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작약의 품종간 개화시기 차이와 저온에서 장기 저 장이 가능한 품종을 선발하여 절화 유통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 여 수행하였다. 작약 24품종을 대상으로 2022년 국립원예특작 과학원 시험포장에서 개화시기와 절화 품질을 조사하였다. 봉오 리 상태에서 수확한 작약을 건조 저장법으로 -1℃에서 60일 저장한 후 절화 수명과 절화품질을 조사하였다. ‘의성작약’은 홑 꽃이었고 나머지 품종은 겹꽃이었다. 개화시기는 5월 10일부터 18일 사이였으며, ‘Etched Salmon’, ‘Monsieur Jules Elie’, ‘Gilbert’, ‘Henry Bockstoce’는 개화일이 5월 10일로 가장 빨랐고, ‘Elsa Sass’는 5월 18일로 가장 늦었다. 식물체 키는 74.6∼107.8cm 였고, 절화 무게는 ‘Henry Bockstoce’ 품종 이 89.8g으로 가장 무거웠고, ‘Angel Cheeks’ 품종이 26.7g으 로 가장 가벼웠다. 꽃의 주된 색은 흰색, 빨강색, 분홍색, 자주색 이었다. -1℃에서 60일간 저장 후에 꽃과 잎의 상태가 아주 양 호한 품종은 ‘Kansas’, ‘Ole Faithful’, ‘Sonw Mountain’이 었다. 절화수명은 ‘Nick Shaylor’ 품종이 8일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Blush Queen’, ‘Elsa Sass’ 품종이 7일이었으며, ‘Gilbert’, ‘Highlight’ 품종이 1일로 가장 짧았다. 작약은 저온 장기 저장에서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는 꽃과 잎에 저온장해 증 상이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작약재배시에 품종 선택과 수확후 저온 장기 저장을 통하여 유통기간을 연장하고 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 mixture of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upplementation, th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TMR). The TMR was prepared into two groups, namely, CON (control TMR without the LAB) and ML (supplementing a mixture of E. faecium and L. plantarum in the ratio of 1% and 2% (v/w),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divided and stored at 4°C or 25°C for 3, 7, and 14 d fermentation periods. Supplementing LAB to the TMR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except for the lactate and acetate concentration. Storage temperatures affected (p<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MR, including pH, lactate, and acetate conten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was also affected (p<0.05) by the storage period. Dur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study, the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at 24 h incubation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TMR between the CON and ML treatment however, at 24 h,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IVDMD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IVDMD were not apparent at 24 h incubation. In an in vivo study using Holstein steers, supplementing LAB to the basal TMR for 60 d did not differ in the final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Likewise, the fecal microbiota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ML. However, the TMR used for the present study did include a commercial yeast in CON, whereas ML did not; therefore, results were, to some extent, compromised in examining the effect of LAB. In conclusion,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significantly affected the TMR quality, increasing acetate and lactate concentration. However, the actual effects of LAB supplementation were equivocal.
        4,0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ipening level (50% and 100%), storage temperature (1°C and 10°C), and storage period (0, 7, and 14 days) on the fruit quality of the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ultivars “Arihyang” and “Kuemsil”, which are commonly grown for export in South Korea. Strawberry plants of each cultivar were grown in a plastic greenhouse, and fruit samples were harvested in January 2019 to evaluate the fruit hardness, gray mold rot, anthocyanin content, suga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 found that “Arihyang” had a greater fruit hardness than “Kuemsil” across all storage periods excluding the day of harvest, and that fruit stored at 1°C had a greater hardness than fruit stored at room temperature (10 ± 2°C) for both cultivars. In incidence of gray mold rat, “Kuemsil” had a higher than “Arihyang”. The soluble solid content was highest at 7 days after harvest for both cultivars, with the exception of “Kuemsil” following storage at 1°C. The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r in “Arihyang” than in “Kuemsil” and was also greater in fruit that had be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faster ripening time. Finally, the DPPH activity of fully ripened fruit tended to decrease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while the ABTS activity was the same across all treatment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rihyang” are more advantageous for long-term distribution as well as export than “Kuemsil”, and recommend that the two new cultivars of strawberry be cool stored at 100% ripening state and eaten within 7 days.
