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4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and range of motion for measurement of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to compare anterior glide distance of humeral head in three methods. Fifty healthy subjects and fifty patients with shoulder musculoskeletal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by visual estimation, manual stabilization, and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s. In two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two examine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3,1))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hree methods was excellent (ICC=.77~.93) in both group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was poor (ICC=.20, .29), the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was poor and fair (ICC=.09, .50), and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excellent (ICC .86, .75)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of examined range of motion by each examiner was significant in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and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but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pressure biofeedback unit was better than the other methods. The difference in distance of the anterior glide of humeral head was insignificant among all the method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the most reliable method, so it is proposed to be a new and reliable method to measure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4,000원
        4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asurements were made on morphology of each developmental stages of the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reared in the laboratory and field from 2003 to 2006. The size of egg was 0.8±0.03 ㎜. The escaping larvae were measured, in average, as 98 ㎎ in body weight, 10.65 and 3.99 ㎜ in body length and width, and 1.70 ㎜ in head width. Pupal size of female and male was 7.01 and 6.53 ㎜, respectively. The fresh weight (0.343 g), body length (7.76 ㎜) and width (3.38 ㎜), and head width (1.60 ㎜) of female adults were significantly bigger than those (0.268 g, 7.14 ㎜, 3.01 ㎜ and 1.37 ㎜, respectively) of male adults. Proboscis length (6.53 ㎜) and antennal length (5.47 ㎜) of female was also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3.56 and 4.63 ㎜, respectively) of male. The larvae of C. sikkimensis overwintered for 1~3 years and their body weight, body length, and body width were decreased. The ratio between proboscis length and body length, the basipodite position attached to the proboscis, and shape of the sex organ on the abdominal end could be used to discriminate sexes.
        4,000원
        4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적합한 지불규정을 도입하기 위해 아스팔트 포장의 품질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불규정은 통계이론을 바탕으로 포장의 품질을 결정하여 시공비용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지불규정을 적용하는 미국 대다수의 주에서는 고유의 품질테이블을 이용해 PWL(Percent With in Limit)을 산정한다. 따라서 미국 South Carolina에서 적용중인 품질측정테이블을 사용한 PWL과 통계분석방법에 기초한 확률이론의 비교분석을 통해 PWL의 국내 적용여부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시험포장구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이론을 이용해 산출한 확률값과 PWL을 미국AASHTO에서 제시한 지불계수(Pay Factor)에 대입한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확률값 도출을 위한 Z-Value산출과정에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해 계산한 확률값 역시 PWL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또한 현행 아스팔트 포장의 시방규정을 만족하지만 표준편차가 큰 가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불계수를 산정한 결과 데이터의 평균값은 현행 시방규정에 만족하지만 지불계수는 100%이하로 산정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WL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균질하고 성능이 우수한 품질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국내실정에 접합한 품질측정테이블을 개발하여 PWL을 국내 지불규정의 품질측정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측정한 Gradient AC/A비를 비교 분석하여 3가지 사위측정법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2006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3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며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명(26.61±2.56세)(남자 32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자동굴절검사(KR-7100P, Topcon Co.)와 표준 자각식 굴절검사로 원거리 굴절 이상도를 측정하였고, 포롭터(Shin-Nippon BR-7), 시력표투영기(Topcon ACP-7), 시험테(FM580), 렌즈 홀더(Gulden Ophthalmics co.), 프리즘바(Gulden co.), 낱개 프리즘, MIM Card(Bernell co.) 등을 이용하여 본그래페법, 마독스봉 및 수정 토링톤법에 의한 사위도 및 Gradient AC/A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우안 -2.79±2.56D, 좌안 -2.69±2.65D였고, 난시도는 우안 -0.80±0.49D, 좌안 -0.93±0.71D였다. 대상자 전체의 사위도는 원거리가 -0.31±1.24△, 근거리가 -1.67±4.51△이었다. 포롭터를 이용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2.14△, MR(distance) -0.35±1.85△, MT(distance) -0.40±1.81△, VG(near) -2.63±4.64△, MR(near) -1.69±4.80△, MT(near) -1.78±4.52△이었다. 시험테로 측정된 사위도는 VG(distance) -0.69±1.96△, MR(distance) -0.32±1.77△, MT(distance) -0.40±1.82△, VG(near) -2.31±4.18△, MR(near) -1.60±4.51△, MT(near) -1.68±4.20△이었다. 제한된 공간에서 ±1D를 이용하여 측정한 Gradient AC/A비는 VG 3.32±0.81△, MR 3.07±0.61△, MT 2.74±0.29△이었고 자유공간에서 측정한 Gradient AC/A비는, VG 3.27±0.73△, MR 3.11±0.64△, MT 2.57±0.26△이었다. 