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6

        86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178개 품종을 이용하여 12개 이삭형질에 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일형이 자포니카형보다 이삭길이는 길었고 이삭목은 두꺼웠다. 또한 수당립수, 총지경수, 2차 지경수, 2차 지경 총립수, 2차 지경 평균립수 및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 각각에서 많았다. 반면에 자포니카형이 통일형보다 이삭추출은 양호하였고 1차 지경 평균립수도 약간 많았다. 12개 이삭형질 값을 가지고 평균 연결법을 이용하여 178개 품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한
        87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poxygenase 및 7S 단백질이 결실된 가공적성이 높은 콩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국내의 장려품종을 모본으로, 7S의 α와 αʹ-subunit이 없는 CS735을 부본으로 하여 2006년도에 CBC2601(경상대콩 × CS735), CBC2602(진품콩 2호 × CS735), CBC2603(진율콩 × CS735) 및 CBC2604(청자콩3호 × CS735)의 4조합을 인공교배하여 세대를 진전시켰다. 2009년 수확된 F4세대 4조합438계통의 3280개체에 대하여 개체당 3립씩 총 9840립을 SDSPAGE를 실시하여 Lipoxygenase 및 7S 단백질의 결실계통을 선발하였다. 교배조합 CBC2601과 CBC2602의 F4계통에서는 LOX 및 7S의 αʹ,α-subunit 결실 또는 동시결실 계통들이 선발되었으며, 일부 계통들에서는 LOX, 7S의 αʹ,α-subunit 및 β-subunit가 동시에 결실된 계통이 선발되었다. 교배조합 CBC2603과 CBC2604의 F4계통 에서는 αʹ-subunit 및 α-subunit가 각각 결실되거나 또는 동시에 결실된 계통들이 선발되었다.
        87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국내 통일형 품종들은 일반계인 밥쌀용 품종들보다 수량은 높았지만 밥맛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맞지 않았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세계진미는 취반시 경도가 높지 않고 아밀로그램에서 최고점도가 높고 취반점도가 낮은 일반계 양질품종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며, 밥맛 관능검정결과에서도 추청벼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은밥 관능검정결과 다산벼 등 통일계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월등한 밥맛을 보였다. 세계진미는 간장이 82cm로 다산벼 보다 큰 편이며, 출수기는 남부 평야지에서 8월 17일로 다산벼보다 1주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애멸구,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서 내냉성이 약하며 벼멸구에는 저항성이 없다. 3개년간 11개 지역의 평균 쌀수량은 701kg/10a로 다산벼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며 적응지역은 남부평야지 1모작지이다.
        87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찰옥수수에 단맛을 가미하고자 이중열성인자(wxwxshsh)를 이용하여 찰초당옥수수 품종 육성을 위 하여 수행 되었다. 감미찰 옥수수는 최초의 단맛이 가미된 찰옥수수로 이삭내 립의 비율이 찰옥수수 대 초당 옥수수가 3 : 1로 혼합되어 있다. 감미찰 품종의 특성은 아밀로펙틴 함량은 94%, 과피두께 59㎛, 백립중은 27g, 종피색은 흰색, 자수색은 담자색이었다. 또 평균이삭중이 132g이며 10a당 이삭수는 5,833개였다. 채종시 험결과 모본인 Gwx2의 출사기와 부본인 Gdm1의 화분비산기가 일치하여 10a당 85kg의 채종이 가능하였다. 식미검정에서는 찰옥1호 보다 우수하였고 초당옥수수는 당 함량이 높아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찰옥수수는 청․장년층에게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찰초당옥수수는 한국인 기호에 맞는 새로운 시도로 보여진다.
