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8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using skate powder (0, 1, 3, 5, 7%) as a substitute for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ll levels of skate powd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ugh values among the test groups. Furthermore, when the spread factor values were compared among groups, they were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kate powder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skate powder increased. Moreover, the addition of 1-7% skate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brittlenes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nce test showed that the cookies containing 3% skate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4,000원
        8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6.
        200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난소화성 전분을 0%, 10%, 20% 및 30% 수준으로 대체한 슈거쿠키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검사와 관능검사 그리고 기호도 검사를 통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난소화성 전분을 30% 대체한 반죽이 다른 시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반죽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고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쿠키의 퍼짐성은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30% 시료군은 다른 시료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L값과 a값을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을 30% 대체한 시료군은 높은 보습력으로 인하여 퍼짐성 특성이 높게 평가되었고 또한 명도와 적색도가 높은 쿠키로 평가되었다. 쿠키의 관능검사 결과 30% 시료군은 다른 시료군들에 비해 경도와 표면에 금이 갈라진 정도가 유의적으로 약하게 평가되었다. 쿠키의 밝은정도에서는 30% 시료군이 20% 시료와 함께 특성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 결과 쿠키의 고소한 맛에서 20% 시료군이 10% 시료군과 함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20% 시료군이 기호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을 10%와 20%로 대체한 시료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기호도 특성들이 높게 평가되어 기능성을 가진 슈거쿠키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10% 시료군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대체비율이라 생각된다.
        4,000원
        8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brown rice flour, which has a greater variety of functional components than wheat flour,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pasting properties shows that the inclusion of brown rice flour to the wheat flour-mixture did not affect the pasting temperature for up to 30% inclusion. The total dietary fiber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and color of the cookies became darker with increasing brown rice flour conten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A on texture, the hardness decreased and the crispness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p<0.05,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brown rice flour content. From the acceptance test, the aroma and texture of the cookies with added brown rice flour were significantly(p<0.001) lower than those of the wheat flour cookies. However, the appearanc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of the cookies with added brown rice flou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wheat flour cookie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he savory aroma of the cookie with 30% brown rice flour was significantly strong(p<0.001). The brown rice flavor of the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was significantly stronger(p<0.001) than that of the wheat flour cooki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in it. The crispness of the cookies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with the inclusion of brown rice flour in the mixture, especially for the mixture with 30% brown rice flour which had the highest value of crispness among the cookies. The graininess and brown color of the cookies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with increasing brown rice flour content, especially for the mixture with 30% brown rice flour which had the highest values among the cookies.
        4,000원
        89.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STP). The cookies were at 30℃ for 45 days. The 3% STP had higher pH valu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control. As more STP was added, the L-value and b-value decreased, and the a-value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nce test showed that the cookies with 3% STP was significantly more preferable in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others.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were lower in cookies with 3% and 6% STP than in those cookies made 9% STP and the control cookies.
        4,000원
        9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unctional cookie with the addition of a sweet pumpkin powder on a cookie shape, that showed high preference level to all age group and that was very easily to store because of low moisture content, by substituting partially a sweet pumpkin powder for reducing content of wheat flour. This study has produced the sensory optimal composite recipe by making iced cookies, respectively, with each 5 level of Sweet pumpkin powder(X1), sugar(X2), butter(X3), by C.C.D(Central Composite Design) and conducting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by means of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ensory items showed very significant values in color, appearance, flavor, overall quality(p〈0.05), texture(p〈0.01), and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lightness, redness(p〈0.01), yellowness, spread ratio, hardness(p〈0.05). Also sensory optimal ratio of Sweet pumpkin cookie was calculated as sweet pumpkin powder 81.8g, sugar 116.6g, butter 210.7g,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influencing cookie aptitude were in order of Sweet pumpkin powder, butter, sugar.
        4,000원
        9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이용된 거친재료로서의 난소화성 저항 전분은 대장암을 예방하는 작용을 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기여하며, 고지방 식이 시에 혈액 내의 총 지방량과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저항전분을 0%, 10%, 20% 및 30% 수준으로 대체하여 오트밀 쿠키를 개발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난소화성 저항 전분을 10% 대체한 반죽이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쿠키의 퍼짐성에서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퍼짐성을 나타내었고 30% 시료군이 낮은 퍼짐성을 보였다. 쿠키의 경도는 난소화성 전분 대체비가 높아질수록 높을 경도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난소화성 전분을 20% 대체한 시료군이 경도와 바삭한 정도 그리고 쿠키 외관의 노란정도에서 유의적으로 특성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은 20% 시료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10% 대체 시료군은 고소한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20% 대체 시료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난소화성 전분으로 대체된 오트밀 쿠키는 모든 대체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거친재료로서 난소화성 저항전분을 첨가한 기능성 쿠키의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94.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rice cookies added with young persimmon fruits. Effects of varying amounts (0-12%) of the fruit powder from a young astringent persimmon fruit (picked at Jul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were studied. Ingredients [rice (Oryza sativa subsp. japonica ‘Ilpum’) flours,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heongdobansi’) powder, sugar, butter, salt, baking powder, egg] were mixed, cut (thickness 3 mm, diameter 35 mm), baked at 170-180℃ for 9 min, cooled, and packaged in polyethylene/nylon bags. The loss rate and spread factor after baking of cookie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fruit powder added. The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L* and a*) of cooki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persimmon powder added.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persimmon powder content; in particular, the DPPH activity of the cookies sharply increased after the addition of 3% persimmon pow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the young persimmon fruit powder affec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nd this fruit powder (approximately 3%) can be utilized as an additive during rice cookie processing.