        4,000원
        5.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인 자작나무(Betula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종자의 저장기간 및 온도처리에 따른 발아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수종 종자는 각각 1996년, 2003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채집된 자작나무 종자이며, 발아실험은 5℃, 10℃, 15℃, 20℃, 25℃, 30℃, 35℃의 온도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율(GR)의 조사 결과 2012 년 이전에 채집된 종자에서는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발아율은 2015년에 채집된 종자가 모든 온도에서 가장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도별 발아율의 경우 1 5℃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는 모든 종자에서 발아가 전혀 되지 않고, 30℃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 다. 그 외의 발아특성은 저장기간이 짧은 종자이고 발아율이 높은 온도일수록 발아기(T50)와 평균발아일 수(MGT)가 낮고 발아속도(GS)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발아균일도(GU)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35℃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장 기간 및 온도에 따른 방울토마토와 양상추 의 미생물 종류와 성장 패턴 및 품질특성을 구명하였다. 방울 토마토와 양상추를 각각 5℃, 10℃와 15℃ 저장조건에서 1주 일 간격으로 pH, 색도, 미생물 종류와 성장 패턴을 조사하였 다. 방울토마토와 양상추 모두 저장 초기에 비해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유기산 성분 용출이나 젖산균 증식 으로 인해 pH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방울토마토는 저장기간에 따라 색도 변화에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저장기 간 21일째에 전 온도에서 저장 초기에 비해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감소하였다. 양상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호흡에 의한 산화적 갈변으로 인해 명도가 감소하였고, 특히 15℃에서 저장한 경우에 적색도와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미생물의 종 류 및 성장 패턴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방울토마토와 양상추 는 10℃와 15℃에서 저장한 경우, 곰팡이를 제외하고 총 균 수, 대장균군수, 효모는 저장 초기에 비해 모두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지만, 전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서 대장균과 황색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방울토마토와 양상추는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라 품질과 미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므로 10℃와 15℃에 비해 5℃에서 7일 이하 로 저장하였을 때, 품질과 미생물 수 변화가 적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결과와 같은 적절한 저장기간 및 저장 온도를 유지한다면 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신선한 품질 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버섯의 쉬운 변질에 따른 소비자 및 유통업체들의 피해를 예방하기위해 저장성이 증진된 품종을 개발하고자 현재 육성된 품종들의 수확시기,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저장성 정도를 파악하였다.1·2주기동안 수확한 양송이를 35일 동안 4, 7, 10oC에 저장한 결과 전반적으로 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보였고, 자실체 대의 두께는 감소하였으며, 길이는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육주기별로 보면 대의 두께와 길이가 1주기보다 2주기에 변화가 적은양상을 보였고, 온도별로 대의 두께와 길이는 온도가낮을수록 변화가 많이 나타났다. E(표면색도)의 변화는 1주기보다 2주기에 수확한 것이 갓과 대의 색도변화가 많았다. 또한 백색품종은 10oC에서 E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높은 온도에서 표면의 갓 및대의 색이 변화가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향’은 낮은 온도에서 변화가 컸다. 부위별로 보면 갓부위에서 갈색품종이 백색품종보다 색의 변화가 적었다. L값(명도)는 E 값과 생육주기 및 온도별 변화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명도에 따른 저장기간을보면 1·2주기 수확한 양송이 중 백색품종은 1주일정도 저장할 수 있었고, ‘새도’품종이 수확 후 L값이큰 것으로 보아 가장 좋은 상태로 수확된다는 것을알 수 있었다. 품종별로 보면 ‘설강’품종의 L값이 저장기간 14일까지 좋은 상태로 유지되었지만, 28일이지나면 급속도로 L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에 비해 ‘새정’품종은 모든 온도에서 35일까지 L값이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Table 2).평균적으로 형태적인 변화를 보면 ‘설강’ 품종이 대의 굵기는 변화가 적은 반면에 길이 변화가 컸고,‘505’품종이 저장함에 따라 길이변화가 적었다. 표면색도변화는 갓 부위에서는 갈색양송인 ‘다향’이 가장변화가 적었고, 백색양송이 중에는 ‘새정’품종이 변화가 적었으며, ‘505’가 가장 변화가 심했다. 대 부위에서는 ‘새아’품종이 변화도가 적었으며 ‘새도’품종이 가장 변화가 많았다. 양송이 선택시 갓의 색을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결과 도출로 ‘새정’품종이 유통과정 중 35일간 저장성 면에서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ring media were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sterile larvae of greenbottle blowfly, Phaenicia (=Lucilia) sericata (Meigen) which is widely used in maggot therapy. Eight media available in the market were used in this study. Egg hatchability was not different among the media. Survivorship of the larvae was higher in blood agar (BA), sabouraud dextrose agar, and brucella blood agar than the others. A higher content (20~40%) of sheep blood in BA and chocolate agar increased the survivorship of larvae. The eggs and the early 3rd larvae could be stored for 12 days at 8℃ and for 15 days at 6℃ without decrease in hatchability and larval survivorship, respectively.