        87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경기인삼(홍삼)의 명품 브랜드화를 위해 DNA 검정에 의한 인삼 고순도 종자생산 시스템구축 및 홍삼 적합 원료용 품종개발과 안전 재배기술 확립 연구를 수행 중이다. 현재 홍삼용과 가공용 으로 추천되고 있는 천풍․연풍과 경희대학교와 경기도에서 출원중인 신육성 계통(K-1)인 2년생에 대하여 형 질 특성과 광 반응을 조사하여 재배기술 확립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으로 초중기 생육특성 조사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2007~2008년 연천에서 예정지를 2년 관리 후 천풍, 연풍, K-1, 혼계종을 인삼 GAP표준재배지침 서에 준하여 이식을 하고 관리를 하였다. 출아시는 혼계종 5월 3일에 비하여 천풍은 차이가 없었으나 연풍과 K-1은 각각 3, 8일 빨랐다. 출아율은 시험품종 모두 81~90%로 양호하였다. 광합성속도는 20℃에서 광량이 증가할수록 K-1이 가장 높았고 연풍>천풍>혼계종 순이었다. 혼계종에 비하여 시험품종 모두 경장과 엽장은 길었고 엽폭은 대차 없었다. 지하부 생육특성 조사 결과 근장은 혼계종에 비하여 K-1만이 길었으나 연풍과 천풍은 대차 없었며, 근직경은 K-1, 연풍, 천풍 모두 굵었다. 단풍기는 혼계종 8월 25일에 비하여 연풍은 16일 빠른 8월 9일이었으나 K-1은 9월 2일, 천풍은 10월 8일로 각각 7일, 44일 지연되었다. 아직 K-1의 경우 2년생 저년생이지만 형질특성을 보면 다수성인 연풍과 대등한 생육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유망시되며 향후 고년생 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87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재배환경에 적합한 다수성인 거베라의 우수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0년부터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품종을 수집한 후, 2002년 3월에 황색 대륜계의 '99-가-2'를 모본, 핑크색 대륜계의 '99-나-7-6'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교배조합으로부터 8475개의 종자를 획득하였다. 교배 후 결실이 된 조합은 채종 즉시 파종 하였으며, 파종 1개월 후 발아된 807개의 유묘는 본엽
        87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홍은 "단홍적축면"과 "뚝섬적축면"을 교배하여 육성한 추대가 늦고, 엽색이 매우진한 적축면 잎상추 품종이다. 기존 같은 type의 품종보다 추대가 늦은 중만생 품종이며, 적색발현이 좋아, 안토시안닌 함량이 28.9 mg/100 g으로 "뚝섬적축면"보다 10배이상 많았으며 수확 후 4℃ 수식 이미지에서 3주간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재배적기는 연중재배가 가능하나 시험재배 결과 평난지에서는 봄, 가을에 고랭지에서는 여름재배가 가능하
        87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풍적축면은 "안동적축면"과 "뚝섬적축면"을 교배하여 육성한 적축면 잎상추 품종이다. 기존의 같은 type의 품종보다 추대가 늦은 중만생 품종이며, 적색발현이 좋아, 안토시안닌 함량이 29.4 mg/100 g으로 "뚝섬적축면"보다 10배이상 많았으며 수확후 4℃ 수식 이미지에서 3주간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재배 적기는 연중재배가 가능하나 시험재배결과 평난지에서는 봄, 가을에 고랭지에서는 봄, 여름, 가을에 노지 및 비가림하우스
        87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골든아이"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분홍색 홑꽃인 "로사"를 모본, 백색 홑꽃인 "안개소국"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4에서 2008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봄 촉성재배와 가을 억제재배 조건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골든아이"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23일경으로 개화가 빠른 편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이 95.2 cm이고 꽃 크기
        87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3년 화색과 잎의 광택이 우수하고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인 품종 "Saphia"를 모계로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이지만 잎이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한 품종인 "Bridal Beauty"를 인공교배 하여 얻은 실생계통 42주에 대하여 2004~2005년에 1차선발을 하여 1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6~2008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008'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Snow Day"
        87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 Witch"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녹색 폼폰형인 'SL04-161'을 모본, 분홍색 폼폰형인 'SL04-109'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4에서 2008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봄 촉성재배와 가을 억제재배 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Green Witch" 품종의 자연 개화기는 10월19일경으로 개화가 빠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88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적색 스탠다드 "Francesco" 품종을 모본으로, 보라색의 스탠다드 "Saturn"를 부본으로 1996년에 인공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시들음병 저항성이 강한 자주색 대형 절화용 스탠다드 카네이션을 개체 선발하였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생육특성 검정 및 품종평가회를 통한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검정하고 2000년에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에서 우량품종으로 선정되어 분홍색 스탠다드 "자수정" 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