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4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maturity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character for double cultivating system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or garlic in southern area of Korea. Soybean cultivars released in the past, especially ‘Keunolkong’ was widely cultivated but it was weak at abiotic stress and low yield potential because of too short growing period and short stem height. ‘Hanol’, a new early maturing cultivar showing better abiotic stress tolerant and higher yield potentia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1408 and ‘Hwaeomputkong’, and released in 2009. ‘Hanol’ is, compared to ‘Keunolkong’, Hanol’s growing period is five days longer and its height is 5cm higher. In addition, it showed better excess-water tolerant and 26.5g 100-seed weight. At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ix regions from 2007 to 2009, ‘Hanol’ showed 2.04 tons of seed per hectare, 14% higher than ‘Keunolkong’ (1.80ton/ha). ‘Hanol’ is promis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with higher yield.
        4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oybean cultivar for soy-paste, ‘Hwangkeumo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2414 (crossing line of ‘Pokwangkong’ and ‘Suwon163’) and ‘Hwaeomputkong’ by soybean breeding team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0. A promising line, SS99409-2B-11-5-4,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Milyang202’. It was prominent and had good result from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and released as the name of ‘Hwangkeumol’. It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gray pubescence, yellow seed coat, yellow hilum, spherical seed shape and large seed (28.6 grams per 100 seeds). Maturity date of ‘Hwangkeumol’ was as early as September 15th.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double cropping system. ‘Hwangkeumol’ was resistant to bacterial pustule and resistant to soybean mosaic virus, the major soybean diseases in Korea an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s. The average yield of ‘Hwangkeumol’ was 2.51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4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풍’은 1999년에 대립이며 황색 종피이며 다수성인 ‘수 원191호’를 모본으로 하고 경장이 짧고 조생종인‘수원196호’ 를 부본으로 교배되었다. 2000년도에 F1을 양성하고, 2001년 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2년 ~ 2004년도에 F3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HS982-B-1-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3호’이다. ‘연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피침형 과 능형의 중간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실모양은 편구 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갈색이고 협은 성 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대원콩보다 15일 빠 른 조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8.7 g으로 대립이다. SMV유묘 검정에서는 하위엽에서 모자이크증상을 보였으나, 포장에서 는 0이었다.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2.5%였다. 불마름병 유묘 검정에서는 5 정도였으나, 포장에서는 0이었다. 콩나방 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36.1%이었는 데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46.8 ㎎/100g, 아이소플라본 함량 은 1,667 ㎍/g으로 대원콩보다 낮았다. 조지방은 19.2%였는 데, 대원콩보다 포화 지방산은 11.8%로 1.6% 높았으나, 불포 화지방산은 85.0%로 1.2% 낮았다. 가공적성에서 두부수률은 대원콩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두부물리성 중 경도, 검성, 응집성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경도는 낮았다.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대원콩보다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대원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6% 증 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3.44 MT/ha으 로 38% 증가하였다(품종보호번호: 제4242호).
        4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풍’은 1998년에 두부 특성이 우수한 동산 128호를 모본으로 하고 미국에서 도입된 Sprite 87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1999년에 F1을 양성하고, 2000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AVRDC에서 SSD (single seed descent)로 F3-F5세대를, 2002년도에는 F6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25-B-B-S-S-S-100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 1호’이다. ‘만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 신육형이며 꽃색은 백색이고, 엽형은 난형이며, 모용색은 회백색이고, 종실 모양은 편구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담갈색이고 협은 성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태광콩보다 9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9.5 g으로 대립이다. 병 저항성은 뿌리썩음병은 강하고, 불마름병은 1이었고 콩나방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41.3%, 조지방은 19.3%였고,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81.2 mg/100g, 아이소플라본함량은 2,425 ㎍/g으로 태광콩보다 높았다. 가공적성은 태광콩보다 두부 수율은 230%로 높았고, 경도는 낮아 부드러웠고,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태광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4% 증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단작에서는 2.41 MT/ha으로 3% 낮았으나, 이모작 재배 시에는 2.87 MT/ha으로 12% 증수하였다.
