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1

        18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production and breeding status of 1655 Hanwoo (Korean cattle) cows raised in Gangwon East area (Gangneung, Taebaek, Donghae, Yangyang, Samcheok, Sokcho, and Goseong). The average age in months and the parity of Hanwoo was 43.6 and 1.7 respectively. Registration status of the cows were 42.0% (pedigree), 30.2% advanced), 20.0% (fundamental), and 4.0% (non-registry). Korean proven bull's number (KPN) 517 and KPN 588 were preferred 25.8%, 16.2% respectively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I) of the cows. Appearance rate of over 1st meat quality grade in the offsprings obtained from AI of top 6 KPNs was 90% which was above national average (slaughters only 77.81%, total 63.12). Results indicated genetic influence the KPN for meat quality grade of their offspring. Strong correleation between AI failure rate of mother cows and their offspring cows has been observed. KPN information, meat quality grade, and AI failure percentage would be quite useful factors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in further improvement of Hanwoo in Gangwon East area.
        4,000원
        183.
        2011.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양의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경제적, 생태적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출현장에서의 신 속한 방제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제의 신속․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사고초기 오염의 정도와 오 염범위 확산추세 등에 대한 신속한 자료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현장검증 등 기초데 이터 등을 수집하여 필수적인 근거자료로 활용하여야 하나, 해상오염도라든지 구체적인 현장의 오염현황 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파악하기란 상당히 난해한 일이다. 본 연구는 방제조치에 앞서 정확한 기름오 염 확산 범위, 농도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제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해양오염사고 현장의 기름농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국내외 현황 및 구체적인 분석기술 조사를 통하여 실시간 수중 기름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장비, 프로그램 등)의 도입과 이동편의성, Data logger, 국내 해역 위치정보, 운용프로그램 등 국내 해역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184.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양배출폐기물의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생태독성시험 관련 시료전처리방법 개선 및 폐기물 업종별 독성 판정기준 적합여부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해양성 발광박테리아 독성시험은 시료26점에 대하여 46%(12점)의 ‘독성 없음’ (상대발광저해율 30%이하 적용) 판정이 나왔으며, 저성성 단각류시험은 염수추출 전처리 시료7점 중 섬유오니 1점만 ‘독성 없 음’(상대평균생존율 30%이하 적용) 판정이 나왔다. 시험결과로 업종별 독성 크기를 살펴보면 발광박테리아시험 상대발광저해율 은 축산분뇨>식품제조>음식물폐수>섬유․염색>방지시설 순서로 독성이 나타나고, 저서성 단각류시험은 섬유오니 시료의 결과 가 독성이 낮게 나왔으나, 시험대상 시료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업종별 독성 크기 파악은 생략했다. 다만 동일 폐기물 시료7점에 대한 두 가지 독성시험 결과로 판단할 때 발광박테리아시험의 기준만족(독성 없음) 확률이 저서성 단각류시험에 비하여 높게 나 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86.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 기금제도가 도입되기 시작한 지난 1960년대 초 이래로 재원의 규모는 증가일로로 전개되어 왔고, 그에 따라 기금의 예산유사적 기능에 대한 의존도 또한 커지고 있다. 기금 문제는 이제 국가재정전반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의 하나이자 재정법 더 나아가서는 재정헌법적 차원에서 고찰되어야 할 사안이라 할 수 있다. 현행 헌법상 재정관련 조항이 취하고 있는 접근방식은 제헌 이후 지속되어 온 것으로서 국가경제의 발전 및 재정규모의 비약적 확대 시대에 접어든 현재에도 여전히 그 운용의 원칙과 실태가 적정하며 유효한 것인지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가재정의 기금에 대한 의존에서 탈피하거나 기금제도를 폐지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향후 논의는 기금의 설치와 운용면에서의 적법절차의 준수 못지않게 헌법상 재정민주주의의 원칙이 기금에 투영되고 이를 통해 재정전반의 헌법합치적 운용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향후 재정법 및 정책의 중요한 과제로 설정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고에서는 기금이 예산 명목으로 편성 집행되지 않는 결과 예산과의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기금을 헌법이념 및 재정민주주의에 부합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다양한 현안들을 재고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재정법 나아가 재정헌법적 측면에서 현행 기금운용제도의 실체와 문제점을 분석하는 한편, 향후 제기될 수 있는 재정헌법 개편논의의 검토대상으로서 기금문제의 헌법적 수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재정헌법의 일반원칙에 비추어 본 현행 기금제도의 운용상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금을 규율하기 위한 현행 법 체계를 고찰하는 한편, 기금 문제를 헌법사항으로 접근하는 방식의 타당성 및 그 적정기준을 제시하였다.
