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61.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non-Saccharomyces 효모와 S. cerevisiae Fermivin으로 혼합발효된 사과와인을 동결농축하였을 때,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고품질 무가당 사과와인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향미 증진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P. anomala JK04와 malic acid 분해능을 지닌 I. orientalis KMBL5774 효모를 사용하였으며, 혼합발효 후 알코올 함량이 12%(v/v)가 되도록 동결농축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다른 시험구와 비교하여 발효속도가 늦어 발효를 완전히 진행시키지 않았다. 동결농축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당도, 환원당, 총산,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른 시험구들도 동결농축 후 해당 성분들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유리당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동결농축 후 2-3배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경우, lactic acid를 제외한 모든 유기산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험구에서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I. orientalis KMBL5774는 malic acid 감산능력을 지니고 있어 malic acid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퓨젤유의 경우, 동결농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식품공전상 허용기준치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사과와인의 색도 분석에서는 hue value는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와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나,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에서는 증가하였으며, intensity value는 모든 시료구에서 2배 가량 증가하였다. L과 a value는 모든 시험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며, b value는 증가하였다. 총 20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저분자에 속하는 알코올류와 에스테르류 들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고분자에 속하는 물질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non-Saccharomyces를 이용한 혼합발효구 모두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색과 향미에서,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는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동결농축된 사과와인에서 다양한 성분들이 축적되어 새로운 무가당 사과와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며, non-Saccharomyces 효모 혼합발효는 사과와인의 품질 향상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62.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medicinal plant corresponding to 'raw materials for food use' i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nd it is known that it has the same origin although it is classified into wild ginseng, cultured ginseng and red ginseng. It varies morphologically, molecularly,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or habita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experiments for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cultured ginseng (Hongcheon, Gunsan, Miryang) and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by company). Methods and Results : Morphological observations were made with resin sectioning method (RSM). The test method was sampled, preprocessed, embedded, segmented, slid and then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epidermis, cortex and vascular tissues were identified in the inner cross section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Phloem was formed at the center, and xylem was formed at the side. In cultured ginseng, the organs of the vascular tissues were differentiated into two, whereas in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one vascular tissue was formed due to the thin adventitious. Conclusion : Plant resources have the diversity of using the same or different origins depending on their distribution.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method of ginseng and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is expected to be based on domestic fair trade to prevent discrimination.
        63.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LCBC) and cinnamon extract (Control: water 700 mL, sample A: water 670 mL+LCBC 30 mL, sample B: water 670 mL+LCBC 22.5 mL+Cinnamon extract 7.5 mL, sample C: water 670 mL+LCBC 15 mL+Cinnamon extract 15 mL, sample D: water 670 mL+LCBC 7.5 mL+Cinnamon extract 22.5 mL and sample E: water 670 mL+Cinnamon extract 30 mL). The weight of dough was not significant between samples, and the weight of bread was highest in samples D.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the highest in sample C but the baking loss rate was highest in the control (p<0.05). The L valu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as addition of cinnamon extract increased. However, a value, b valu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reversed. The sourdough bread produced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improved the volume and texture. It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ad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for manufacturing a loaf of bread.
        6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production method of ginseng seedlings for ginseng cultivation is very important to ensure healthy rooting system as well as high quality, and yield of the resultant pl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2- year-old ginseng plants that were produced from seedlings grown in self soil nursery (SSN), nursery soil (NS) or hydroponic culture (HC).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prop used was composed of four-layered 4 polyethylene (blue 3 + black 1) shade screen. The management of main field was done by inserting oil cake (1,200 ㎏/10 a) and then allowing Sudan grass to grow for a year. Seedling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on April 6. Root growth was measured on October 25. Root weight was observed to be excellent at 6.0 g, following SSN transplantation. Root length was 21.2 ㎝ for HC seedlings, but these plants had a physiological disorder (i.e., rusty root), in 83.5% plants of this treatment. The ratio of PD/PT (protopanaxadiol saponins / protopanaxatriol saponins) was higher in NS seedlings. Plant analysis revealed that Fe content was lower in HC seedlings with high rustiness. The growth of 2-years-old ginseng was different following these varying seedling cultivation methods, but seedlings from N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grown in SSN. Conclusions: For the propagation of 2-year-old ginseng plants, NS seedlings may be a good substitute for SSN seedlings.
