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한국응용곤충학회 5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2011년 5월) 233

14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ve surveyed monthly diversity and seasonal prevalence of Macrolepidoptera in Wol-ak-san [Mt.] for the period of four months from May to August in 2010. Although it is not a part of KLTER/ME and KLPS study in Wol-ak-san conducted in recent few years, this year's data may be comparable with the previous ones as the collection sites and dates are very similar. The three representative vegetations are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formations, abbreviated as QM, QV and PD, respectively, and we collected exclusively larger moths with bucket-type of light traps for quantified survey. In 2010, as a result, QV showed higher species diversity and specimen number than QM or PD although the differences between QV and QM are very subtle. The result is very similar to the result in 2009. The only difference in 2010 over 2009 is that the number of species, not specimens, has been increased 1.5 times, and this may be caused by the inclusion of July records, which has been usually deleted due to heavy rainy season causing poor collection records. The number of species in Noctuidae was the highest in 2010, about twice more than that in 2009, but the dominant species in 2010 were either Pyralidae (Nacoleia commixta or Bradina geminalis) or Geometridae (Arichanna melanaria). We are still experiencing decline of specimen numbers: 567 specimens collected in 2010 while 651 in 2009 and 874 in 2008, which was already a huge reduction compared to over 2500 specimens in 2007.
14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to assess potential effects of transgenic rice expressing Bacillus thuringiensis (Bt) CryIAc1 protein, which is highly effective the rice leafroller, Cnaphalocrocis medinalis, on the rice insect community in 2007 and 2008. Insects were sampled in non-Bt and Bt rice plots with a sweep net and a suction devise. A total of 64,256 individuals in 45 families and 11 orders (30,860 individuals in 43 families and 11 orders in the Bt-rice plots, and 33,396 individuals in 40 families and 11 order in the non-Bt rice plots) were captured and grouped by ecological functional guilds.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t-rice and non-Bt rice plots. The seasonal pattern of the insect community and the seasonal population fluctuation of insects were very similar between two plots. Collectively, the rice insect commun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Bt-rice in the present study.
14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of sporadic and major insect pests in Gyeonggi Province Area. Lantern fly (Lycorma delicatula) damages to reduce the yield and quality of commodities in grape orchard begin to emergence from the early May, and new adults have appeared from the middle July lay eggs till the early November. The hatchability of eggs laid in last year was influenced by the extremely low temperature (especially -20℃ and under) in over-wintering season.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biotype of most regional populations is Q-type except the partial Goyang area population (B-typ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had been reported firstly in 2009 expanded and was confirmed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in 2010.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becoming an issue in Korea, have been detected apple (Paju), pear (Yongin, paju), grape (Paju) orchards in 2010.
14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the world. We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sounds as a control agent in this species. Sine waves with four different frequencies (100, 500, 1000, 5000 Hz) were used as acoustic stimuli in the playback experiments. As a behavioral bioassay, we recorded honey dew production (HDP), wagging, and walking. HDP occurs regularly at each stage of nymphal and adult periods, and the rate of HDP may indicate a degree of food consumption. Aphids conduct wagging to determine a host plant or to find a feeding site. Walking may be regarded as dispersal. All acoustic stimuli significantly reduced the rates of HDP and increased the rates of wagg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of acoustic stimuli on walking. Based on the bioassay, the acoustic stimulus with 5000 Hz seeme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inhibiting feeding behavior of this aphid species at an individual level.
14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use of insect growth regulators (IGRs) has been gaining popularity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ption to improve exist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strategies. Although IGRs have a selective effect on target organisms, they may exert a more selective effect on non-target organisms. In this study, the toxic effects of teflubenzuron on biological traits of P. rosea, Collembola, were assessed in the OECD artificial soil under two different exposure conditions, one was exposed in the bulk soil, and the other was exposed in the compacted soil which unidirectional force was applied to the soil surface. After 28 days of exposure, the toxicity of teflubenzuron on the survival and juvenile production of P. rosea in the bulk system was more toxic than that of the compact system. Moreover, not only the egg production but also the hatching rate and molting frequency of P. roseas wa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GRs teflubenzuron exhibit significant impacts on the biological traits of non-target organisms P. rosea and its toxic effects are differently assessed depending on the exposure conditions.
