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8

        10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quantitative PCR(qPCR) assay that would enable the rapid identification and simultaneous detection of six different endodontic pathogenic bacteria in a single reaction. In this study, six pairs of primers for Treponema denticola, Porphyromonas gingivalis, Fusobacterium nucleatum, Prevotella intermedia, Streptococcus mutan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two pairs of housekeeping genes were designed for a multiplex qPCR based on the SYBR Green method. The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reference strains and submitted to the qPCR reaction. The specificity of the amplified products was analyzed by melting curves. As a result, six distinct melting peaks were identified by the melting curve analysis and all of the target species were simultaneously discriminated. Therefore, the multiplex qPCR assay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rapid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of T. denticola, P. gingivalis, F. nucleatum, P. intermedia, S. mutans, and S. aureus at the same time. In combination with the melting curve analysis, the level of the target species and total bacterial load can be obtained.
        4,200원
        10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수공통 감염증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검출을 위해서는 대부분은 ELISA 법이 사용 되고 있으나, 충체가 사멸 된 후에도 양성반응이 나타나는 등 사용에 제한이 있다. 반면 유전자 검출법은 현재 감염상태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중독 원인조사 등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톡소포자충의 유전정보를 통해 529 repeat region의 염기서열을 얻고, 프라이머 및 TaqMan 프로브를 설계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한 검 출법을 개발하였다. 검출한계(lower limit of detection) 및 적정곡선을 확인한 결과 10 genomic DNA copy가 검출한 계로 확인되었고, 정량을 위한 곡선은 101~106 DNA copies 까지 0.999의 R2값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검출법의 증폭효 율을 비교하기 위해 B1 gene 타겟 프라이머 세트와 타입 별 검출한계를 비교한 결과, type 1, 2, 3 톡소포자충에서 같거나 더 나은 검출한계를 보였다. 또한 식품에서 주로 분리되는 식중독 세균 14종 및 원충 3종에 대해 특이도를 비교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검출법을 식육검체에 적용하였을 때 type 1, 2, 3에서 모두 원활한 검출결과를 보여 증폭방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전자검출법은 국내 유통 중인 식육에서 인수 공통감염 원충의 하나인 톡소포 자충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사전적 모니터링의 방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4,000원
        10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용기·포장 채로 조리하는 경우 니트로사민의 함량이 증가하는 사례에서 용기·포장에서의 니트로사민이 용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조리를 할 수 있는 용 기·포장 31종에 대해 각 식품 유형별로 침출용매를 선택 하여 단면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 시험을 진행한 결과, 용기·포장에서는 NDMA, NDEA, NDBA가 모두 정량 한계 미만으로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용기·포장물질에서 침출용매로의 용출은 미미하였고 침출용매가 아닌 특정 식품에 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마토소 스를 제외한 레토르트 시료는 조리 전과 후의 유의적인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컵라면 시료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조리 전 NDMA가 불검출되었지만 조리 후 NDMA 함 량이 trace~0.93 μg/kg로 검출되었다. 컵라면의 NDMA 함 량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요소인 면,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물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면과 분말 스프를 조합하여 조리한 경우에만 NDMA가 생성되었으며 폴리스티렌 제품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조리할 때보다는 NDMA 함량이 적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컵라면 시료는 면과 분말스프 내의 니트로사민 전구체가 NDMA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더기스프도 NDMA 함량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각 구성요 소 내의 전구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리 중 가열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0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식물방역법은 1995년 WTO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SPS)' 체제 출범에 따라 그 해 12월 전면 개정되어 검역병해충 1,379종(금지 39종, 관리 1,340종)이 지정되었다. 그 후 여러 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 2,002종(금지 60종, 관리 1,942종)이 검역병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에 대한 정보를 농림축 산검역본부 내에서 운영하는 병해충정보시스템(Pest Information System)에 기록 및 관리하고 있다. 병해충정보시스템(PIS)의 병해충검출통계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물 3천 2백만 건에 대해 해충 검출동향을 파악․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충 검출 건수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3년 사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검출품목 중에서도 생화훼류의 해충 검출건수가 최근 급증하였다. 작년 한해동안 검출 빈도가 높았던 해충은 갈색머리대장(359회), 바나나가루깍지벌레(321회), 캘리포니아붉은깍지벌레(196회) 등으로 나타났고, 금지해충인 코드린나방, 관리병해충 8종이 신규검출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06.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destructive testing is a method of inspecting particular target objects without destructing them in industrial sites. Infrared thermal imaging is one of the nondestructive testing techniques. Among them,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is a technique to detect a defect by genera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of an object using periodic heat waves.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by using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SM45C metal specimens. As a result, the appropriate frequency was determined for defect detection in SM45C metal specimen by using the established thermal behavior mechanism by periodic heat wave.
