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9

        28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competition between the various professional events, it is imperative for the team's management to improve efficiency by removing the inefficiencies of the professional team in order to gain a competitive edge. This study use different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s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professional sport organizations. In this mathematical-analytical study,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related literature to analyze the input/output variables. In the end, the variables were detected an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While previous studies examine relative efficiency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by using CCR model, this study fully utilize the DEA method to investigate Korean professional sports organizations' operating problem. Thus, this study propose full results of DEA analysis such as efficiency score (overall,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slacks in inputs and outputs of inefficient organizations, Malmquist index)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not only the exact productivity information of a team and a way of improving a firm's productivity with a decision maker.
        4,000원
        28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옥수수의 검은줄오갈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전라북도고창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료용 옥수수 10품종을 1모작과 2모작으로 재배하여 품종에 따른 검은줄오갈병의 이병률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료용 옥수수 품종에 따른 검은줄오갈병의 발병률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검은줄오갈병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면, 매우 강한 그룹은 ‘광안옥’과 ‘광평옥’, 강한 그룹은 ‘P3156’과 ‘P3394’, 중간 그룹은 ‘청안옥’과 ‘P32P75’, 약한 그룹은 ‘NC7117’, ‘수원 19호’ ‘DK697’및 ‘GW6959’ 품종이었다. 검은줄오갈병 발생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품종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p<0.05), 검은줄오갈병 저항성 품종인 ‘광안옥’, ‘광평옥’,‘P3156’ 및 ‘P3394’ 품종은 이병성 품종보다 건물수량이14~26% 많았다. 따라서 검은줄오갈병 발생이 심한 지역에서 옥수수 재배를 할 때는 반드시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는것이 중요하다
        4,000원
        28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on fecal odour and performance in laying hens. The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NFP) was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of probiotics with a mixed herb of ginkgo leaf, mandarin peel, wormwood, ginger, licorice and tangleweed (30:7:10:3:5:15), and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acidophi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4 days at room temperatur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ecal odour reduction by NF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layer's dropping by in vitro fermentation with a mix of feces and distilled water (6:2), and NH3 and H2S gas production during the fermentation was measured. The productions of NH3 and H2S g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NFP treatment group than those of control during the in vitro fermentation (p<0.05). To measure the effects of NFP on laying performanc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sixty, 46-wk-old Lohmann brown layers for 4 weeks after the pre-experiment periods of two week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with 3 replicates of 10 birds each. The treatments were control group which fed basal diet, and NFP group which fed basal diet added with 0.1% NFP. Hen-day egg production of NF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p<0.05). Also, soft & broken egg production was apparently reduced by NFP addition (p<0.05). Egg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trended to be higher in NFP group than the control. Eggshell thickness, eggshell strength, eggshell color, yolk color and Haugh unit were not different between NFP group and control group. Overall,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prepared by fermented functional herbs with probiotics, have ability for reducing fecal order and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4,000원
        284.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climatological data in highlands of Pyeongchang, Gangwon-do. Highl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dex (HAPI) was developed using existing agriculture climate index and observation data set. Climate modeling system was constructed for simulations over complex mountainous terrain. Additionally a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vity and spatial HAPI was studied. The result shows a close corelation between temperature, important for vegetable growth, and vegetable productivity. Climat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computed 10 years data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in Daegwallyeong. Using the result the HAPI was estimated for each grid (1 km) of the model domain.
        4,000원
        286.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상기온과 불규칙적인 자연비 등으로 표고버섯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재배 특성상 저온성 품종의 경우 피해가 더욱 심각하여 종균 접종간격 과 수분 관리방법에 따른 버섯생산성과 품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종균 접종 간격에 따른 저온 성 품종의 버섯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본당 수확량은 다공접종 처리구가 270g으로 표준접종 185g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개체중량은 표준접종 처리구가 32.3g으로 다공접종 처리구 27g 보 다 높아 품질이 우수하였다. 또한 버섯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상품의 비율이 표준접종 처리구 는 34%로 다공접종 처리구 12% 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특히 소립버섯의 발생 비율이 표준 접종 처리구가 14%로 다공접종 처리구 40% 보다 월등히 적어 버섯 품질의 차이가 명확하였 다. 버섯나무의 수분관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버섯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상품비율이 평상시 주기적 살수 처리구는 76%, 버섯 발생시 살수 처리구는 63%, 임내재배 처리구는 30%로 주기 적인 살수 처리구가 가장 품질이 우수하였다. 특히 소립버섯 발생비율은 발생살수 처리구 3%, 임내재배 처리구 8%에 비해 주기적 살수 처리구는 소립버섯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수분 관리에 의한 버섯품질의 차이가 있었다.
