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81.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1분이 경과할 때마다 10%씩 감소한다. 우리나라는 2008년에 응급의료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대중이 모이는 공공장소에 자동제세동기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심정지환자가 발생될 경우 1차 발견자가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할 때 최선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국민 전체의 심폐소생술 교육경험과 심폐소생술 실시 의지는 매우 적어서, 응급구조사가 도착할 때까지 시급한 조치가 연기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유무, 심폐소생술의 실시, 정확한 실행과 자동제세동기의 활용 등을 기존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응급의료체계를 위한 제언을 한다.
        3,000원
        8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의도적인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세 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젭슨 손 기능 평가로 7가지 하위검사의 수행시간을 우세손과 비우세손을 구별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 실시 후 3명의 뇌성마비 아동의 젭슨 손 기능 평가 항목의 수행시간이 모두 23.4%이상 감소하였고, 작은 물건집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스노즐렌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우세손 뿐만 아니라 비우세손도 중재 후에 카드뒤집기, 작은 물건 집기와 먹기 흉내내기, 장기말 쌓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도적인 다감각환경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8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5개 해설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인식변화를 참가자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의 전체 만족도는 높았으나, 이 중 참가자 태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부모가 안전성 측면에서 우려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프로그램 간 만족도는 프로그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내용만족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동물해설 프로그램은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동물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원의 환경해설 프로그램은 동물원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원의 기능이 단순한 전시기능이 아닌 교육과 연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통해 관심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동물원 환경해설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 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4,000원
        86.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 노인이 거주하는 농촌지역 가정을 방문하여 집의 구조적인 문제와 거주자의 신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평가를 통해 농촌 주거공간내 안전생활을 진단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농업기술센터 용역 사업으로 농촌노인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을 위해 진행되었다. 70세 이상 노 인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마을 2곳을 대상으로 총 25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평가 후 주거환경을 개선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0 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이었다. 작업치료학 전공자에 의해 대상 가구의 일반적 주거상태를 인터뷰 후 주거환경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주거공간 내 안전생활의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이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정도는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점을 중요도로 평가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일상생활의 수행능력 정도는 수행도와 만족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 진단 후 중재 결과 25가구에 총 170개의 보조도구가 지급되었고 1가구당 평균 6.8개의 보조도구 가 설치되었다. 그 중 설치 빈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가스자동차단기, 안전손잡이로 각각 21개였고, 미끄럼방지처리, 실버카, 목욕의자 순이었다. 보조도구 지급 전 후 COPM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안전손잡이, 스텝박스(문턱 보조도구), 목욕의자와 좌 변기 안전지지대의 설치 후 수행도가 향상된 반면 만족도는 안전손잡이, 지팡이, 스텝박스, 실버카 순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주거 공간 내에서의 안전생활 문제를 도출한 후 주거환경개선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와 수행도가 높았다.
        4,300원
        8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요인과 유전적 효과가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 남지역에서 2005년부터 2009년에 도축된 한우 22,954두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혈통이 존재하는 개체를 포 함하여 36,868두를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유전모수 추정에는 EM-REML 분석법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각 형질의 유전력은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 가 각각 0.39, 0.30, 0.33 및 0.62로 나타났다. 또한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의 유전상관은 0.86, 표현형 상관은 0.72로 고도의 정의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형질들 간에는 대부분 중도의 정의상관을 나타내 었다.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량방향 설정시 육질 향상에 중점을 둔 결과인 것으 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지역의 한우는 점진적으로 개량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 며 이는 농가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앞으로 경제형질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연구를 통하여 보다 명확한 결과를 얻어야 할 것이고 이를 통해 한우는 더 욱더 개량되어 질 것이다.
        4,000원
        8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과밀화, 대기오염, 녹지의 감소, 에너지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도시열섬현상이나 여름철 기온상승을 야기한다.본 연구는 여름철 도시내 자연요소에 의한 기온저감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로킹블럭 포장, 점토벽돌포장, 화강석 포장, 회양목 식재, 잔디밭, 연못 등과 같은 지표면 피복재별 복사열을 분석하였으며 중앙분리대 녹음수 식재의온도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지표면 피복재의 복사열은 수면, 잔디밭, ILB 포장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잔디밭에 비하여 녹음수 아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낮았다. 점토벽돌, 화강석 판석, 회양목 식재지를 비교하면 복사열은 회양목 식재지, 점토벽돌, 화강석 포장지 순으로 낮게나타났다. 중앙분리대 녹음수 아래의 기온이 보도, 횡단보도 중앙부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도시온도 저감을 위해서는 평면적 구성에서 수공간과 잔디밭의 확보가 바람직하고 대규모 위주의 입체적 식재가 요구되며또한 포장재의 신중한 고려 및 가로수, 중앙분리대 식재 등 도로상에 대형목 식재의 도입을 검토해야 할것이다.