        45.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간식용 풋옥수수로 이용되는 찰옥수수 주요 품종인 찰옥 4호와 일미찰을 2기작 재배하여 품질 좋은 찰옥수수 생산을 위한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이삭과 종실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2기작 재배시 출사일수는 후기작이 전기작 보다 약 20일 정도 빨라졌고, 출사에서 수확적기까지는 약 10일 정도 느려졌다. 파종에서 출사까지의 적산온도는 약 1,380~1,420℃, 출사에서 수확까지는 약 590~630℃ 정도 범위였다. 이삭무게와 이삭직경은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이삭길이와 착립길이는 후기작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0.05). 알곡 줄수는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줄당 립수는 찰옥 4호가 전기작보다 후기작에 재배한 것이 적었으며 변이폭이 컸다(p<0.05). 등숙 중 종실의 길이, 너비, 두께와 100립 생체중, 전분함량은 출사 후 일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후기작 재배시 저온 등숙으로 전기작 보다 100립 생체중과 전분함량의 증가속도가 느려졌다. 찰옥수수의 전분립은 과피와 가까운 배유의 상단부터 집적되기 시작하여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배유 내부까지 집적되었으며, 후기작 재배한 찰옥수수는 전분립 축적속도가 느리고 조밀하지 않은 것이 관찰 되었다. 100립 생체중은 springiness(0.80***), cohesiveness(0.44***), adhesiveness(-0.80***), chewiness(0.55***), 전분함량은 springiness(0.79***), adhesiveness(-0.81***), chewiness(0.49**)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운’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가을재배용 칩가공용 품종을 육성하고자 1998년 건물함량이 높은 가공용품종 ‘Lemhi russet’와 수량성이 높은 단휴면 2기작 식용품종인 ‘추백’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그후 봄재배와 가을재배를 통하여 실생세대와 생산력검정예비시험, 생산력검정본시험을 거치면서 H98005-4를 선발하였으며,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제주, 남해, 강릉 등 3지역에서봄, 가을재배를 통해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국가목록 등재품종으로 선정되었다. ‘고운’은 남부 해안 2기작감자 재배지역에 적응하는 칩가공용 감자품종으로 숙기는중간정도이다. 반직립형으로 생장하며, 꽃색이 흰색이고, 자연조건하에서 열매는 거의 달리지 않는다. 괴경모양이 짧은 계란형으로 육색이 흰색이며, 내외부 생리장해 발생이 적다. 괴경의 건물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아 칩가공성이 우수하다. 괴경의 휴면기간은 수확후 60~70일 정도이다. 더뎅이병과 역병에 대하여 중도저항성이지만 감자바이러스Y에는 약하기 때문에 씨감자 채종재배시 진딧물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한다. 풋마름병에 대해서는 저항성이 없으므로 풋마름병 발생지역에서는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고운’의 수량성은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봄재배시33.2 ton/ha, 가을재배시 26.2 ton/ha로 나타나 ‘Dejima’에 비하여 각각 87%, 86%의 수량성을 보였다. ‘고운’의 적응지역은 전라북도 해안지역과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2기작감자 재배지역이다.