14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에서는 2007년부터 DMZ 서식 곤충자원을 조사결과 산업화 유망곤충으로 사슴풍뎅이(Dicranocephalus adamsi)를 선발하여 대량사육체계와 산업화를 연구중이다. 경기도 연천지역에서 유인트랩을 설치하여 사슴풍뎅이 발생소장 조사 결과 성충 출현시기는 5월 상순 ~ 6월 하순이었으며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이었다. 서식처 주변 삼림구조는 침엽수보다는 활엽수 군 락지였고, 해발 150m 이하의 낮은 숲과 주위에 계류가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곤 충 사육체계중 먹이와 사육환경은 매우 중요한데, 25℃온도에서 유충의 먹이로 참나무발효톱밥만 사용하였을 때는 성충으로 발육이 되지 않았으며, 부엽토 50% 첨가한 배지에서 성충우화율 73.3%, 부엽토 75% 첨가한 배지에서 86.7%로 높았 고, 성충크기도 자연 채집개체와 차이가 없이 정상적으로 사육할 수 있었다. 성충 먹이로 곤충전용젤리를 급여하였을 때 산란은 참나무 발효톱밥에서 높았고, 광조 건은 8L:16D, 온도조건은 18~20℃로 어둡고 서늘한 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었 다. 알기간은 10.3±0.6일, 유충기간은 1령, 2령, 3령 각각 12.6±2.4일, 17.8±3.5일, 31.6±2.4일, 번데기기간은 24.3±1.0일로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하는데 91일±3.3이 소요되었으며, 암컷 성충의 산란기간은 31.2±10.3일, 산란수는 23.3±6.6개 이 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사슴풍뎅이 유충은 25℃온도조건에서 먹이로 참나무발효톱밥 에 부엽토 75% 첨가한 배지에서, 성충은 18~20℃온도, 8L:16D 광조건에서 먹이 로 곤충전용젤리를 급여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사육할 수 있었다.
147.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inne))는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 에 속하며 한국을 포함하여 유럽부터 일본에 이르는 구북구지역에 분포하는 해충 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많은 천적과 병원체로 인하여 크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 로 알려있으나 유럽계통 매미나방의 유입으로 미국 북동부, 캐나다 남동부에 막대 한 피해를 주고 있어 북미식물보호기구(North Americ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는 새로운 지역으로의 유입을 막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 검역적으로 중 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미나방의 생활사를 구명하고자 2009년과 2010년 에 산란된 난괴를 사육용기에 넣고 온도 25℃, 습도 60%, 명암 14L:10D인 항온항 습실에서 실내사육하였다. 먹이는 인공사료를 냉장보관하며 공급하였으며, 유충 의 충태별 형태와 두폭 및 생육기간 등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1령~ 5령 및 6령(암컷)에 대한 두폭크기는 0.63, 1.17, 1.90, 3.31, 4.35 및 5.65㎜이며, 변이 계수는 2.52, 2.07, 6.32, 11.82, 4.25, 및 0.72%였다. 암컷의 1령에서부터 번데기 까지의 생육기간은 6.5± 0.9, 4.2± 0.8, 3.4± 1.2, 4.5± 1.2, 5.3± 2.3, 8.7± 3.5, 13.2± 1.8일이고, 수컷은 6.8± 1.1, 4.0± 0.6, 3.6± 1.3, 5.9± 1.5, 10.8± 2.6, 14.9± 0.3일이며, 총 발육기간은 암컷 44.7± 2.5일, 수컷 45.1± 2.0일이다. 3령까지는 암 수가 비슷한 발육기간을 가지다가 4령부터 암컷의 성장이 빨라지고 먹이섭식이 왕성해지며 한 단계의 영기를 더 가지게 되지만 수컷이 4령부터 번데기 시기의 생 육기간이 길어져 실제 우화시기는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실제 자연 상태에서 성충 의 발생시기는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4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가 배추벼룩잎벌레 유충의 천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북 김제시 백산면 양배추 포장(3000㎡)에서 양배추 생육 기간동안 배추벼룩잎벌레와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배 추벼룩잎벌레의 발생소장은 2008년 5월 상순 발생을 시작하여 점점 증가하고 6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009년에도 비슷한 발생 경 향을 나타내었다. 배추벼룩잎벌레 발생밀도는 최고 5.5마리/엽으로 매우 높은 경 향이었다. 동일포장에서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는 6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8월까지 발생밀도가 증가하였고, 최고 2.9마리/㎡였으며, 배추벼룩잎벌레 발생양 상과 비교하여 볼 때 배추벼룩잎벌레 밀도가 먼저 증가하고, 이후에 증가하며, 발 생피크가 배추벼룩잎벌레보다 늦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천적의 발생양상을 보였 다. 