        4,000원
        1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ere few data for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in the commercial plant foods, and for the normal flora and for the foodborne agents within the country. First of all it must b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And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sanitation criteria for the plant foods through the microbiological e×amin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endency to change of the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grains was 2.9 × 10^5/g, psychrophilic bacteria 2.9 × 10^6/g, heterotrophic bacteria 3.1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2.1 × 10³/g Pseudomonas aeruginosa 23/g. That for beans was 6.3 × 10²/g, psychrophile 34/g, heterotroph 1.7 × 10²/g. That for sesames was 1.4 × 10^5/g, coliform 350/g, psychrophile 7.4 × 10⁴/g, heterotroph 5.8 × 10⁴/g, Pseud. aeruginosa 2.3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150/g. That for potatoes was 2.0 × 10^7/g, coliform 5.0 × 10⁴/g, psychrophile 1.8 × 10^7/g, heterotroph 1.4 × 10^7/g, heatresistant bacteria 3.3 × 10¹/g, Staphylococcus 2.7 × 10^5/g, fecal streptococcus 4.5 × 10³/g, Pseud. aeruginosa 7.0 × 10³/g. That for mushrooms was 1.2 × 10^8/g, psychrophile 9.4 × 10^7/g, heterotroph 1.0 × 10^9/g, heat-resistant bacteria 1.6 × 10^5/g, Pseud. aeruginosa 1.3 × 10³/g. That for vegetables was 5.9 × 10^(11)/g, coliform 1.8 × 10^6/g, psychrophile 1.1 × 10²/g, heterotroph 8.4 × 10^(11)/g, heatresistant bacteria 7.6 × 10^6/g, Staphylococcus 1.1 × 10^7/g, fecal streptococcus l.1 × 10⁴/g, Pseud. aeruginosa 5.2 × 10⁴/g. That for nuts 3.9 × 10⁴/g, coliform 3.9 × 10³/g, psychrophile 4.0 × 10^8/g, heterotroph 3.2 × 10^8/g, heat-resistant bacteria 400/g. In commercial grains and beans, SPC,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ored at 10℃, 20℃, 30℃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coliform, Pseud. aeruginosa were decreased a little in grains, but were not detected in beans. In mushrooms,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were increased rapidly at 20. In sesames, coliform was not detected at all temperature. psychrophile was increased for 7 days, the otners were constant. In potatoes, SPC, psychrophile, heat-resistant bacteria, heterotroph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 others were constant. In vegetables, indicator organisms we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psychrophile, heterotroph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7 days. In nuts,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heat-resistant bacteria,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not detected.