        4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 및 노지에 재배되는 소득작물은 종류가 다양하고 장소와 시장가격 동향에 따라 수확시기가 극히 가변적이다. 따라서 소득작물 후작에 필요한 벼는 늦게 심어도 벼를 안정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단기성 품종이어야 한다. '만종'은 '영덕34호'와 '남평벼'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인공교배 한 후 약배양으로 품종을 육성하였다. 1. 출수기는 7월 10일에 이앙한 소득작물 후작지 재배에서 8월 30일로 '금오벼'보다 1일 정도 늦은 중생종이다. 간장은 '금오벼'
        48.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보리이모작으로 옥수수를 6월 만파 시 사료용 및 종실용으로의 생육 및 수량변화를 2007 및 2009년의 4월 하순 적파 및 2008년 5월 하순 옥수수와 대비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월 하순 적파에 비해 보리 이모작으로 6월 중 하순 만파 시 옥수수의 생육 많이 감소하여 사료 종실의 수량성이 20~30% 감소하였지만, 이모작으로 동계 재배한 보리의 사료 종실의 수량성을 합할 경우 년간 전체 수량성은 30~40% 증가하였다. 2. 6월 만파 시 옥수수 부위별로는 간엽보다 이삭(종실)의 감소가 적었다. 사료 및 종실용으로 수량감소가 가장 적었던 품종은 광평옥이었으며, 6월 만파에서도 850 kg 10a1의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모작 옥수수는 사료용 보다 종실용으로 만파적응 품종 및 재배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6월 만파 옥수수는 4월 적파 옥수수보다 유효적산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출사일수는 40일 가량 단축되었고, 만파에 따라 출사기는 1달 정도 늦어 수확적기는 사료용이 9월 하순, 종실용이 10월 중순으로 4월 적파 옥수수에 비해 수확 시 기후조건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9.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지역의 식량작물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이모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 겨울작물의 월동온도, 여름작물의 냉해유발온도 및 이모작 작부양식별 소요적산온도 확보 등 온열지표의 변화를 농업기후지대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 북한의 온난화는 과거(1973-1994)보다 최근(2002-2006) 들어 연간 평균기온 3,271℃ 로 233℃ 나 상승되었고 일평균기온은 8.96℃ 로 0.64℃ 증가되었다. 일평균기온의 지역간 변이는 아한대인 북부내륙고산지대의 삼지연에서 1.06℃ , 온대인 동해안중부지대의 장전에서 12.26℃ 로 큰 변이를 보였다. 2. 겨울작물의 월동가능지역 확대 겨울작물의 월동온도를 기준으로 가을보리+벼 이모작 (-13℃ 이상 지역) 가능지역의 분포는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대의 일부에서 최근 들어 서부중간지대의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가을밀+벼 이모작(-15℃ ) 가능지역은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 전역에서 최근 중부산간지대의 전역과 북부산간 일부지역까지 확대되었다. 3. 여름작물의 냉해우려지역 분포 7월중 일평균기온 17℃ 이하의 장해형냉해 유발온도의 경과일수를 기준으로 냉해우려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에서 21-29일, 동북해안북부지대에서 8-10일, 동북해안남부지대에서 2-5일로 나타났다. 4. 이모작 적산온도 확보의 지역적 분포 월동작물 가을밀과 결합된 여름작물(벼, 옥수수 및 콩)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3,1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를 제외한 북한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여름작물 봄감자와 결합된 벼, 옥수수 및 콩 등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2,6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일부 북부내륙고산지대 혜산지역까지 가능하였다.
        5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ze is expected to be planted in June after harvest of winter barley for the double cropping of forage maize-barley. But maize yield tends to be reduced rapidly with late planting after mid-May, so the pre-requisite of maize variety for the double cropping of maize-barley is less reduction of growth and yield at the condition of late planting in June. In order to select domestic forage maize variety adapted to late planting in June after barley harvest, Kwangpyeong-ok, Gangda-ok and Jangda-ok in 2007 and Kwangpyeong-ok, Gangda-ok and Cheongan-ok in 2008 were planted on June 13 and June 21, and plant growths and yields were compared with early planting on April 24 and May 31, respectively. In 2007, Ear number per plant was as high as 0.98 at Kwangpyeong-ok compared to 0.89 and 0.56 of Gangda-ok and Jangda-ok, respectively, at late planting on June 13. TDN and grain yield of Kwangpyeong-ok were the highest among three variety as 1,037 and 710 kg/10a, and yield reduction of Kwangpyeong-ok compared to early planting were 24% and 28 %, which were 7% and 8% lower than Gangda-ok and 22% and 50% lower than Jangda-ok, respectively. In 2008, TDN and grain yield at late planting on June 21 of Kwangpyeong-ok were also the highest among three varieties as 1,157 and 854 kg/10a at late planting on June 24, and yield reduction of Kwangpyeong-ok by late planting were 21% and 19%, which were 10% and 11% lower than Gangda-ok and 22% and 50% lower than Jangda-ok,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proper maize variety adapted to late planting for the double cropping of forage maize-barley was Kwangpyeong-ok because of its higher ear bearing, less reduction of TDN and grain yields at the condition of late planting.