        4,000원
        10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처리 방법이 새싹채소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 중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19종을 수집하여 종자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enterica의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시중 유통되고 있는 종자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 등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E. coli 검출율과 양성시료에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인위적으로 S.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한 검출율 비교 검정에서도 분석시료량 대비 전처리방법 별로 검출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배지 종류에 따라서도 S. enterica의 검출율이 차이가 났다. 결론적으로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분석에 있어서 종자의 전처리 방법, 시료당 분석시료량, 선택배지 종류 등이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 종류의 Cronobacter 선택배지(DFI agar, R&F agar) 의 분유 및 건조호박 내 Cronobacter의 선택 분리능을 realtime PCR법과 함께 비교하였다. 분유에서의 Cronobacter 검출률은 세 가지 방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 < 0.05), 건조호박의 경우 R&F배지와 real-time PCR법이 DFI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p < 0.05). 배지 간 선택성에 있어서도, R&F 선택배지는 건조호박에서 DFI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선택성을 나타냈다(p < 0.05). Real-time PCR 및 R&F배지의 사용은 분유뿐만 아니라, 건조 호박 등의 높은 경쟁세균총을 갖는 영유아식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식품군에서도 Cronobacter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선택배지와 건조필름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3종(양상추, 양배추, 어린잎채소)에서 병원성 E. coli를 분리하였고, 의심집락 동정을 위해 생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상추 20 g, 양배추 20 g, 어린잎채소 10 g에 병원성 E. coli 혼합 균액(Enterohemorrhagic E. coli NCCP11142,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4038, Enteroaggregative E. coli NCCP14039,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5661)을 최종농도가 1, 2, 3 log 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고, BPW (80~90 ml)을 넣은 후60초 동안 균질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시료에서 건조필름 시험 양성, 양상추 시료 일부(최종농도 3 log CFU/g 접종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증균배양법을 이용한 정성시험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났다. 증균배양과 건조필름 시험을 통해 분리한 병원성 E. coli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상추에서 분리한 병원성 E. coli의 경우, API 20E 100% (44/44), Microgen GNA 100% (44/44), Food System 66.7% (10/15)의 동정률이 나타났다. 양배추의 경우, API 20E 64.7% (22/34), Microgen GNA 50% (16/32), Food System 60% (9/15), 어린잎채소의 경우, API 20E 65.1% (28/43), Microgen GNA 62.3% (27/43), Food System 53.3% (8/15)가 병원성 E. c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선편이 엽채류에 대한 병원성 E. coli 검출법 선택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are potent sources for fungal contamination of indoor environment in cultivation hous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harmful fungi in the supplemental materials (beet pulp, cotton seed meal, kapok meal, peat moss, wheat straw) imported from China, Egypt, Germany, Indonesia and Pakistan. Fungal concentration in the supplemental materials ranged from 1.3×102 to 1.8×103 cfu/g. A total of 11 genera and 21 species were identified. Two genera and two species were found in Germany peat moss. In Pakistan wheat straw, three genera and four species were detected. In Egypt beet pulp and China cotton seed meal, four genera and five species and seven genera and ten species were shown, respectively. Among the identified fungi, Acremonium sp., Aspergillus chevalieri, Cryptococcus adeliensis, Eurotium amstelodami, Paecilomyces variotii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were known as human pathogens.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pathogenic yeast and filamentous fungi are present in imported agricultural byproduct materials for mushroom cultivation.
        4,000원
        11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ur fungal species, during indoor air monitoring for fungi that possibly affect the field testing of a newly bred shiitake cultivar in cultivation houses located in Cheongyang, Chungnam Province and Jangheung, Jeonnam Province. Of these species, two are known to be plant pathogens and the other two are saprobes but potent contaminators in the mushroom cultivation environment. This study repor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se four specie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18S rDNA region, including their known information.
        11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 교역량과 여행객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수입식물을 통한 외래병해충의 유입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년(1996~2015)간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물 46,937천건에 대하여 병해충 검출건수, 품목 등을 분석한 결과, 최근 6년(2000~2015) 동안 수입식물 158,842건에서 병해충이 검출되어 검역처분을 받았다. 특히, 재식용식물에서의 병 해충 검출율은 2011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2015년에 19.3%에 달했다. 2015년 한 해동안 병해충은 643종 10,164건 이 검출되어 검역건수 대비 4.5%에 달했으며, 이 중 최초로 검출된 해충은 40종이었다.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해충은 매미아목이며 전체 해충 검출건수의 23.5%로 레몬과 바나나 등 생과실류에서 검출률이 높았고, 그 다음은 딱정벌레 목이 22.5%로 나왕각재와 사료용 옥수수 등 목재류와 사료류에서 주로 검출되었다. 한편, 종 수준의 동정율은 달팽 이류나 주로 유충태로 검출되는 파리목 등에서 낮아 동정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류동 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룹별(과 단위) 프라이머 및 프로토콜의 구축 및 비파괴 Genomic DNA 확보 기술 개발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한다.