        4,000원
        1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the commercial pork tested was 19/g, coliform 1.8/g, psychrophilic bacteria 15/g, heterotrophic bacteria 12/g, fecal streptococcus 6.2/100 g, Pseudomonas aeruginosa 13/100 g and none of heat-resistant bacteria and Staphylococcus was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beef tested was 130/g, coliform 5.2/g, psychrophile 140/g, heterotroph 28/g, Staphylococcus 1.2/g, fecal streptococcus 9.5/100 g, Pseud. aeruginosa 1.9/100 g and heat-resistant bacteria was not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chicken tested was 8800/g, coliform 53/g, psychrophile 4600/g, heterotroph 4700/g, fecal streptococcus 9.9/100 g, Pseud. aeruginosa 2.5/100 g. That for milk was 4700/ml, psychrophile 120/ml, heterotroph 420/ml and the others were not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cheese was 3.2/g, psychrophile 2.3/g, heterotroph 1.6/g, Staphylococcus 1/g, fecal streptococcus 9.1/g. That for fermented milk was 10^7/ml, heatresistant bacteria 10^6/ml, fecal streptococcus 2400/100 ml, lactobacillus 3.2 × 10^(15)/ml, in accordance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others were not detected. There was not detected any indicator organisms from ham, sausage, butter, eggs and quails in the commercial fooods tested. SPC, coliform,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commercial meats stored at 10℃ were increased rapidly as time goes on but heat-resistant bacteria, staphylococcus, fecal strept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At 20℃,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the highest at 7 days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aphyl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increased a little. At 30℃, all indicators were increased rapidly for 3 and 7 days and then decreased rapidly.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t the level of 10/g for 14 days in meat products stored at 10℃, but SPC,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meat products stored at 20℃ were increased at the level of 10^5/g. It showed that the indicators in meat products stored at 30℃ had a tendency to increase at the level of l0₂/g relative to those stored at 20℃. SPC,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milk stored at 10 increased up to the level of 10₄/ml, but coliform, staphylococcus, fecal strept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not detected. As stored at 20℃ and 30℃, they were increased rapidly for 1 or 3 days and then constant for a long time.
        4,200원
        14.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bacterial sanitary condition of fish and shellfish, we examined the normal flora in the 25 species of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and also proportional change of normal flora by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Isolated 334 were isolated in the normal fish and shellfish and predominant genera were Pseudomonas (25.2%), Staphylococcus (10%), Acinetobacter (7.2%), Vibrio (6.9%), Micrococcus (5.4%), Aeromonas (5.2%), and Enterobacter (5.2%). In accordance with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Pseudomonas grew on high ratio at 10℃ steadily, but Proteus had increased proportionally at 20℃ and 30℃. Additionally, Citrobacter, Moganella, and Pasteuralla had increasd, while Achromobacter, Acinetobacter, Yeast, and Micrococcus had decreased by period.
        4,000원
        15.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fish 8 species, shellfish 7 species, crustacean 3 species, molusc 4 species and echinodermata) for the distribution of sanitary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ounts, coliforms, staphylococci, vibrios, and enterococci) and diatributional change of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logarithmic mean of total viable counts for total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was 5.41±0.26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es, crustacean 6.76±0.67 CFU/g, shellfish 5.67±0.56 CFU/g, echinodermata 5.47±0.50 CFU/g, fish 5.021±0.38 CFU/g, and mollusc 5.03±0.65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enterococci was 2.36±0.37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3.44±0.12 CFU/g, shellfish 3.87±0.45 CFU/g, echinodermata 3.38±0.0 CFU/g, fish 2.16±0.41 CFU/g and mollusc 0.01±0.0 CFUIg. The logarithmic mean of vibrios was 1.60±0.59 CFUI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4.23±0.11 CFU/g, shellfish 3.58±0.90 CFUIg, echinodermata 1.64±0.34 CFU/g, fish 1.79±0.67 CFU/g and mollusc 1.07±0.6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staphylococci was 1.60±0.59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shellfish 0.01±0.00 CFU/g, echinodermata 3.51±0.60 CFU/g, fish 1.68±0.64 CFU/g, crustacean 0.34±0.33 and mollusc 2.90±0.1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coliforma was 2.2±0.32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echinodermata 3.58±0.89 CFU/g was highest, shellfish 3.25±0.30 CFU/g, crustacean 3.23±0.49 CFU/g, fish 2.18±0.63 CFU/g, peeled shellfish 1.80±0.51 CFU/ g and mollusc 1.55±0.95 CFU/g. As the results of research of the change of the contaminated indicator microflora in working with storage period at 10℃, 20℃ and 30℃, total viable counts was increased without storage temperature and enterococci were decreased slowly at 10℃, but increased at 20 and 30℃ Vibrios were decreased slowly at 10℃, decreased at 20℃ and 30℃ in 2 days after increased rapidly. Staphylococci were increased promptly without storage temperature in 2 days, then the total viable counts were maintained. Coliforms were increased at 10℃ by 7 days, then decreased or maintained after 14 days, changed at 20℃ in accordance with fish species in 2 days, then returned to the initial total viable count, and decreased rapidly at 30℃ on 2 days. By the way,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4,600원
        1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have been used as a tonic crude drug and an edible plant in Korea. The plant mainly contains triterpenoid saponins, including codonolaside, codonolasideⅠ-Ⅴ, lancemaside A-G. Their saponins have shown anti-inflammatory effects such as bronchitis and cough, insomnia and hypomnesia. C. lanceolata is well known to affect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for human health, and its consumption is increasing. Recently, plant and plant-derived products were treated a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by applying the bioactive phytochemicals.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y substances in foo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ealth-protecting fact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immune cell growth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ifferent storage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of C. lanceolata. Methods and Results : The plant materials were used the roots of C. lanceolata cultivated in Jeju area, Korea. Immune enhanc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T cell and B cell of human immune cells. Each cell incubated for 8 days with the sample extra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immune activ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immune cell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Noro(1983). In different storage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the immune cell growth of C. lanceolata extract promoted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both human T cell and B cell,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C. lanceolata extract tended to decrease more, depending on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or the higher the storage temperature. Conclusion :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ot of C. lanceolata may assist in the potential biological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 source of human health products.