        187.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load and different types of hybrid FRPs (Fiber reinforced polymers) to the structural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retrofitted with hybrid FRPs under sustaining loads. For the experimental study, FRP retrofitted RC beams are fabricated and subjected to four point loa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eload and the orders of attached FRP layers have influence on FRP strengthening effect. Also, for the preliminary FEA study, FE models are generated to simulate the experiments. The analyt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show good agreements.
        18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89.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lysaccharides from fruit body of Auricularia auricula and Tremella fuciformis were extracted using hot water, and partially purified through ethanol precipitation and dialysi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crude and purified polysaccharid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each othe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partially purified polysacchari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rude polysaccharides. DPPH free radical, ABTS radical and SOD-like activities of partially purified polysaccharide at 1 mg/mL of concentration from A. auricula were 61.7, 9.6 and 38.9%,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 fuciformis were 9.6, 5.7 and 15.3%, respectively. Results of site and nonsite specific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dicated that the partially purified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 auricula and T. fuciformis exhibited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 by hydrogen donating ability and iron ion chelating ability. Also, reducing powers of A. auricula and T. fuciformis were 77.1 and 14.7% of BHT (0.1%) as standard, respectively. It was suggeste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A. auricula were about 1.4~6.4 times higher than those of T. fuciformis due to different levels of polyphenol content.
        4,000원
        19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Nuroong-ji.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were examined for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 coliforms and fung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Contamination levels were det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handling materials and purposing work-space. The equipments and raw materials were not seriously contaminated but there were necessary to attend the cross-contamination. A high contamination level was detected at the process where the interference of the employe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process. Standardization of the roasting process (120~170℃, about 10 min) could be necessary to control the microbial organism effectively on Nuroong-ji manufacturing process. At small/medium size foodstuff manufacturer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improve the recognition level of individual hygiene but also expand a hygiene facility.
        4,000원
        19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수행 중인 우리나라 자생 산림생물에 대한 분포조사 를 통해 특정종별 보전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봉은 해발 1,182m로 강원도 양양군 서면과 현북면에 위치하며 미천골자연휴양 림과 인접하여 있다. 식생은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이며, 지형적으로 계곡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곤충분포상 등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 역 중 하나이다. 금번조사는 2009년 4월부터 9월까지 5회에 걸쳐 주간채집 및 야간조사를 병행 하여 실시하였으며, 산림지역에 우점분류군 중 하나인 나비목 곤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30과 258종 715개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6월에 117종 249개체가 7월에 122종 254개체 등으로 조사되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분류군별로는 밤나방상과(Noctuoidea)가 3 과 57종으로 가장 많은 종들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명나방상과(Pyraloidea) 가 3과 53종으로 나타나 종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조사 된 분포상 정보는 산림생물종의 보존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와 향후 기후변화 등에 의한 밀도변동 추이의 경향 파악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93.
        201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lenization process has been a promising method for low-cost and large-scale production of high quality CIGS film. However, there is the problem that most Ga in the CIGS film segregates near the Mo back contact. So the solar cell behaves like a CuInSe2 and lacks the increased open-circuit volt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a distribution in CIGS films by using the Ga2Se3 layer. The Ga2Se3 layer was applied on the Cu-In-Ga metal layer to increase Ga content at the surface of CIGS films and to restrict Ga diffusion to the CIGS/Mo interface with Ga and Se bonding. The layer made by thermal evaporation was showed to an amorphous Ga2Se3 layer in the result of AES depth profile, XPS and XRD measurement. As the thickness of Ga2Se3 layer increased, a small-grained CIGS film was developed and phase seperation was showed using SEM and XRD respectively. Ga distributions in CIGS film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AES depth profile. As a result, the [Ga]/[In+Ga] ratio was 0.2 at the surface and 0.5 near the CIGS/Mo interface when the Ga2Se3 thickness was 220 nm, suggesting that the Ga2Se3 layer on the top of metal layer is one of the possible methods for Ga redistribution and open circuit voltage increase.
