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4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brio spp. and Streptococcus spp. have caused a considerable disease of farmed fish and economic loss in fish farming and seafood industry.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composed to calcium hypochlorite was evaluated against V. anguillarum and S. iniae. A bactericidal efficacy test by broth 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lowest effective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following exposure to test bacteria for 30 min at 4oC.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and test bacteria wer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DW), hard water (HW) or organic matter suspension (OM)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 V. anguillarum on the DW, HW and OM condition was completely inactivated with 16,000 15,000 and 13,000 fold dilutions of the disinfectant, respectively. On the DW, HW and OM condition, S. iniae was absolutely inactivated with 17,000 16,000 and 14,000 fold dilutions of the disinfectant, respectively. As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possesses bactericidal efficac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such as V. anguillarum and S. iniae this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spread of fish infective bacterial diseases.
        4,000원
        4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brio parahaemolyticus (V. parahaemolyticus)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food-borne pathogen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raw fishes. A total of 64 samples of raw fishes purchased from a traditional seafood market in Seoul, Korea.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V. parahaemolyticus using intestines, gills, and fins. Twenty five grams of all samples were enriched in 225ml of alkaline peptone water at 37℃ for 24h and then streaked onto thiosulfate citrate bile sucrose agar. Suspected colonies were inoculated into triple sugar iron agar for biochemical screening test and were finally confirmed with API 20NE strip. Antimicrobial resistance tests were performed with disc diffus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Thirty three V. parahaemolyticus strains were isolated from raw fishes among 33 out of 64 (51.6%). Among 33 isolates, 16 isolates (48.5%)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7 isolates (21.2%) were resistant to amikacin, and all isolates were not resist to other antibiotics such as amoxicillin & clavulanic acid, sulfamethoxazole & trimethopenem, ciprofloxacin, cefotaxime and cefepime. Although the prevalence of V. parahaemolyticus was high in raw fishes compared to other studie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 of the isolates was relatively low.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risk assessment of V. parahaemolyticus in raw fishes.
        4,000원
        47.
        200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에서 2004년까지 5년 동안 방송 3사와 신문 3사에서 비브리오에 관한 보도기사를 내용분석 하여 언론의 비브리오 관련 보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기존 비브리오에 관련된 연구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균의 특성이나 방지 시스템 또는 예방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비브리오에 관한 언론의 보도를 좀 더 객관적ㆍ체계적으로 조명하고 이러한 보도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브리오 관련보도기사는 방송이 신문보다 많았고, 여름철 5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보도되었다. 기사유형은 뉴스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지면은 사회면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기사는 40줄 이하로 짧았고, 전체기사 중에 23.6%는 유사보도였다. 유사보도를 긍정적인 면에서 해석을 한다면 비브리오에 국한된 보도 보다는 다양한 장르에서 폭넓은 정보를 전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기사제목에 비브리오라는 단어가 대부분 포함 되어 있고 주의보 발령, 감염자 입원치료, 감염자 사망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반면에 퇴치노력이나 예방조치 사항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다. 따라서 비브리오는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이 되어 외식업에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내용의 강도에서는 저강도와 고강도가 비슷했고, 방향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다. 정보원은 지자체 보건당국, 국립보건원과 감염자의 진료병원 등의 비중이 컸다. 보도의 중심은 상대적으로 생산과 유통 및 외식관련업계의 입장을 고려하는 보도기사가 미흡했다. 기사의 표현방식은 사실적이고, 자극적인 기사가 많았고, 전문적이고, 분석적이며, 심층적인 기사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기사의 성격은 사실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에 기획이나 분석기사는 적었다. 감염자의 연령은 40대에서 60세 사이의 중장년층이 가장 많았고, 감염자의 성별은 남녀가 비슷했다. 그러나 성별을 구별할 수 없는 기사의 비중이 많았다. 매체별 기사의 특성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체별 기사강도는 전반적으로 방송보도가 신문기사 보다 고강도로 나타났으며, 기사의 방향에 있어서도 방송이 신문보다 부정적인 면이 높게 분석되었다. 