        5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uitable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rice production in silage barley-rice double cropping in Honam plain area by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from 2008 to 2009. Heading dates of all tested cultivars were before the safe heading limit(Aug. 31). Rice yield was superior in "Keunseom", "Hanareum", "Hanmaeum", "Onnuri", "Hopum", "Juan 1", "Dongjin 1", and was little in "Daepyeong", "Hwasin", "Malgeumi", "Chilbo", "Nampyeong", "Hopyeong". Protein content was high in "Hanareum", "Keunseom", "Chilbo", "Nampyeong", and was low in "Hanmaeum", "Dami", "Sindongjin", "Pyeongan", "Samgwang". And head rice ratio was high in "Malgeumi", "Hwanggeumnuri", "Samgwang", and was low in "Keunseom", "Hanareum", "Dami", "Hanmaeum", "Hwasin". In consideration of all the factors, in conclusion, proper cultivars for silage barley-rice double cropping are "Onnuri", "Hwanggeumnuri", "Hopum", "Dongjin 1", "Juan 1".
        5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uyoung" as a new double cropping potato variety was bred in 2005 for table use through a cross between "Dejima" with short tuber dormancy and HRB-31 which is a tetraploid derived from an interspecific cross between "Russet Burbank" and Solanum phureja line. It was evaluated for short dormancy, growth and tuber characteristics every twice a year from 1997 to 2001. Regional yield trials were performed from 2002 to 2004 at three locations, Jeju, Namhae and Gangneung of Korea, respectively. Its tuber shape is oblong with yellow skin and flesh colors. Its dormant periods is 60~70days. It showed less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cracking or knobs on tubers, and higher resistance to common scab by Streptomyces scabies compared to "Dejima". It has tall plant height and erect growth type with green-broad leaflets and white large inflorescence. Its average yields are 29.5 and 22.6 ton/ha at 90 days after planting in spring and autumn cropping, respectively. It also showed higher marketable yield due to the lower incidence of common scab and physiological disorders compared to "Dejima".
        5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ugang" as a new double cropping potato variety for table use was bred in 2003 from a cross between H83005-2 with short dormancy and "Superior" with common scab resistance. It had been evaluated for short dormancy, growth adaptability and tuber characteristics every twice a year from 1990 to 1999. Regional yield trials had been performed from 2000 to 2002 at three locations, Jeju, Namhae and Gangneung of Korea, respectively. It has round oblong tuber shape with yellow skin and white flesh color. Its tuber dormant periods is approximately 50~60 days. It showed less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cracking or knobs, and more tolerant to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plant death by flooding and damages by frost or severe wind compared to "Dejima". Average yields of "Chugang" are 34.6 and 31.1 ton/ha at 90 days after planting in spring and autumn cropping, respectively. It is more resistant to common scab and less susceptible to late blight (phythophthora infestans) compared to "Dejima". However, it is susceptible to potato virus Y (PVY) and andean mosaic virus (AMV).