        289.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fluence of road capital to industry and productivity growth in South Korea.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levant policy questions addressed in this report are : cost reduction and Scale elasticities of road, effect of road capital stock on demand for labor, capital and materials, marginal effect of road, industry TFP growth decomposition. RESULTS : The marginal benefits of the road capital at the industry level were calculated using the estimated cost elasticities. Demand for the road capital services varies across industries as do the marginal effects. The marginal benefits are positive for the principal industries. This suggests that for these industries the existing stock of road capital may be under supplied. The contribution of road capital to TFP growth is positive in principal industries. The main contribution of road capital i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 the magnitudes of contribution varies among industr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wth in exogenous demand is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TFP growth. CONCLUSIONS : The road capita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ivate capital and demand for materials inputs in all industries. At a given level of output, an increase in road capital lead to variety to demand for all inputs in all industries.
        4,500원
        29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grew rapidly enough to draw a close attention in a short period less than twenty years. Korea grew to be the third larges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untry in the world during the period and has maintained the proud of Koreans even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was introduced and analyzed 6 sigma method using profits making analysis for increasing Productivity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4,000원
        29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whole-crop barley silage on the daily feed intake, daily weight gain, velvet antler yield and economic efficacy in elk during growth. A total of 21 elk (average BW 303 kg, 5 years old) were allotted randomly to three treatments. The three treatments were T1 (hay diet), T2 (whole-crop barley silage), and T3 (50% hay + 50% whole-crop barley silage).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of T3 was higher than the others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elk in decreasing order was as follows; T1>T3>T2. The velvet antler yield was higher in T3 group (8,585 g) compared with T1 (8,037 g) and T2 (7,713 g).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average daily weight gain, or velvet antler yield (p>0.05). In economic efficacy, T3 was gained about 29~43% more value than T1 or T2. In conclusion, the mixed feeding of 50% hay and 50% whole-crop barley silage was more effective than feeding hay of barley alone, in terms of average daily weight gain, velvet antler yield, and economic efficacy in elk.
        4,000원
        292.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CAP 유전자를 지니는 pRB374-BCAP2와 pLip-BCAP2를 B. clausii I-52에 도입 후, 염색체 integration에 의해 구성된 pHPS9-BCAP 형질전환체(B. clausii C5)와 alkaline protease 발현율을 비교하였다. 최적화 배지(대두박 2%, 밀가루 1%, 구연산나트륨 0.5%, K2HPO4 0.4%, Na2HPO4 0.1%, NaCl 0.4%, MgSO4⋅7H2O 0.01%, FeSO4⋅7H2O 0.05%, 물엿 2.5%, 탄산나트륨 0.6%)에서 액침배양(37℃, 48 h, 650 rpm, 1 vvm) 시, pRB374- BCAP2 및 pHPS9-BCAP 형질전환체 각각은 15% 및 61% 정도 alkaline protease 생산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pLip-BCAP2 형질전환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최고의 활성 균주인, B. clausii C5를 300 L 규모 pilot-scale 액침 배양(37℃, 30 h, 250 rpm, 1 vvm) 시, alkaline protease 생산은 105,685 U/mL로 측정되었다.
        4,000원
        29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산간지 휴경답에서 돈분액비를 이용한 다년생 목초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다. 장소는 충남 금산이며 처리는 화학비료를 이용한 톨 페스큐 위주 혼파조합(대조구)과 돈분액비를 시용한 톨 페스큐(Fawn) 단파구, 페레니얼 라이그라스(Reveille) 단파구, 톨 페스큐 위주 혼파조합(톨 페스큐 16, 오차드그라스 6, 페레니얼라이그라스 4, 켄터키블루그라스 2, 화이트클로버 2 (kg/ha), 극만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Ace), 레드클로버(Kenland) 단파구 및 리드 카나리그라스(Venture) 단파구를 두었다. 건물수량 및 목초율은 톨 페스큐 단파구, 톨 페스큐위주 혼파구, 리드 카나리그라스가 우수하여이 초종과 혼파 조합이 중산간지 휴경답에서돈분액비를 이용하여 초지를 조성 이용할 경우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 처리구의ha당 건물생산성은 14.5톤 이상으로 중산간지휴경답이 목초 재배에 매우 유리함을 입증하고있다. 또한 다년생 목초의 도입으로 매년 경운파종이 반복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는유리함도 있다. 또한 사료가치와 기호성이 높은 레드클로버나 페레니얼 라이그라스는 영속성이 낮으나 보파 등 관리방법의 개선을 통해이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중산간지 휴경답에 적합한 초종이나 혼파조합을이용하면 생력적으로 사료가치와 기호성이 높은 양질목초의 고위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4,000원
        29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스프레이 장미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와 수출 상품성 향상을 위해 PE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 두 재배시설 환경관리에 따른 절화품질 및 절화 생산 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시설에 따른 기상환경을 조사한 결과, 시간당 적산 일사량, 최고온도 및 습도, 변이(최 고값-최저값) 정도가 유리온실보다 PE 비닐하우스에서 높았다. 절화장은 시험품종 모두 유리온실에서 컸고, 줄 기 굵기와 소화수는 품종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대 체로 PE 비닐하우스에서 우수하였으며, 분화된 총 분 지수와 수출 상품량은 적산 일사량이 높은 PE 비닐하 우스에서 많았다. 한편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은 대기습도가 높게 관리되었던 PE 비닐하우스에서 발 생이 많았다. 따라서 스프레이 장미 수출 상품성 향상 을 위해서는 품종 특성 발현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일사량, 대기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 관리가 무엇보 다도 중요하였다.