각 측정법의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95% 일치구간은 포롭터를 이용한 VG 측정법이 3.04로 가장 넓었고 시험테를 이용한 MT 측정법이 1.42로 가장 좁아 신뢰도가 높았다. 결론: 이상으로부터 제한된 공간과 자유 공간에서 측정된 사위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Gradient AC/A비를 기준했을 때 VG 측정법과 MR 측정법보다는 MT 측정법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안시기능 관련 검사에서 포롭터를 이용한 다소 제한적인 공간에서 측정한 값과 시험테를 이용한 보다 자유로운 시야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 (26.11±2.56세) 남자 32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동굴절검사 (KR-7100P, Topcon Co.)와 자각식 굴절검사로 원거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고, Phoropter(Shin-Nippon BR-7), Chart project(TopconACP-7), Trial Frame(FM 580), Lens Holder Kit(Gulden Ophthalmics co.), Loose Prism, MIM Card(Bernell co.)를 이용하여 양안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롭터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2.14△, VG(near) -2.63±4.64△, MR(distance) -0.35±1.85△, MR(near) -1.69±4.80△, MT(distance) -0.40±1.81△, MT(near) -1.78±4.52△였다. 시험테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36±1.70△, VG(near) -1.43±4.00△, MR(distance) -0.08±1.54△, MR(near) -1.07±4.15△, 였다. 원거리 수평 융합버전스 측정 에서는 Smooth Vergence NFV(break/recovery) 10.15△/6.37△, PFV 18.58△/9.43△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9.01△/12.18△, PFV 20.13△/11.65△이었다. Step Vergence는 원거리에서 NFV 8.46△/4.73△, PFV 14.40△/7.89△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5.78△/9.97△, 17.90△/11.03△이었다.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각각 실시된 3가지 사위측정법에 대하여 1차 측정과 2차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MT측정법> MR측정법> VG측정법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고 특히 포롭터에 의한 VG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낮았으며 시험테에 의한 MT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은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Smooth vergence가 높았고 회복점도 원거리에서는 Smooth vergence가 높았으나 근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성융합버전스는 분리점과 회복점 모두 Smooth vergence가 Step vergence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자유공간과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실시하는 양안시 관련 검사가 사위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MT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융합버전스를 평가할 때는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위자의 자각증상 완화를 위한 프리즘 처방량을 산출할 때 융합버전스 예비량 측정법에 따라 처방량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
        4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soy products such as chungkukjang, meju and doenjang with soybeans. Total phenolic,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soy and fermented products were compar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alpha-diphenyl-2-picryl-hydrozyl (DPPH) radicals scavenging effects, ferric /reducing power (FRAP), inhibition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and tyrosinase activitie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increased in soybeans after fermentation. Fermented soy products also displayed enhance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non-fermented soybeans. There wer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of the samples. Overall, the fermented soy products showed a bet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soybeans. Among the 3 kinds of fermented soy products, chungkukjang, meju and deonjang, doenjang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PPH-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power, inhibition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and tyrosinase activities. The fermented soy products with longer fermentation time demonstrat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in the order of doenjang > meju > chunghlkjang> soybeans.
        4,000원
        5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obtained with the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to those of the Saladin fixation disparity card, a new device. We measured the fixation disparity parameters for 36 subjects who were in their twenties(average 22.39±1.98 years old) who had a monocula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18/20 or better, had no strabismus as determined by cover test, had no vertical phoria by the Maddox rod method, and had no ocular history. The x-intercepts were shifted in the base-in direction with the Wesson card than Saladin card( -3.58±3.2, p = 0.000), the y-intercepts were shifted in the exo direction with the Wesson card than the Saladin card( -5.44±6.0, p = 0.000), the slope of fdc with the Wesson card was steeper than the slope obtained with the Saladin card( -1.02±1.36, p = 0.001).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17 exophores but not for 7 esophores. Type I fixation disparity curves were most common and type III were the next with the Wesson card. The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measured with these two instruments are different. So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obtained from one of these instruments cannot be used with normative findings from the other.
        4,000원
        51.