        95.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rdock powder (BP) has shown diverse functional activities; thus, it seems a good way to increase its consumption by incorporating BP into suitable food products such as cookies. Studies were carried out on cookies prepared by incorporating BP (2%, 4%, 6%, and 8%) into wheat flour. The cookie dough and cookies were evaluated for their physical,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pH and density of cookie doughs ranged from 6.70-6.85 and 1.19-1.21, respectively, with no remarkable differences. Moisture content and spread factor of cookies appeared to increase with higher content of BP in the formulation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For color values of cookie surface, L*, a*, and b*-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as a result of BP substitution (p<0.05). The cookies became crispier as indicated by the reduction in the breaking strength value from 26.71 to 17.83 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higher substitution of BP, and they were well correlated. Hedonic sensory results indicated that cookies supplemented with 2% BP received the most favorable acceptance scores for all sensory attributes evaluated. Overall, cookies with BP could be developed with improved physicochemical qualities as well as consumer acceptability.
        96.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ntinus edode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of rice cookies. The cookies for this experiment was made by 3 main ingredients including rice powder, flour, Lentinus edodes powder. The proportion of rice powder was fixed to 50% for the total amount of ingredients. The amount of reminded 2 ingredients (flour and Lentinus edodes powder) were varied. The amount of flour was decreased up to 38%, and the addition of Lentinus edodes powder was increased to 4%, 8% and 12%. Density of the dough, hardness,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ncreased with increasing Lentinus edodes powder content. Moisture content, pH of the dough,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and L values of the cooki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ntinus edodes powder content. The result of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ell,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hile the preference of color decreased as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increased. To sum up, the cookies with 12% Lentinus edodes powder can produc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97.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탁주 부산물로 얻어지는 주박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고 5-15% 수준으로 첨가하고 이에 따른 쿠키의 pH, 수분함량, 색도와 조직감, 관능평가를 통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박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 반죽의 pH는 3.04-6.52 수준으로 주박 분말 5% 첨가구에서는 무첨가보다 낮아지고 10% 이상에서는 주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주박 5% 첨가 수준은 무첨가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10% 이상의 첨가에서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L 값과 b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주박 분말 10% 첨가구에서 외관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고, 향과 질감 기호도에서는 5%가 가장 높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한 주박 첨가량은 10%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98.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발나물의 활용 범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동결건조 세발나물 분말을 각각 0%(대조군, C), 1%(SM1), 3%(SM3) 및 9%(SM9) 첨가한 쿠키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 및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세발나물쿠키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의 함량은 세발나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C)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SM9군이 4.2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세발나물 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세발나물 분말 첨가군들(SM1, SM3, SM9)이 대조군(C)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세발나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과 적색도(a값)은 낮아지고, 황색도(b값)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경도는 대조군(C), SM1군 및 SM3군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세발나물 분말 첨가군 중 SM9군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쿠키의 향미, 맛, 조직감에 있어서는 세발나물 분말 3%(SM3), 9%(SM9)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받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는 3% 첨가군(SM3)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쿠키 제조 시 세발나물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향미,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조건을 잘 만족시킬것으로 판단된다.
        99.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 쌀품종인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이화학 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용 쌀냉동 반죽의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은 수분 함량, 회분 함량, 단백질 함량, 아밀로 오즈 함량, 손상전분, 수분 결합력, 입도 및 색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 대조구의 수분함 량 및 회분 함량은 각각 7.70, 7.28, 13.14% 및 0.39, 0.35, 0.39%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8.68%로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6.62 및 6.05%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아밀로오즈 함량은 각각 19.05 및 23.04%를 나타냈다. 손상전분의 경우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는 각각 13.73 및 14.09%의 전분 손상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45%의 전분 손상도 를 나타내어 쌀가루의 전분 손상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177.69%의 수분 결합력 을 보인 반면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수분 결합력은 270.50 및 281.17%로 높은 수분 결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아름 및 다산2호 쌀가루의 평균 입도 는 각각 50.05 및 49.50 μm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8.54 μm의 평균 입도를 나타냈다. 시료의 색도 분석의 경우 대조구 명도는 92.63을 나타낸 반면 한아름 및 다산2 호 쌀가루는 93.72 및 93.51을 나타내어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쌀냉동반죽의 해동시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냉동반죽 이용 쿠키의 명도는 해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용 쌀 냉동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직경은 해동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쿠키 두께의 경우 다산 2호 쌀가루 이용한 냉동반죽을 30분간 해동 후 구운 쿠키의 두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냉동반죽 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초다수성 쌀가루 중 다산 2호 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반죽을 해동 후 바로 구운 쿠키의 경도가 980.78 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00.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색 콜라비를 이용한 쿠키의 개발로 콜라비의 활용방안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콜라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콜라비 쿠키의 관능검사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콜라비 쿠키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콜라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반죽의 pH와 밀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콜라비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콜라비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컸으며,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색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콜라비 쿠키의 경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쿠키의 향,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쿠키의 색, 맛 및 외형은 콜라비 분말을 3%와 5%를 첨가한 군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쿠키제조 시 콜라비 분말 첨가는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능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