        4,000원
        19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executed by using 11 microsatellite markers (BM1824, BM2113, ETH10, ETH225, ETH3, INRA23, SPS115, TGLA122, TGLA227, TGLA53, and TGLA126) for diversity of 214 Hanwoo cows in Hoengseong area. Each marker's size and number of allele, observed heterozygosity, expected total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were analyzed by 11 Microsatellite marker. The average of size range was detected from 150.9 to 174.9 in Hanwoo cows of Hoengseong. The number of average allele was 10.0 that is similar to the average of Kangwon Hanwoo, which is known as 10.5 in the previous report. The average were 0.751 for observed heterozygosity, 0.760 for expected total heterozygosity, 0.725 for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in Kangwon Hanwoo, National Hanwoo and Korean Proven Bul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genetic improvement of Hanwoo cows in Hoengseong as a popular brand.
        4,000원
        195.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 인구의 증가와 고도의 산업화에 따른 환경 질환 및 생활 습관성 질병의 증가, 산업 재해 및 교통 재해의 꾸준한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의료산업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인공 스텐트, 촬영장비, 인공 관절 등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국내 많은 업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수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에 내재된 위험요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그러한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많은 프로젝트 들이 중지되거나 실패로 끝나는 사례들이 실제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기기 개발 프 로젝트의 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프로젝트 이해 당사자들이 직면하여 있는 주요 위험 요인들을 정의하여 인식하고, 일정한 허용 한계 내에서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기 개발 프로젝트의 성패의 열쇠를 쥐고 있는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로서 PMBOK의 위험 관리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존 문헌을 통하여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에 대하여 파악하고 의료기기 개발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그 우선순위를 파 악하여 프로젝트 전 단계에 걸쳐 파악된 위험요소를 실제 개발에 적용하여 위험으로 인한 프로젝트의 실패 확률을 줄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4,000원
        19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ber fraction (Aloe cellulose), the by-product obtained from Aloe vera gel processing was freeze dried and investigated for in vitro glucose/ bile acid retarding effects of powdered sample (100 mesh) comparing with commercial α-cellulose as a reference sample. We also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such as the antiobesity and anti-constipation on Sprague-Dawley (SD) rat. The Aloe cellulose powders during in vitro dialysis experiment for 2 hours exhibited the glucose and bile acid retarding index of 20.32-35.2% and 53.13-28.30%, respectively. Especially, freeze dried aloe cellulose showed the 2.5 and 1.2-6 times higher effect on in 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ation than those of α-cellulose. These relatively good retarding effects on glucose and bile acid diffusion suggest a potential of preventing from diabetes and arteriosclerosis of some extent. Also, the results from animal experiments on SD rats fed a high-fat diet for 4 weeks suggested that Aloe cellulose might be used as a novel dietary fiber showing an effective anti-obesity and anti-constipation effect.
        4,000원
        19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brous material fraction as a by-product from the commercial aloe vera gel processing was obtained and freeze dri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oximate composition, crystalline/surface structures and several physical functionalities includ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swelling capacity (SW), oil holding capacity (OHC), emulsion/foam properties and viscosity properties of this powdered sample (100 mesh)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comparison with commercial α-cellulose as a reference sample.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powdered sample was very high as much as 87.5%, and the insoluble dietary and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ratios were 77.6 and 22.4%, respectively. The FT-IR spectrum of powdered sample showed a typical polysaccharide property and exhibited a x-ray diffraction pattern for cellulose III and IV like structure. SW (8.24±0.15 mL/g), WHC(6.40±0.19 g water/g solid) and OHC(10.32±0.29 g oil/g solid) of freeze dried aloe cellulose were about 3.3, 1.4 and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mmercial α-cellulose, respectively. Aloe cellulose (~2%, w/v) alone had no foam capacity while improved the foam stability of protein solution (1% albumin+0.5% CaCl2) by factor of 300%. Emulsion capacity of 2%(w/v) aloe cellulose was about 70% level of 0.5%(w/v) xanthan gum, but its emulsion stability was about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xanthan gum. Also, aloe cellulose containing CMC (carboxyl methyl cellulose) of 0.3%(w/v) showed a very good dispersity. Aloe cellulose dispersion of above 1%(w/v) exhibited higher pseudoplasticity and concentration dependence than those of α-cellulose dispersion, indicating the viscosity properties for new potential usage such as an excellent thickening agent.