발견된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는 토양표면과 땅속을 빠르게 이동하며 톡토기, 잎벌레 유층 등 토양표면 또는 토양내 미소동물을 잡아먹는 곤충으로 천적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가 발견된 김제 양배추 포장은 양배 추, 배추, 무 등을 10년이상 친환경으로 재배하였던 포장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천적류도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어 좋은 연구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14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nsity of malaria vector mosquitoes, Anopheles mosquitoes, and infection of Plamodium vivax from the vector mosquitoes were monitored at 9 surveillance points in Incheonsi, 12 in Gyeonggi province and 7 in Gangwon province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from April to October of 2010. The seasonal numbers of Anopheles mosquitoes collected weekly showed a high degree of variability. A total of 4,435 mosquitoes were captured using black light traps. Members of the Anopheles mosquito group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accounted for 71.8% of the mosquitoes collected. The majority of this species were collected from Incheonsi (86.2%), particularly from Ganghwagun (84.8%). During June, populations of this species steadily increased and peak at second week of July. Thereafter, populations of this species decreased by the second week of August and increased by the third week of August, again. Anopheles mosquitoes steadily decreased from the fourth week of August. First Anopheles mosquitoes were reported in Wolgotri (15th weeks/year), Ganghwagun, Incheonsi, followed by Tanhyundong (16th weeks/year), Pajusi, Gyeonggi Province and Daemari (17th weeks/year), Cheolwongun, Gangwon Province. In Ganghwagun in which the most abundant malaria patients (102 patients) were reported, Anopheles mosquitoes demonstrated the highest species portion (over 70%) among collected mosquito species from July to September. Infection rate of P. vivax from the Anopheles mosquitoes also was the highest in Ganghwagun. In Gangwon and Gyeonggi provinces, collection rate of Anopheles mosquitoes and infection rate of P. vivax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Ganghwagun. Reported malaria patient cases in Gangwon and Gyeonggi provinces also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Ganghwagun. However, detail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ites in which any correlation between malaria patients and vector mosquitoes were not. This may be resulted from size of surveillance area. Smaller size of surveillance area was, higher accuracy of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vector mosquitoes and patients was. Further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malaria vector and patients may need for more accurate analysis, such as increase of collection site and so on.