        18.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꽃게 조미소재, 야채, 천연조미료 등을 활용하면서, 편의 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꽃게풍미 볶음밥을 제조하였다. 꽃 게풍미 볶음밥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 4, 25℃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총균수, TBA, VBN,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총균수 결과를 활용 하여 볶음밥의 유통 기한을 예측하였다.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pH는 7.74 이었고 저장 6주에는 pH 7.76으로 나타나 저장 중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를 조사한 결과, -20℃ 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0.4%이었고 저장 6주에는 0.4%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4℃ 와 25℃ 의 저장 6주에는 각각 2.7%, 4.6%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TBA 값을 측정한 결과, -20℃에 저장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1.07 μg/g이었고, 저장 6주까지 1.39 μg/g으로 나타나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26.60 mg%이었고, 저장 6주에는 28.14 mg%로 나타나 신선 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와 25℃의 저장 6주 에는 각각 65.15 mg%, 68.00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균 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3.58 log CFU/g이었고 저장 6주째에는 4.11 log CFU/g으로 나타나 미생물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관찰되 었다.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 의 경우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저장초기 7.8이 었고 6주째에는 6.7으로 나타나 저장 기간 동안 처리구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의 경우 저장초기 7.5이었으 나, 저장 6주째 1.0 수준의 평가를 받아 저장온도 및 저장기 간 동안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미생물 결과를 토대로 볶음밥의 유통기한을 예측한 결과, -20℃에 저장할 경우 14.9주, 4℃에서 저장할 경우 0.4주 인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 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꽃게풍미 볶음밥은 -20℃에 서 저장하는 것이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저장성 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편의식품화로서의 이용 가능 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1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프레이 국화 ‘Radost’의 수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 에 따른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 다. 절화 국화 ‘Radost'를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 서 5, 10, 20, 30일간 저장한 후 저장전과 저장 후, 그리고 보존용액 에서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 변화와 절화수명을 조사하 였다. 5~10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1과 4℃ 조건에서 생체중 과 화폭이 다른 처리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절화수명이 16일 정도 로 길었다. 20~30일 정도 장기간 저장시에는 4℃보다 1℃로 유지 하는 것이 생체중과 화폭이 높게 유지되었고, 흡수량이 많았다. 또 한 절화수명은 1~8일 정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프레 이 국화 ‘Radost'를 단기간 저장시에는 4℃이하로, 장기간 저장시 에는 1℃로 유지하는 것이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효과적이었고, 1℃ 조건에서는 30일까지도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수 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절화 국 화는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서 5, 10, 20일간 저장 한 후 절화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5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4와 7℃에서 저장했을 때, 생체중 과 화폭 등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수명도 다른 처리에 비해 3~5일 간 연장되었다. 10일간 저장에서는 20℃ 저장처리에서 수명이 12 일 감소하였으며, 1~4℃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수명과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절화 국화의 20일간 장기 저장은 5일과 10일 저장보 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생체중, 화폭, 흡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다른 처리보다 1℃ 저장한 처리가 절화수명이 6일이었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스탠다드 국화 ‘신마’를 수확한 후 5일이나 10 일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가 가장 효과적이며, 20일간 장기 저 장을 위해서는 1℃에서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