중순~6월 하순, 2세대 7월 중순~8월 중순, 3세대 9월 초순~10월 하순이었으며 최성기는 각각 6월 상순, 7월 하순, 9월 중순이었다. 난, 유충 및 雌成蟲의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는 최초 발생일로부터 각각 10일, 25일, 7일경에 가장 높았으며 뽕나무깍지벌레 천적은 Aphytis diaspidis, Archenomus orientalis, Apterencyrtus morophagus 등 기생봉 3種과 홍점박이무당벌레, 애홍점박이무당벌레, 무당벌레1種 등 3種의 포식충이 조사되었다. 뽕나무깍지벌레와 고약병균 감염은 신초신장과 및점한 관계가 있고 가해받지 않은 가지에 비해서 신초신장이 1/2, 1/4정도 밖에 이루어 지지 않았다.
        4,000원
        5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재배 매실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64.13-93.43 mg ․ 100g-1으로 품종 간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 중 ‘앵숙’과 ‘단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6.16-18.57 mg ․ 100g-1으로 총 페놀과 같이 품종 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고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남고’, ‘회향실’, ‘장속’, ‘단아’, ‘앵숙’에서 모두 50% 이상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모든 품종에서 80%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소거할성을 보였다. 이 중 ‘앵숙’이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 능력은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중 ‘남고’(76.03%), ‘고성’(70.56%), ‘양로’(70.32%)에서 7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52.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istletoe grown in eurasian continent range from England to northern Asia. It has abundant chlorophyll and phenolic compound in node and leaf which has anticancer ac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and composition of the amino acids and mineral along with increasing seed set rates and productivity of Viscum album on Prunus mume.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lant nutrients such as total nitrogen, Ca, Fe, K, Mg, Mn, Na, P and composition of amimo acids in leaves between Viscum album and its host tree, Prunus mume, which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in field and green house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fertilizer. Total nirogen content in leaves of mistletoe and its host tree, Prunus mume was 3.90% and 2.09% in the fields fertilized and non-fertilized, respectively. In a greenhouse fertilized, mistletoe leaves contained higher nitrogen (3.78%) compared to the host tree (3.06%). NO3-N content in leaves was also higher in mistletoe (37.5 ppm & 20 ppm) than in host tree (22.5 ppm & 12 ppm) in a field fertilized and non-fertilized. Ca content (1.18%) were same in leaves of mistletoe and host tree in the field fertilized. Contents of Fe, K, and Mn in leaves of mistletoe were 61.37 ㎎/㎏, 3.33%, and 127.59 ㎎/㎏, which were 16%, 13%, and 48% lower than host tre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ontents of Mg, N, and P were 0.22%, 127.95 ㎎/㎏, and 0.48%, which were 5%, 148%, and 92% higher than host tree, respectively. K contents were higher in host tree fertilized (3.33% in field & 2.55% in greenhouse) while higher K (4.07%) was contained in a field non-fertilized compare to host tree (3.96%). However, P content was higher in mistletoe grown in field (0.48%) and greenhouse (0.42%) fertilized. In non-fertilized field, mistletoe leaves contained higher P (0.65%) rather than in host tree (0.29%). Eigh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investigated in leaves of host plant by 20 - 87%.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nutrient management including fertilization is important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and productivity of mistletoe i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n Prunus mume.
        56.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and ethylene-absorbent on the qualities of Prunus mume fruit. Prunus mume fruits were stored without film packaging (Cont), packed in LDPE film (Cont-P), and packed with ethylene-absorbent (Cont-PE). Fruits were treated with 1-MCP (1 ppm) for 24 hr at 1℃. After treatment, fruits were packed in LDPE film (MCP-P) and with ethylene-absorbent (MCP-PE) and then stored at 1℃ for 8 weeks. Total soluble solids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decreased after 6 weeks while total acidity decreased during storage. Cont was almost completely decayed after 8 weeks of storage while Cont-P, Cont-PE, MCP-PE, and MCP-P were 46, 69, 83, and 5% decayed, respectively. L value decreased but a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samples. Firmness of peel and flesh of samples decreased gradually for 8 weeks. Respiration rat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amples. Ethylene production of Cont showed 0.05 μL/kg/h but immediately after 1-MCP treatment, it showed 0.02 μL/kg/h. Oxalic and malic acids decreased while citric acid increased during storage; fructose and glucose substantially decreased after 8 weeks whereas sorbitol and sucrose increased upto 4 weeks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Based on these results, packing the fruits treated with 1-MCP could extend the freshness of Prunus mume fruit.
        5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rtality was tested to organic control materials to the E. maslovskii adults by the dipping method in laboratory. As the result, in 2014, the extracts of Neem Ⅰ was not shown control effect by 10.2% control efficacy to E. maslovskii adults in laboratory. The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 was shown 84.7% mortality. And other 5 materials were shown 100% insecticidal activity to the adults in laboratory. I n 2015,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 and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 were shown 100% and 94.6% control efficacy, respectively. In the Japanese apricot orchards, the fruit damage rate was low on spray at 21th April in Daap, Gwangyang city, and 8th May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in 2014. The fruit damage rate differed from spray timing and materials,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trol of E. maslovskii should be in late April to early May. Otherwise, in 2015, the fruit damage was significantly low in late April spray in Daap, but no significant was in between one spray at 21th, 27th April and 2 spray that days. Meanwhile, the control effect was better 2 times spray of the days in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Therefore, in organic Japanese apricot, the use of insecticidal materials recommended to control over twice spay in from meddle to late April.
        58.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 후 매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0.5% citric acid와 0.1% Tween 20 단일 및 병합 처리 후 4±1˚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6, 2.22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7일 동안 유지되었다. 매실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색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매실의 저장성 증진 및 다양한 매실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탈수제를 이용한 건조 후 건조 매실의 품질 변화를 열품건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탈수제 처리 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높은 복원율을 나타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열풍건조 보다 많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건조 매실의 색도에 있어서도 탈수제 처리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질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적인 가공 전처리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탈수제 처리가 건조 매실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60.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EC) during the ripening of Maesil with sugar and Soju (19.5~35% alcohol contents) using a homemade method. Maesil, sugar and Soju were purchased at ordinary market in June of 2012. The preparation of sample for analysis was conducted by method of Henry et al. The analysis of GC/MS was used SIM mode (m/z 89, 74, 62).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62 ion and was based on an internal standard procedure. Good linearity was obtain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r2 = 0.993). Low detection limits (LOD) was achieved 4.31 ug/kg and recovery for alcohol was 74.8%. During 90 days, fermentation with sugar was not detected EC (under LOQ). 15 days ripened Maesil wine contained EC between non detected~32.7 ug/kg and 90 days ripened Maesil wine was 19.7~87.4 ug/kg. Higher proportion of Maesil and Soju increased EC contents. EC levels were increased 32.7 ug/kg to 87.4 ug/kg in the ratio of Maesil to 35% alcohol-Soju (1:1). In the ratio of Maesil to 35% alcohol-Soju (1:3) was increased non detected to 69.7 ug/kg. After 90 days, Maesil wine was filtered Maesil through a seive and ripened by 180 day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C compared with non filtered. Treatment of filtered, EC contents was much higher level compared with non filtered.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at alcohol contents contribute to increase EC formation more than Maesi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