15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는 딱정벌레목(Coleoptera)에 속하는 곤충으로 감귤 수확기에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 발생하여 부패 과를 섭식하며 살아간다. 본 연구는 감귤과원에 발생하는 밑빠진벌레과의 종 다양성과 연중 발생 시기와 정도 를 구명하고자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제주도 감귤원에서 밑빠진벌레과 발생 및 연간동태를 조사하였다.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서 채집한 밑빠진벌레 과 성충을 분리 및 동정한 결과 8종으로 분류․동정 되었으며 이중 2종은 국내 미기 록 종으로 동정되었다. 밑빠진벌레과 8종의 연간 발생에서 애넓적밑빠진벌레 종 만 겨울에 다량 발생하였으며 나머지 7종은 초여름부터 초겨울까지 발생하였다. 밑빠진벌레과 8종에 대한 시기별 종 다양도 관련 지수의 변동에서 종수는 겨울철 에 낮게 나타났으며, 종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았고 1월 및 2월에 낮았다. Shannon지수는 12월과 1월 ¡‘0’값을 보였고 봄부터 가을까지 생육기에는 1.0에 근접하였다. Hill 지수는 겨울철 12월부터 2월까지 낮았고 생육기에는 2.5 부근에 서 변동하였다. 종균등도는 겨울철인 12월과 1월에 ¡‘0’값을 나타냈고 생육기에는 0.8 정도 값을 보였다. 8종의 발생시기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군락분석을 실시한 결 과 유사도 거리 0.5 수준에서 4개 집단으로 분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애넒적밑빠진벌레는 단일 독립집단으로 구분되었다.
15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s feed on host plants by penetrating the stems or leaves with stylets. The feeding behavior of aphids consists of probing, penetration, salivation, and sap ingestion. To assess the effects of sound on feeding behavior, we monitored the stylet activity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usin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he use of EPG was critical for determining the stage, frequency, and duration of feeding in aphids. We played back three acoustic stimuli of sine waves with frequencies of 100, 1000, and 5000 Hz to adult aphids. In the sound treatment group, the frequencies of probing, penetration, and salivation increased, whereas the duration of sap ingestion decreased. The results of EPG revealed that the acoustic stimuli may restrict aphid feeding by inhibiting sap ingestion.
15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부지방의 복숭아과원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발생실태를 1999년부터 2008년 까지 월동해충(2월 중하순), 생육초기(5월 중하순), 생육중기(7월 중하순), 생육후 기(9월 중하순)로 나누어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도별 월동해충을 조사한 결과 뽕 나무깍지벌레, 점박이응애, 나방류 유충, 진딧물류 등이 월동기 주요 해충으로 조 사되었다. 월동해충 중에서 뽕나무깍지벌레는 한주에 5가지당 1.2(‘05)∼3.7(’00) 마리, 점박이응애는 25㎠ 당 0(‘00)∼5.6(’99)마리, 나방류 유충은 5주당 0(‘00)∼ 1.9(’02)마리, 진딧물류는 100눈당 알수가 0(‘00)∼10.7('08)개였다. 복숭아 생육 초기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복숭아굴나방, 복숭아유리나방, 점박 이응애, 하늘소류, 뽕나무깍지벌레가 조사되었으며, 이중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이 50개 신초당 0.5(’99)∼33.6(‘00)마리가 발생하여 발생밀도가 높았다. 생육중기에 서는 점박이응애, 복숭아굴나방, 복숭아순나방,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유리나방, 하늘소류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중에서 점박이응애가 100엽당 5(’08)∼175.5(‘00)마리로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다. 중부지방의 복숭아는 다른 과 종 보다 빨리 수확이 종료되어서 9월 중순 이후에는 지상부 해충의 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10년간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복숭아에서는 생육시기에 따라 해충 의 다발생 종이 다르지만, 점박이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유리나방 등이 해 마다 발생되었으며 심식충류에 의한 과실피해는 높지 않았지만 해마다 발생하 였다.