매체별 기사의 중심은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방송보다 신문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방송이 신문보다 훨씬 높았다. 방송과 신문 모두 지자체 보건당국과 국립보건원, 감염자를 진료한 병원에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의 표현방식은 방송이 신문보다 더 자극적이고 혐오적인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의 성격에서는 신문과 방송 모두 사실기사가 91.5%로서 대부분을 차지했다. 유사보도에 있어서는 방송이 23.0%이고, 신문은 77.0%로서 신문이 훨씬 많았다. 유사보도를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보다 폭넓은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면이 있고, 방송보다는 신문이 더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5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내 주요 해안지역인 화북, 삼양, 대포, 중문, 표선, 안덕, 애월, 곽지에서 생산되는 해수, 갯벌, 해산물 등에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V. parahaemolyticus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가검물은 총 2,880건으로 각각 해수 960건, 갯벌 960건, 해산물 960건이었으며, 분리된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생화학적, 혈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가검물 2,880건에 대한 분리 동정에서 417건(14.5%)이
        4,000원
        5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플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 까지 긴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노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 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5.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Vibrio fluvialis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분석하였다. ISR을 PCR 증폭 후 plasmid vector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ISR의 염기서열은 tRNA gene 조성과 크기에 따라 총 6개의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type은 tRNA gene 조성과 수에 따라 ISR-A, ISR-E, ISR-El, ISR-lA, ISR-EKV,
        4,000원
        5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5%(93/742)의 검출율을 보였고, 월별로는 2월 7.14%(2/28), 5월 5.7%(3/53), 6월 5.1%(4/79), 7월 24.0%(18/75), 8월 48.0%(24/50), 9월 26.7%(23/86), 10월 11.1%(10/90), 11월 8.3%(6/72), 12월 5.7%(3/53) 등, 7-9월 검출율이 높아 하절기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검체별로는 어류 8.3%(16/192), 패류 15.3%(37/242), 갑각류 8.5%(18/212) 그리고 연체류 22.9%(22/96)로 나타나, 연체류가 분리율이 비교적 높았다. 또한, 지역별로는 경기 23.2%(16/69), 경남 6.6%(9/136), 경북 33.3%(1/3), 전남 13.6%(31/228), 전북 14.7%(10/68), 충남 15.6%(5/32), 제주 11.8%(2/17) 그리고 수입수산물 8.8%(11/125)의 검출율을 보였다. 93주 가운데 66주에서 K-type 혈청형을 살펴본 결과, K24, K28이 갑오징어와 징거미에서 하나씩, K47, K53는 홍합에서, K34는 바지락살과 한치알에서, K42는 갑오징어, 꽁치, 대합 그리고 오징어에서 각각 확인되어 15.2%(10/66)의 동정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5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munoglobulin G was purified by 40% (NH4)2SO4 precipitation, DEAE-Sephadex,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rabbit antiserum against V. vulnificus ATCC 27562 O antigen and used for immunological test for V. vulnificus isolates. The profi
        4,200원
        5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nty-four Vibrio strains were isolated from imported frozen seafoods and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hey included two V. cholerae non-0l sp., two V. diazotrophicus sp., one V. hollisae sp., five V. natriegens sp., eight V. fluvialis sp., and four V. nereis sp. Two of them were not identified as Vibrio species. When these strains were tested using API-20E ket for identification, however, only the results for two V. cholerae and five of the V. fluvialis strains matched the results obtained previously. Due to the importance of detecting V. cholerae from foods, phylogenetic identification of the strains was attempted based 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the 16S rDNAs amplified by PC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wo strains had identical RFLP patterns whi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at of V. proteolyticus than V. cholera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dentification of pathogens originated from seafoods demand development of accurate and rapid identification methods.
        4,000원
        5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ne strains of pathogenic Vibrio sp.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origin were examined for the degradation of gelatin, casein and hemolysin which is important to the virulence of this bacterium. Culture filtrates of all nine strains of Vibrio exhibited proteolytic activities. Especially, four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and one V. alginolyticus showed strong gelatin-degrading activity. In terms of hemolytic activity, three V. parahaemolyticus and V. mimicus showed strong β-hemolysis whereas those of strains of V. alginolyticus, V. fluuialis, V. uulnificus examined lacked this activity.
        3,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