        4,000원
        8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팔파바구미는 자운영 및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의 생체량 확보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해충이다. 즉 녹비작물의 안전 및 안전생산은 알팔파바구미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서 그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알팔파바구미를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친환경 농자재 가운데 몇 종을 선발하여 처리효과 를 검정하였으며, 알팔파바구미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인 4월에 친환경 자재의 처리시기 및 횟수에 따른 알팔파바구미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자재 가운데 고삼, 님+고삼, 고삼+멀구슬, 베라트린으로 조성된 자재 의 방제효과가 8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처리시기 및 횟수에 따른 방제효과는 1 회 처리는 4월 중순, 2회 처리는 4월 상순+4월 중순의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금년도의 기상이 예년에 비해 매우 낮았던 것을 고려하면 1회 처리 시기는 해당년도의 기상과 알파바구미의 발생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따라서 자운영 및 헤어리베치의 문제해충이 알팔파바구미는 상기에 제시된 친 환경 농자재 등을 이용하여 4월 상순과 중순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 로 여겨진다.
        9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판되는 몇 가지 친환경유기농자재를 대상으로 실내에서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벼애나방(Narana aenescens), 멸강나방(Pseudaletia unipuncta) 및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의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19개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해 각 나방류 2-3령 유충의 각각 처리 후 1, 3일차의 실내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낸 친환경유기농자재는 혹명나방은 1일차에서 EFAM-B 1개, 3일차에서는 EFAM-A 등 10개, 벼애나방은 1일차에서 EFAM-A 등 11개, 3일차에서는 EFAM-A 등 12개, 멸강나방은 1일차에서 EFAM-A 등 3개, 3일차에서는 EFAM-A 등 9개, 줄점팔랑나비는 1일차에서 EFAM-A 등 12개, 3일차에서는 EFAM-A 등 15개였다. 또한, 국내에 자생하는 은행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벼멸구 약충의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뿌리 > 잎 > 가지의 순으로 살충효과가 높았다.
        9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출생한 Duroc종, Landrace종 및 Yorkshire종의 GGP (Great Grand Parents) 종돈 31,455두의 농장검정자료를 이용하여 단변량 모체효과 모형에 의한 돼지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및 유전력 추정을 통해 모체효과가 돼지의 경제형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된 모든 형질에서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형질에 있어서 품종, 성, 출생년도, 출 생계절 및 산차의 효과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p<0.01), 모체효과 모형을 이용하였을 때 각 품종 별 형질에 대해 추정된 상가적 유전 분산과 모체 유전 분산사이에 부 (-)의 공분산이 존재하고, 이들의 유 전 상관도 대부분 강한 부 (-)의 상관관계를 보여 품종, 형질 및 개량 방향에 따라 모체 효과뿐만 아니라 상가적 효과와 모체 효과간의 상관관계도 적절히 고려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개량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4,300원
        93.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breed, sire-breeds, farrowing year, farrowing season and parity on number of born alive (NBA), number of weaning (NW) and survival rates of weaning (SRW) in swin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46,704 litters of the Landrace, Yorkshire, Duroc and Cross breed farrowed from 1996 to 2005 at 142 GP are registered in Korean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KAIA).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effect of breed, sire breed, farrowing year, farrowing season and parity on NBA, NW, SRW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vailable to genetic improvement of reproductive traits as a basic reference in Korean pig industry.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improvement of reproductive traits, additional research such as genetic parameter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4,000원
        9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당증체량, 90kg 도달일령,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정육율에 영향을 미치는 품종, 성, 농장 규모 및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농장 검정된 Landrace종 5,902 두 Yorkshire종 18,022두 및 Duroc종 6,601두 등의 3개 품종 총 30,525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정종료일령에 대한 보정을 위하여 모델에 공분산 항목을 포함하여 분 석하였다. 일당증체량, 90kg 도달일령 및 정육율은 중간 규모의 농장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반면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소규모의 농장에서 유의적으 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품종, 성, 검정종료년도, 검정종료계절 및 농장 규모간의 유의 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추후 농장규모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이러한 연 구가 양돈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5.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몇 가지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선발하여 실내와 포장조건에서 퉁퉁마디뿔나방(Scrobipalpa salinella)의 살충 및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19개 친환경 유기농자재에 대해 퉁퉁마디뿔나방 2-3령 유충에 대해 각각 1, 3, 5일차의 실내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율은 1일차에서 10개, 3일차에서는 12개, 5일차에는 15개 유기농자재에서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처리 후 하루 만에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이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EFAM-A 등 8개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EFAM-G는 5일차에도 20% 이하의 살충율을 보여,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 3가지 친환경 유기농자재(EFAM-A, EFAM-M, EFAM-H)를 대상으로 신안군 증도면 함초포장에서 퉁퉁마디뿔나방의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3종 모두 무처리 대비하여 90% 이상 이었다.
        96.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oice behavior of the octopus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friendly colored sinker for octopus driftline and the sinker's fishing effect were studi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in the water tank and the field. The colors of the sinkers used for the experiment are white, black, yellow and green. Artificial baits are attached to the sinkers in order to attract the octopuses in the experiment. In the water tank experiment, two sinkers of two different colors are placed in a compartmentalized corner of the rectangular tank, and a CCD camera records the choice behaviors of the octopuses to the colored sinkers. In the field experiment, the catch investigation of octopus for each colored sinker was conducted 14 times in total by using 2(A, B) commercial fishing boats at the coast of Gangneung within 30m of depth in 2006. The number of colored sinkers per operation was a total of 24-40 pieces with the same number of sinkers individually for four col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ctopus selected white the most followed by black and yellow in their choice of colored sinkers in the water tank experiment, and green was the lowest in their choice. Even in the field experiment, the sinkers of white and black showed a higher catch of octopus than the sinkers of yellow and green.