15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llinating insects function significantly in structuring ecosystem as well as agricultural production. Among the variety of pollinators, Osmia cornifrons is one of the important pollinators in apple orchards. Unlike honey bees, O. cornifrons is able to pollinate at low temperature that facilitates its wide commercial use. The female O. cornifrons in nature lay their eggs to the interior of the bamboo reeds where they spend their larval and pupal stage throughout the summer and during fall they overwinter as adult. The adult bee emerges from the overwintering cocoon in the spring seasons. Since the complete synchrony with flowering period is critical, farmers collect and store the dormant state of O. cornifors in cold storage and expose them in due time to outdoor temperatures for their emergence, pollination activity can be performed. However, information on biological and ecological requirements for the emergence of overwintering adults are rarely reported.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s on temperature dependent adult emergence and constructed the emergence model based on developmental rate and distribution. Parameters were estimated from linear model and weibu
15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5개 지역(전남 순천시, 경남 진주시, 경남 창원시, 경남 김해시, 울산 울주군) 단감수출 단지를 대상으로 검역대상 해충을 비롯한 발생 해충조사를 단감 생육 기간 중에 조사 하였다. 단감 수출단지에서 채집된 해충은 4목 16과 26속 26 종 이었다. 그 중 장님노린재(Lygocris spinolae)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이 모든 과수원에서 발견되었으며 김해 진영지역에서는 외래 유입종인 미 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흡즙에 의한 생육저하와 분비물에 의한 그을음 병 발생 피해가 확인되었다. 검역대상 해충으로는 감꼭지나방(Stathmopoda masinissa)이 9월 말에 울산지역의 한 과수원에서 유충 3마리가 확인 되었고, 7월 중순 김해 진영지역에서 성충 1마리만이 발견 되었다. 발생 해충의 종류나 밀도는 지역 간 보다 지역 내 과원 간 차이가 더 많았다.
15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amages by Tyrophagus spp. (Acari: Acaridae) on horticultural crops were newly observ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organic culture greenhouses in Korea. The crops damaged by the mite species were Spinacia oleracea L. (spinach), Cucumis sativus (cucumber), and Phalaenopsis schilleriana (orchid). The spinach inner leaf growth was halted affected by the feeding of Tyrophagus similis at the early stage of the shoot emergence. The young leaves of the spinach bud had small holes and the leaves were deformed as they grew up. The surface of young cucumber fruits became shiny and soft at the early damage stage and the damaged surfaces became corky as the plants grew up. The mite from cucumber was identified as Tyrophagus neiswanderi Johnston & Bruce. In phalaenopsis orchid, the flower buds became yellow and dropped and the lower side of the leaves had white spots. The damages were caused by Tyrophagus putrescentiae.
15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in Seokmun- and Siwha-reclaimed lands was investigated with pitfall traps from 21 May to 1 November, 2010. Survey areas were divided by the status of reclamation, vegetation, and flooding frequency. Status of the Seokmun-reclaimed land in Chungcheongnam-do is the progress of conversion to rice paddy after completion, and then dominant plant is Secale cereals. For the Siwha reclaimed land in Gyeonggi-do, reclamation is ongoing, and thu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pigeios are dominant plants. Flooding was more frequent in Seokmun than in Siwha as 4 times and none, respectively. A total of 3,352 epigeic insects of 9 orders and 22,981 epigeic insects of 9 orders were collected from the Seokmun- and Siwha-reclaimed land, respectively.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in each site. In ground beetle assemblage, 11 species belonging to 7 subfamilies Seokmun and 8 species belonging to 5 subfamilies in Siwha were identified from 183 and 101 collected ground beetles. Chlaenius pallipes (107 individuals, 58.5%) and Pheropsophus javanus (52 individuals, 28.4%) was dominant in Seokmun, while Harplus jureceki (37 individuals, 36.6%), Synuchus arcuaticollis (17 individuals, 16.8%), and Dolichus halensis halensis (17 individuals, 16.8%) was dominant in Siwha. The Shannon's index value was 1.147 and 1.671 in Seokmun and Siwha, respectively. Similarity by the Sørensen index between Seokmun and Siwha was 0.3158. In conclusion,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ity of ground beet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reclaimed lands, and this difference appears to be due to their different habitat conditions such as flooding frequency and progress of reclamation.