        65.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와인제조에 있어 향미 증진과 같은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Pichia anomala JK04와 일반 적으로 와인 양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혼합 발효하여 감와인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와인의 발효특성 결과 발효 종료 시 대부분 의 실험구에서 pH 4.0~4.2, 총산 0.5~0.6%를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 변화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 여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P. anomala JK04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발효 종료시점에서 대부분의 당이 소비되었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S. cerevisiae Fermivin과P. anomala JK04의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빨랐으며 발효 종료 시 모든 구의 알코올 농도는 12~13%를 나타내었다. 각 첨가구 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05 mg/mL 로 초기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감와인의 hue value는 발효 초기에 비해 증가하여 4~5의 값을 나타내었 고, intensity value는 발효초기 0.5의 값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효 종료 시까지 0.1~0.2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휘발성 향 기성분의 경우 P. anomala JK04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다양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가 생성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향기와 맛의 평가에서P. anomala JK04를 첨가한 모든 혼합 발효구에서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6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ading and soil environment are the main factors of growth and yield in ginseng (Panax ginseng C. A.Meyer). Ginseng yield is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rate because of increased missing plant for their growing period. Underfield conditions, diseases and pests significantly affect plant survival rate. We evaluated the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and ginsenoside of the ginseng plants, under controlled management conditions in a plastic greenhouse, when their treatedwith different types of organic matter. Ginseng seeds were sown at a rate of three seeds per hole, and the seeding space mea-sured 10㎝×15㎝.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of cattle manure vermicompost (CMV) was shown to increaseseedling establishment and decrease ginsenoside content. Root weights of plants treated with CMV were higher than those ofplants treated with other types of organic matter. In addition, seedling establishment of 2-year-old ginseng plants wasdecreased when it was compared to that of 1-year-old ginseng pla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c matter type and ratewere associated with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characteristic and ginsenoside content in greenhouse of ginseng direct-sowing culture.
        6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예산업의 활성화 문제점은 사회·문화적 트랜드에 대한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의 생산체계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 인력과 전시 및 판매할 수 있는 시설 등의 부족과 정책적인 지원체계 등 국가산업으로서의 인식과 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공예문화의 산업화를 꾀하면서도 장인이나 명인에게만 너무 의존하는 인식과 접근법에도 문제가 있다. 생활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트렌드 분석, 현대적 디자인 적용, 편익성과 효용성 등은 물론이거니와, 공예 본연의 의미인 실생활에 사용되는 조형물로 전통과 기술 그리고 문화를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영세한 소규모의 가내수공업적 제작환경과 수요에 대한 분석 및 디자인과 기술개발 등의 지속적인 투자와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어려움이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으로 성공한 산업화 유형분석을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지역적 특색을 띄고 있는 공예의 특징을 활용한 협업체계의 구축, 둘째, 공예가 생활 속 예술품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저변확대, 셋째, 공예를 산업으로서 접근하는 인식, 넷째, 전통성, 예술성, 편익성 등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산업으로서의 통합브랜드 구축 등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7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마토 정식 전 후 묘령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의 특성, 수량, 광합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마토 파종부터 정식시 까지 기간을 40, 45, 50, 55, 60일로 설정하였다. 육묘 기간이 50일(표준묘)보다 짧을수록 토마토 생장과 생육이 촉진된 반면에 육묘 일수가 길수록 생장과 생육이 감소하였다. 정식 후 4주는 묘령이 가장 짧은 40일묘에서 광합성량이 낮았지만 정식 후 8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T(Catalase), APX(Ascorbate peroxidase), POX(peroxidase) 들은 정식후 6주까지 증가하다가 8주부터 감소하였다. 정식후 4주는 SOD (Superoxide dismutase), CAT 활성은 묘령이 어릴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반대로 정식 후 6주는 APX, POX는 육묘기간이 길수록 활성이 높았다. 토마토 수량도 표준묘와 비교해서 육묘 기간이 짧은 묘령에서 토마토 생산성이 높은 반면에 육묘기간이 길수록 생산이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생장과 수량의 관점에서 보면 육묘 기간은 40-50일 적합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토마토를 토경재배 할 경우 표준 묘령 50일보다 짧은 묘를 정식 후 생장과 생산성에서 유리할 뿐 아니라 육묘 시 발생되는 생산비의 절감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7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비문화공간으로 대표되는 신사동 가로수길, 삼청동, 서래마을의 세 곳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용기정원을 조사, 분석하여 장소에 따른 용기정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사동 가로수길은 초기 패션과 디자인 계열이 입점했던 것에서 영향을 받은 패션업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원형의 테라코타 용기에 상록과 그린색의 식물을 이용하여 입구에 가장 많이 위치시켜 동선을 유도하며, 패션소품으로 활용하였다. 삼청동의 경우는 오래되고 규모가 작은 공간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모든 업종에서 고루 나타났고, 목재의 직사각형의 용기에 분홍색의 초화류를 이용하여 전면하부에 많이 위치시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서래마을의 경우는 프랑스마을의 장소성과 관련하여 야외 테라스의 카페와 레스토랑에서 많이 나타났고, 걸이와 벽면에서 난색계열의 초화류와 덩굴식물을 주로 이용하였다. 장소는 문화적이고 지역적인 것을 기반으로 하여 나타나는 맥락적 의미로 현재 소비문화공간에서 활발하게 조성되는 용기정원의 특성 또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것은 다시 장소성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차후에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용기정원이 재방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장소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73.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3-year-old ginseng (for Samgyetang product) cultured by various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Ginsengs were cultured by the seeding density, 275, 300, 330 352 and 396 seeds per Kan, 180×90cm area. Survived rate (82.1%)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length and leaf width were high in plot of 300 and 352 seeds. Root yield grai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except 352 seeds sowed. Average root weight and diameter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31.6 g and 18.4 mm, respectively. Crude saponin and each ginsenosides content were the highest in plot of 275 seeds sowed. Rg1 content was decreased, Rc and Rb2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plot of 330 seeds sowed and the lowest in plot of 396 seeds sowed, and oligo- and disaccaride content were high in plot of 330 and 352 seeds sowed. R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s cultivated according to various seeding density, hardness and springness were high and maximum fracture force was low with decrease of the seeding quantity.