        11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년간(2014-2015) 인천공항으로 수입된 7종의 과일류와 채소류 금지식물을 대상으로 40개국 1,122건을 조사하여 245건에서 해충을 검출하였다. 망고는 32개국 383건을 조사하였으며, 72건에서 과실파리 금지해충을 포함 25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다. 호두는 10개국 214건을 조사하였으며, 32건에서 금지해충인 코드린나방을 포함하여 17종을 검출하였다. 망고스틴은 10개국 72건을 조사하였는데, 59건에서 29종의 해충을 검출하였으며, 81.9%의 높은 해충 검출율을 보였다. Citrus속 과일은 라임, 감귤, 오렌지, 자몽 등이 수입되었고 22개국 215건을 미평가된 과실파리 1종을 포함 조사하여 16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다. 멜론은 우즈베키스탄산을 10건 조사하여 4건에서 금지 과실파리를 검출하였다. 고추는 9개국 127건을 조사하여 35건에서 4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는데 대부분은 과실파리이며 종동정이 된 과실파리는 모두 금지해충이였다. 풋콩은 9개국 101건을 조사하여 8건에서 나비목 4종과 벌목 2종을 확인하였다. 검색어 :
        11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칠면조는 슈퍼 푸드 중 유일한 육류 식품으로 선정되어 칠면조의 육류 소비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에 따라 식품 중 사용된 동물성 원료인 칠면조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칠면조 를 정확하고 민감하게 검출하기 위해 TaqMan® probe를 활용한 real-time 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종 특이 primer와 probe는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b 유전자를 대상으로 개발하였고, 특이성은 총 19 종의 동물성 원료를 대상으 로 확인하였다. 개발된 검출법의 검출한계는 칠면조 DNA를 10 ng 으로 부터 10배씩 희석하여 확인한 결과 0.1 pg 이었고, 동물성 식품원료인 소와 닭에 칠면조를 50, 25, 5, 1, 0.1% 비율로 혼합하여 확인한 결과 0.1 %까지 검출되 었다.
        11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식품의 안전성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바이오센서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바이오센서와 같은 면역센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항체의 단점들 을 보완하는 압타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식중독 사고의 주요 원인물질인 황색포도상구균 독소를 검출하는 압타머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 독소 검출용 압타머는 SELEX 방법에 의해 개발하 였다. 또한, SELEX 방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산화 그래핀을 이용한 목표 ssDNA의 흡착 및 탈착 방법을 함께 사용 하였다.
        11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chitosan suspension for th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 indication of packaged food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2 indication corresponding to 2-amino-2-methylpropan- 1-ol (AMP) or 2-aminoethanol (monoethanolamine, MEA) addition. Chitosan suspension was prepared by adding chitosan (0.1, 0.2, and 0.4%) to distilled water and subsequently the pH of the suspension was adjusted to 7.0 after the addition of AMP or MEA. Changes in the pH and the turbidity of the chitosan suspension were measured over time under exposure in a normal atmosphere or 100% carbon dioxide environment. The pH of the chitosan suspension exposed at 100% carbon dioxide environment decreased rapidly up to approximately 6.3 in the initial CO2 exposure. The transmittance values of 0.1 and 0.2% chitosan suspensions with 5% AMP increased from 32 to 99% and from 19 to 86%,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5% AMP improved the visual indication performance of the chitosan suspension since it increased significantly the width of the transmittance value before and after CO2 exposure. The chitosan suspension with AMP has a potential to be used as a quality indicator of the packaged foods which produce carbon dioxide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4,000원
        12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isture removal using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on the odor concentration, when sampling a malodorous substance from an odor discharge facility’s emission sites. For high-temperature and humid gas streams, the odor concentration was decreased through the use of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The multiple odor concentration of the high-temperature and humid gas streams emitted from boiler-burning equipment decreased from a 3,000 to a 1,221 dilution factor when using one or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 This multiple odor concentration was further decreased to a 1,000 dilution factor by using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s and glass beads, and also was decreased to a 374 dilution factor by using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s and silicagel. Among the designated offensive odorous substances, ammonia, trimethylamine and acetaldehyde that have high solubility in water showed high reduction rate of thei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result using a sampling tube only, th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94.8% ~ 97.7% for ammonia, by 87.5% ~ 95.9% for trimethylamine and by 100% for acetaldehy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ampling using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affects the concentration of multiple odor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using a sampling tube only for emissions sampling enhances analytical accuracy and precision rather than using moisture condensation tube with sampling tube, even for the emissions containing mois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