        4,000원
        97.
        200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농촌진흥청은 농작업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통해 농작업 편이화 및 선진화를 도모하고자 2008년 부터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사업을 통해 농작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간공학적 환경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J 지역에 거주하며, 사과재배를 주업으로 하는 고연령?v(56±4.1)의 농업인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작업단계 및 기존 사용 장비를 조사하기 위해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를 인터뷰 설문으로 실시하고 농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OWAS, RULA, REBA)를 실시한 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개선된 편이 장비를 선정하여 보급하였다. 개선된 편이장비의 사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를 수행하고,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전체 장비(기존 장비,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설문을 자체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개선 전후로 실시된 인간공학적 평가를 비교하고, 기존 장비와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 결과, 사과재배는 크게 제초, 수확 및 운반, 선별의 3단계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작업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들이 발견되었다. 수동으로 사용하는 제초기, 수레,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어 빈번한 반복 작업과 중량물 취급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편이장비 사용결과, 인간공학적 평가에서 편이장비 사용 후 작업자세와 작업형태가 향상된 결과를 보였고, 장비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농업인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인간공학적 환경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현실적인 연구와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가 요구된다.
        4,000원
        9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 있는 서방형제형의 키토산캐리어화한 나노살충제 etofenprox에 대한 나 방류 해충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나노제형 Nano-type1(M.W.3,000, 0.3%)과 Nano-type2(M.W.30,000, 0.3%)을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에 처리하 여 독성정도를 확인하였다. Nano-type의 경우 코팅할 때 키토산의 분자량과 밀도에 따라 캡슐률이 틀려 지기 때문에 기주에 살포할 때 캡슐되지 않는 양을 계산하여 이 부분에 의해 나타날 독성도 비교하였다. 본 실험은 etofenprox와 Nano-type 그리고 미리 계 산된 캡슐되지 않은 양을 옆면살포하고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2령 유충 을 접종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효를 확인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etofenprox는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에서 사충률이 서서히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Nano-type의 경우 초기에는 캡슐되지 않은 양에 의해 사충률을 나타내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controlled release가 진행되어 etofenprox가 방출되어 높은 사충률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을 볼 수 있 었다. Nano-type1과 Nano-type2는 유사한 사충률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두 제 형의 release양상이 유사한 이유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코팅시 분자량에 변화를 줘 이전과는 다른 release를 보이는 제형과 키토산이 아닌 다른 캐리어를 사용한 Nano-type을 제조하여 더 나은 친환경 살충제를 만들 수 있도록 연구해 나갈 예정이다.
        9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좀나방은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십자화과 채소의 연중재배가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피해가 심한 농작물 해충 중 하나이다. 이 해충은 세대기간이 짧고 화학농약의 집중살포로 인해 저항성이 빠르게 발달 되어 방제가 어렵고 미생물제제인 B.t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보고되고 있는 실 정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해결과 친환경적 방제를 위하여 천적의 이용이 증가 하고 있지만, 천적과 미생물제제를 동시에 이용하여 종합적 해충방제를 하기 위한 시도들과 그에 따른 방제효과에 대한 정보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배추좀나방 방제를 위해 이용되는 천적인 조명알벌의 기생율과 국내에서 시 판중인 B.t 약제의 혼합 처리시 방제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추좀나방에 이용되고 있는 천적 중 알에 기생하는 조명알벌과 B.t 생물농 약 T제품을 투입시기를 달리하여 처리 후 조명알벌의 기생율과 배추좀나방 유충 생존율, 피해엽수 등을 조사하여 각각의 처리와의 방제효과를 비교하고 자 하였다. B.t 약제를 처리 후 천적을 투입하였을 때 이전보다 좋은 방제효과 를 나타내었는데, 이와같이 혼합처리를 통한 배추좀나방 모든 발육단계의 동 시방제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친환경방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대표적인 농업해충인 파밤나방과 거세미나방에 대한 조명알벌 의 기생율과 배추 포장실험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연구할 계획 이다.
        10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 모델을 소개하고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발병 후 6개월 이상 된 뇌졸중 환자로 재활치료 기관에서 정기적인 인지재활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전반적인 행동지침, 체계적 인지훈련 지침서, 고안된 인지활동, 독립적 일상생활활동 참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선별된 가족 구성원과 협력하여 전문치료사 2명이 체계적인 모니터와 면담을 통해 중재하고 통제하였으며 총 12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LOTCA와 MBI, S-IADL을 시행하였다.결과 :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중재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일상생활 수행력 수준을 비교한 결과 인지기능 수준을 반영하는 LOTCA 점수에서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S-IADL에서 의미 있는 점수의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MBI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과 가정환경 및 지역사회로의 적응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