        74.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화훼장식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화훼 중에서 다화 소재로 적합한 소재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작품 분석을 통해서 현대의 차(茶)문화 공간에 어울릴 수 있는 다화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대구세계차문화축제의 주요 행사로서 다양한 차 문화 공간 연출을 위한 찻자리의 꽃인 다화 경연대회가 실시되었는데 대회 시 사용되어진 다화 소재와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다화 소재로 선정되어진 화훼는 능수조팝나무,금사매,정금나무의 절지류와 국화, 장미, 산수국, 유스토마, 과꽃, 섬바디, 솔리다스터, 안개초의 절화류, 고사리, 루스쿠스의 절엽류가 사용되었다. 특히 선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소재는 능수조팝나무이었고 꽃은 과거 차 문화 공간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졌던 국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현대의 차 문화 공간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꽃의 표정이 차 문화 공간의 분위기와 잘 맞아야 된다.
        75.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는 절임 발효 식품으로서 염장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영향에 대해 주재료인 배추의 품종 및 재배 방법의 차이를 구명하고자하였다. 배추의 재배방법(노지, 하우스재배) 및 품종(쌈노랭이, 매력, 춘황, 춘광, 고령지 여름, 옥황씨알)에 따른 수확전 요인(생육 특성)과 수확후에 나타나는 절임특성을 조사하고자 구중, 결구지수(크기), 엽수, 엽두께, 삼투몰 농도, 염함량, 탈염률, 경도를 측정하였다. 수확후 생육면에서는 시설
        76.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의 상품성은 형태에 따라 크게 변한다. 본 연구는 상면살수 방식에서 재배통의 흔들음 정도가 콩나물의 생장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재배 초기 3일간의 흔들음 횟수(0, 3, 5회/일)와 기간(5회/일로 1, 2, 3일)을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형성된 세근수는 흔들음 횟수와 기간이 증가할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콩나물 전체길이는 흔들음 횟수와 기간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흔들음 횟수와 기간이 많고 길수록 하배축은 짧아졌던 반면, 뿌리는 길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자엽 바로 아래의 hook 직경은 흔들음 횟수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나, 하배축 중간부분의 직경은 흔들음 횟수와 기간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개체당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은 흔들음 횟수와 기간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상면살수 방식에서 재배통의 흔들음은 콩나물의 생장보다는 형태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구로부터 단기간 내에 대량의 자구를 생산할 수 있는 분구법의 최적조건으로 분구시기, 온도, 식재용토 등을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구를 twin-scale법으로 20℃에 처리했을 때 최적 분구시기는 휴면각성기로 자구형성 및 생육상황이 수확기, 휴면기에 비해 우수하였다. 특히 품종 중에서도 Nerine bowdenii 'Stepani' 보다는 N. bowdenii 'Favourite' 품종의 자구 형성률이 80.3%로 수확기의 46.7%, 휴면기의 61.4%에 비해 훨씬 높았고, 형성 자구수도 구당 30.6개로 수확기 모구 사용에 비해 20.1개 이상의 자구 생산이 가능하였다. 또한 분구처리 적정 온도는 20℃로 N. bowdenii 'Favorite'에서 80.3%의 자구형성률과 30.6개의 자구수로 15℃의 64.5%, 23.1개에 비해 15.8%이상 높았으며, 조직 치밀도 역시 저온보다는 20℃에서 충실한 자구로 발육하였다. 분구시 구근 식재용토는 버미큐라이트가 선발되었다. 버미큐라이는 자구생성 및 생육상황이 다른 용토에 비해 우수하였고, 자구가 구당 39.4개 형성되어 관행 피트모스 처리에 비하여 37% 증가하였으며, 자구중을 비롯한 생육상황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78.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rine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기간별 자구 무게 참모율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직배양 자구의 적정 저장온도와 기간은 86.4%의 출현율을 보이는 15℃에서 12주가 적절하였다. 또한 기내 생산 자구의 적정토양순화 시기는 휴면타파온도인 22℃이상 유지가 가능한 6월 상순이 적절하였다. 순화 재배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 광원은 적색과 청색의 혼합파장에서 네리네 생육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79.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잔나비버섯 균사체 배양액(CM)을 이용한 빵 제조를 위하여 첨가량()에 따른 반죽의 발효 및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M의 첨가량과 반죽의 품질지표(pH, 산도, 반죽부피, 되기, 강도 및 점도) 상호간의 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CM은 반죽의 pH를 높임으로서 반죽의 되기 및 강도를 높이는 반면 점도를 감소시켰다. 첨가에 따라 굽기 손실률은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oaf volume index는 첨가량에 따른 대조구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