        4,000원
        29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야간기온이 토마토의 생산성, 생육, 과실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토마토의 적정 야간기온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Mill. cv. Superdoterang and cv. Rapito)는 야간기온 5, 10, 15, 20℃에서 재배되었으며 주간환기점은 27℃으로 설정하였다. 야간기온에 따라 토마토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이 달라졌다. ‘슈퍼도태랑’과 ‘라피토’ 품종 모두에서 야간온도가 높아질수록 토마토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슈퍼도태랑’의 경우 20℃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생산성에 있어 ‘라피토’ 품종이 ‘슈퍼도태랑’에 비하여 고온에서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통해 추정한 결과, ‘슈퍼도태랑’의 경우 13.32℃, ‘라피토’의 경우 14.25℃에서 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 총 수량은 감소하였으나 일일생산량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슈퍼도태랑’은 14.45℃, ‘라피토’는 16.46℃에서 최고 일일생산량을 보였다. 과실 특성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과실 무게가 감소하였고 당도는 야간기온 15℃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야간 기온은 토마토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마토의 생육속도 및 생산성을 좌우하는 온도 수준은 품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97.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a software development evaluation index for the productivity related to Spring 2.5 and EJB 3.0 with same lightweight container architecture. Spring is a known successful open source standard model for lightweight container architecture. EJB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as a standard framework is most commonly used in production. However, there is no comparison research about the performance of Spring 2.5 and EJB 3.0 with same identical platform. Quantitative analysis is supported as a part of LoC(Line of Code) analysis. There is a limit to develop the updated software with no the specific evaluating index for the productivity of the softwa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platform environment based on the same database schema system Spring 2.5 and EJB 3.0 i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addition, comparison and standardiz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assessment is to provide guidance.
        3,000원
        29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총체벼와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그리고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재배시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총체 벼, 총체 영양보리,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토양성분 및 용탈수중의 무기물 농도를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9년4월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총체 벼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7,515 kg/ha이며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8,515 kg/ha으로총체 영양보리의 수량은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으로 재배한 경우가 총체 벼 후작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에서 총체 영양보리의 조단백질함량, NDF,ADF 및 TDN 함량은 총체 벼 후작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와 함량 차이가 나지 않았다.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내pH, 전질소, 유기물 함량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그러나 인산함량은 시험전후에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 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및 칼리 농도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 중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인, 염소,칼슘, 칼리, 마그네슘, 나트륨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4,000원
        30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품종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9년 경북 성주와 충남 천안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8처리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품종으로 하였으며, 공시한 품종은 ‘Sordan79’, ‘SX17’,‘Honey chew’, ‘Honey grazer’, ‘G7’, ‘Jumbo’,‘Green star’ 및 ‘GT56’를 공시하였다. 2지역 모두에서 출수형 4품종은 출수를 하였다. 그 외생육특성에서는 품종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형과 BMR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당도가 높았다. 건물률 및 초장은 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다.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도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고 BMR 품종은다른 품종보다 적었다.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출수형 품종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많았으나 비섬유성탄수화물(NFC)은 상반된 결과를보였다. BMR 품종의 ADF 및 NFC 함량은 다른 폼종 보다 작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출수형이 비출수형에 비하여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품질은 비출수형과 BMR 품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BMR 품종은당도가 높고 ADF 함량이 낮아 사초 품질 이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