157.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호리허리노린재과)는 주로 콩과 식 물을 기주로 삼고, 재배콩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 해충에 대해 항생성 을 갖는 유전자원을 찾기 위해, 수년에 걸쳐 약 천점의 콩과 유전자원을 검토하였 고 여기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항생성 정도는 마른 종자 혹은 식물체 상태로 꼬투리 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섭식시켜 생존율을 관찰하거나 꼬투리의 피해 정도로 판정하였다. 재배콩(Glycine max) 약 60여 품종과 돌콩(G. soja) 약 600여점으로 부터는 항생성을 지닌 유전자원이 발견되지 않았다. 미국이나 아르헨티나로부터 도입된 노린재과 해충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고 보고된 자원들도 역시 본 해충에 대해 항생성을 보이지 않았다. 기타 Glycine속 다른 종 약 80여 유전자원들에서 일 부 항생성을 보이는 자원이 발견되었다. 한편 Vigna속 식물들 중에서 여우새팥(V. nakashimae)의 약 120점이 조사되었는데 대부분 실험곤충에 대해 매우 강한 항생 성을 나타내었다. Vigna속 다른 종 약 60여점에서 항생성을 보인 일부 유전자원이 선별되었다. Phaseolus속과 Cajanus속 약 20여 유전자원에서도 항생성이 보이는 몇 자원이 선별되었다.
15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남 나주시 배시험장에서 채집한 깍지벌레류에서 채집한 깍지벌레류에서 기 생벌류에 기생된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한 깍지벌레류에 대한 기생률은 25.8%였다. 1월의 기생율이 높은 것은 이전에 기생당한 깍지벌레가 발견된 원인 으로 생각된다. 한편, 배나무에서 채집한 온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kraunhiae) 를 잠두(Vicia faba L.) 유묘에서 사육하면서 15, 20, 25, 30℃에서 각태별 발육기 간을 조사하였다. 15℃에 알기간은 약 20.9일이었고 25, 30℃에서 7.1, 7.5일이었 다. 알에서 성충까지 전체 기간은 15℃에서 약 117.7일이었고, 20, 25, 30℃에서 각각 54.9, 32.4, 30.3일이 소요되었다. 산란전 기간은 각각 31.6, 17.2, 13.1, 16.8 일이 소요되었다.
15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uctural property in communities of aquatic insects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uld reflect the impact of environment on aquatic ecosystem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at 18 different lakes across different levels of environmental impact in Korea. Community responses were analyzed by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 (SAD). Rank-abundance (or relative abundance) curves were evaluated by classical SAD (Geometric series, Log-series, and Lognormal distribution) and niche apportionment models (dominance pre-emption, random assortment, random fraction, and dominance decay). Geometric series was more accepted in lakes among classical SAD models. Niche apportionment models were observed in a diverse manner across different level of ecological integrity in lakes. Dominance decay model and random fraction model were frequently fitted to the lakes with higher integrity, while dominance pre-emption and random assortment models tend to be presented in low to middle range in integrity.
16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irs)은 목조 문화재 및 건축물 등의 목재 조직의 건조, 부패와 균열, 스펀지화,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을 발생시켜 구조적 또는 미학적인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인 흰개미 (Reticulitermes speratus Morimoto) 는 목조 건축물의 옥의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면을 얇게 남겨 두고, 내부는 격렬 히 먹어 들어가 공동화시켜,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이 무너져버리는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 피해 미생물과 곤충인 두 종 의 부후균이 흰개미의 서식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후균이 만연된 곳에 흰개미를 넣어 공존의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페트리디쉬에 한 달간 두 종의 부후균을 배양한 후 각각 병정개미 5마리, 일개 미 45마리씩 넣고, 흰개미의 섭식을 위한 목재 시편을 넣었다. 일주일 간격으로 관 찰하여 총 12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여 총질량 감소, 실험 전, 후 목재 질량 감소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인 총질량은 두 종류의 부후균에서 다 감소하였다. 목재의 질량은 백색부 후균에서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갈색부후균에서는 오히려 질량이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섭식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재의 건조 후 질량에서는 갈색부 후균에 넣었던 목재의 질량 감소가 더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갈색 부후균이 목재를 더 부후시켜 습하게 만들어 흰개미 섭식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갈색부후균과 흰개미가 목조 건축물에 함께 피해를 줄 때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