        4,000원
        19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and their cor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middle Yellow Sea of Korea, shrimp beam trawl were carried out for the fisheries survey. Fisheries resources of 81 species, 57 families, and 6 taxa totally were collected by shrimp beam trawl in the middle coastal ecosystem of Yellow Sea of Korea. Species were included 6 species in Bivalvia, 6 in Cephalopoda, 22 in Crustacea, 2 in Echinodermata, 5 in Gastropoda, and 40 in Pisces. Diversity indices (Shannon index, H') showed seasonal variation with low value of 2.14 in winter, and high value of 2.67 in spring. Main dominant species were Oratosquilla oratoria, Octopus ocellatus, Acanthogobius lactipes, Cynoglossus joyneri, Rapana venosa venosa, Loligo beka, Chaeturichthys stigmatias, Raja kenojei, Microstomus achne and Paralichthys olivaceus, that were occupied over 58% of total individuals, and 55% of wet weight. Fisheries organism made four coordinative seasonal group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ing stronger seasonal variation than spatial variation. PC from PC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ross-correlationships with seawater temperature, NH4-N, TP and chlorophyll a (P 〈 0.05).
        4,500원
        199.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수행 중인 우리나라 자생 산림생물에 대한 분포조사를 통해 특정종별 보전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백석봉은 해발 1,170m로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에 가리왕산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강으로 흘러가는 오대천이 있다. 현재까지 인근 가리왕산 등 주요 산림지역은 생물상 조사가 이루어져 있으나 백석봉의 경우 정확한 곤충분포상 등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식생으로는 대부분이 신갈나무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능선부에는 소나무림이, 서남향 사면부에는 신갈나무-소나무 혼효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등산로 외에는 접근할 수가 없을 만큼 지형이 매우 험준하다. 해발 600m 이하에 소규모 조림지와 경작지가 분포하고 있다. 금번조사는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4회에 걸쳐 주간채짐 및 야간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산림지역에 우점분류군 중 하나인 나비목 곤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30과 267종 1,066개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5월에 122종 496개체가 6월에 157종 468개체 등으로 조사되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분류군별로는 자나방상과(Geometroidea)가 2과 95종으로 가장 많은 종들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밤나방상과(Noctuoidea) 가 3과 91종으로 나타나 종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조사된 분포상 정보는 산림생물종의 보존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와 향후 기후변화 등에 의한 밀도변동 추이의 경향 파악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하늘소과(Cerambycidae)는 산림내 대표적인 천공성 해충인 동시에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가 포함되어 있는 중요한 산림곤충류 중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약 25,000여종이, 국내에는 306종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중요 산림곤충 중 하나인 하늘소과(Cerambycidae)의 분류학적 체계를 수립하여 관련 응용 및 활용분야에 제공할 기초자료를 확보키 위한 국립수목원의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금번연구에서는 향후 하늘소과의 분류연구과제를 체계적으로 수행키 위해 우리나라에서의 현재까지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연구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산림청의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의 DB정보도 함께 활용하여 종합적인 하늘소류의 연구현황을 파악하도록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하늘소과(Cerambycidae)에 대한 연구는 Kolbe(1886)이 16종을 보고한 것이 최초이며 이후 다양한 종들이 보고되었고, Cho(1962)가 한국산 241종의 목록을 제시한 것이 최초의 종합기록이라 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에는 Cho를 비롯하여 Lee, An 등의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정리된 하늘소류는 296종에 이른다 (한국곤충명집, 1994). 금번조사를 통해 Lee(1982)의 1종 등 총 3종이 한국곤충명집(1994)에 누락되었음이 확인되었고, 1994년도 이후에는 Danilevsky(1996)에 의해 3신종을 비롯한 총 10종이 추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수치는 향후, 보다 집중적인 문헌 및 표본조사를 통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동호인들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국가적인 차원의 종합적인 분류연구나 표본의 수집․보존 등은 앞으로의 시급한 과제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