        200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research on measuring customers' service satisfaction is far insufficient. Therefore, way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fy accurately need to be established due to the ambiguous types of service busines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into service factory, service shop, mass service, professional service by using Schmenner's Service Process Matrix and conducts research on domestic literature that measured service satisfaction with Servqual and ServPerf.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guidelines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business by researching ways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and analysing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s based on a table that summarizes previous research on Servqual and Servperf.
        5,100원
        5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가지 원거리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순방향 및 역방향 측정법으로, Modified Thorington 및 Howell card 측정법은 연속 출현법 및 순간 출현법으로 Test와 R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사위 측정법에 의한 Test와 Retest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Von Graefe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반복 능력이 낮고, Howell 측정법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n Graefe법과 Maddox Rod법 모두 순방향 측정값과 역방향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odified Thorington법과 Howell법 모두 순간 출현법보다 연속 출현법에서 외사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00 및 p=0.009). 각각의 사위 측정법에서 두 가지 다른 조건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편차 범위를 분석한 결과 프리즘을 사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Von Graefe법(0.87△)이 Maddox Rod법(0.54△)보다 약간 크게 검출되었고(p=0.004) 눈금을 이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Modified Thorington법(0.86△)보다 Howell법(0.92△)의 편차범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485). 5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Von Graefe법이 Maddox Rod법보다 외사위가 0.40△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p=0.191), 3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Modified Thorington법이 Howell법보다 외사위가 0.41△ 더 높게 측정되었다(p=0.003). 이상으로부터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거나, 임상에서 검출한 사위량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생각된다.
        4,200원
        5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QA/QC (quality control/quality assurance) data of reduced sulfur compounds from several institut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method for off-odor. From the results, attempts were made to optimize the analytical conditions and improve the measurement reliability of reduced sulfur compounds analyses from detailed CF/TD and GC/PFPD information. Analysis results (minimum detection limit, precision, recovery rate) of reduced sulfur compounds based on the each analytical condition corresponded with the Korean standard methods for off-odor. Therefore, we expect that we could execute the exact analysis if we use the analytical condition of CF/TD and GC/PFPD in this study
        4,000원
        5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research on measuring customers' service satisfaction is far insufficient. Therefore, way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accurately need to be established due to the ambiguous types of service busines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into service factory, service shop, mass service, professional service by using Schmenner's Service Process Matrix and conducts research on domestic literature that measured service satisfaction with Servqual and ServPerf.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guidelines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business by researching ways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and analysing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s based on a table that summarizes previous research on Servqual and Servperf.
        6,100원
        5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근시 군을 NPA방법 (Near Point of Accommodation) 과 Minus lens 기법을 사용하여 조절력 측정의 신뢰성에 대하여 연 구하였다. 안경과 콘택트렌즈 착용군 사이의 상관관계는 NPA의 경우 44%(R = 0.44, P 二O.어452) 로 나타났고, Minus lens 기 법 의 경 우 85%(R = 0.85, P < 0.0001) 로 나타났다. 또한 굴 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상관관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시안에서 안경과 비교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이 프리즘 영향을 받지 않아 폭주 부담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Minus lens 검사법이 안경 과 콘택트렌즈 착용자간의 조절력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정확한 검사법이라 사 료된다.
        4,000원
        6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ORB-ScanII (Version 3 .1 2) 와 DGH500 Ultrasonic pachymetry를 이용하 여 시력교정수술 전 각막중심두께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수술의 안정성과 정확성 을 높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본원에 시력교정수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 66 명 130안을 대상 으로 각막두께를 측정하였다. ORB-ScanII 은 어두운 조명에서 3 회를 측정하였고 DGH500 Ultrasonic pachymetry는 20 회 이상 측정하여 중심부의 가장 앓은 각막의 두께를 사용하였다. 두 측정장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고 일치성은 상관분석 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 과 : 평균 각막중심두께는 ORB-Scan II z로 측정한 경우는 529 .45 :t 33.34μm 이 였고, DGH500 Ultrasonic pachymetry로 측정한 경우는 525.22 :t 3 1.21μm 이였으며, ORB-ScanII 이 DGH500 Ultrasonic pachymetry보다 평균 4.23 :t 7.91 따l 더 높게 측정 되었다. ORB-ScanII 와 DGH500 Ultrasonic pachymetry 의 상관계수는 0.972로 1 에 가까웠 으며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회귀식을 구하였다. 결 론 : 두 기기로 측정한 값에서 가장 앓은 각막두께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수술 의 안정성을 높였으며 수술 후에 발생할 수도 있는 각막 변형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였다. 하지만, 측정 방식에 따른 측정 장치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발전이 펼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