        5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tely, the autumn cropping areas of potato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o supply fresh potatoes all year round in Korea. Although "Dejima" is a main cultivar for autumn cropping, it is very susceptible to common scab (Streptomyces scabies) and show high frequency of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knobs and cracking on tubers. "Chudong" was bred in 2002 for fresh table use from a cross between H83520-3 with short tuber dormancy and "Superior" with common scab resistance. It has attractive, round tuber shape with white skin and flesh colors. Its tuber dormant periods is 5 days longer than 65 days of "Dejima". Its average yields were 32.4 and 21.8 ton/ha at 90 days after planting in spring and autumn cropping of regional yield trials, respectively. It is more resistant to common scab and potato leaf roll virus and less susceptible to late blight (Phythophthora infestans) compared to "Dejima". However, it is susceptible to potato virus Y.
        5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disinfectant, i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split plots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jor seed disinfectants were benomyl Wp, 20%, Captan Wp, 50%, Triferine Ec, 17%, Etridia zole Ec, 25%, and Thioplant-mythyl Wp, 50%. Even though seed disinfectant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date of Alisma plantago, dry root yield was increased largely with benomyl Wp, 20%, in seed disinfectant than in the other seed disinfectants and contorl. All seed disinfectant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But all seed disinfectant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On the basis of yield, vegetative and disease paramerer, benomyl Wp (20%) (100g/20l) had shown superior performance, however, all the seed disinfectants are effective as compare to without treatment.
        5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elect the seeding machine for mechanizing cultivation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three different seeding machines, ridge rotary, power tiller ridge rotary, tractor ridge rotary were used for sowing one of the high yielding rapeseed cv. Hybrid with five different seeding methods. Seeding of ridge rotary was reduced the seeding effort with 45%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branches and pods, pod length and seed setting rate were higher. The seeding of ridge rotary also was showed highest seed yield. On the basis of time requirement for seeding, vegetative and yield parameters ridge rotary seeding machine was a suitable seeding machine for rapeseed cultivation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57.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f sclerotinia rot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in the cultivation of rapeseed.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rapeseed.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75% WP, chlorothalonil 75% WP, dithianon 43% WP. difenoconazole 10% WP, benomyl 50% WP, and propineb 70% WP. Dry seed yield and control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75% WP (33g/12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Sclerotinia rot.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rapeseed.
        5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축산분뇨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액상구비 형태의 돈분뇨를 벼-보리 작부체계 포장에서 1년에 1회~~ 2회 시용하여 벼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축산농가의 돈분뇨는 채취시기나 채취농가에 따라 질소성분이 3~~7gkg1까지 함량에 차이가 많았으며 인산, 칼리 함량도 높았다. 현미 수량은 LPM+LPM 처리구에서 14~% 로 가장 많이 증수하였으나, 다른 처리에 비하여 도복이 일어날 확률이 높고, 완전립 비율이 떨어지며 심복백율이 높아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높았다. LPM+CF, CF+LPM처리구의 수량은 CF+CF보다 약간 높았으며, 완전립율 이나 쇄미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보리의 생육 및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답리작 포장에 돈분뇨는 1년에 한번 시용하는 것이 벼 수량에 양호하며 돈분뇨 시용량은 질소기준량의 70~% 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숙분뇨로 인한 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6개월 이상 부숙 시킨 양질의 액상구비를 사용하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연용 할 경우 액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액비 시용량을 작물의 질소표준시비량보다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60.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비가림으로 홍화 2기작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1기작 직파재배후 2기작 정식 방법을 직파, 육묘이식 재배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1기작이 2기작에 비하여 출현 소요일수는 길었으나 생존율과 생육이 높거나 양호하였다. 2. 2기작 정식방법에 따른 입모율 및 활착율은 육묘이식 재배보다 직파 재배에서 높았으나, 생육 차이는 미미 하였다. 3. 종실 수량은 1기작 135 kg/10a에 비하여 2기작에 서 30~74%감수되었다. 춘기 1기작 재배후 2기작 직파 재배시 입모율 89.3%, 총종실 수량 229 kg/10a로 가장 높아 중부지방에서 적합한 2기작 재배 형태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