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의 2단 고설베드재배가 끝난 여름철 동안 수박재배 시,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수박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설 베드상자는 길이 102cm, 폭 22cm, 높이 13cm의 규격이고, 배지는 코코피트(coir)를 사용하였다. 수박은 베드 위치 및 재식밀도에 따라 베드상단 1주(A), 베드 상하단 각 1주로 상단(B) 및 하단(C), 상하단 각2주로 상단 2주(D), 하단 2주(E)로 정식 처리하였다. 수박은 2012년 5월 8일에 2단 고설베드에 정식하여 양액과 점적관수로 재배하였고 7월 25일에 수확되었다.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과실 무게와 크기를 조사하였고, 과육 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당도 및 산도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과실의 외관 품질인 과고, 과폭 및 과중은 A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특히 과중은 A, B, C, D, E처리 순으로 무거웠다. 식물체의 초장이나 엽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 직경과 엽면적은 A처리가 유의하게 컸다. 수박 과육 내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산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도는 A, B 및 D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놀화합물 함량은 A처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과의 수박 생산을 위해서는 A처리, 소과의 수박 생산에는 D와 E의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옥수수 재식밀도 low(67,000 plants/ha), control(89,000 plants/ha) 및 high(95,000 plants/ha)를 주구로, 질소 시비량 150, 200 및 250kg/ha을 세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간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옥수수의 간장은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길었고, 모든 주처리구에서 ha당 200kg의 질소 시용구에서 길었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성
        4,000원
        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eju Italian millet was grown at five planting densities(55, 1515, 2020, 25cm) form May 13 to Aug. 14, 2000 at jeju island to determine influence of planting density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Days to heading increased from 87 to 8
        4,000원
        4.
        202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field experiment aimed to identify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for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ground-cover plants under roadside trees. Liriope platyphylla and Hosta longipes both widely used for planting under trees were selected as the plant materials and planted under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t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plant, 4 planting densities were used: 11%, 25%, 49%, and 83% with three replications. To estimate plant growth,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tillers, fresh and dry weight, and visual quality were investigated. Liriope platyphylla exhibited relatively better growth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of 83%. For Hosta longipes, however, the lower 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 planting density. Therefore,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for Liriope platyphylla is 83% and for Hosta longipes is 11%.
        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nkeunheugchal’ is a waxy black rice variety that has a large embryo. The quality of black rice depends on the anthocyanin content of the rice seed coat, which is mainly determined by cultivation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the anthocyanin content include nitrogen level, planting density, transplanting date and harvesting da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black rice cultivation condition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planting densities. An initi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nitrogen level in which four levels of nitrogen were applied to the field (0, 4, 8 and 12 kg/10a). As the nitrogen contents were increased up to 8 kg/10a, there was a concomitant increase in rice yields. However, nitrogen levels greater than 8 kg/10a, the yield wa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ptimum nitrogen level for maximum yield was 9.6 kg/10a. In addition, anthocyanin levels showed a trend similar to that of yield, with correlation analysis indicating that the optimum nitrogen level for maximum anthocyanin content is 10.6 kg/10a.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second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mbination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planting densities investigated were 30 × 12, 30 × 14, 30 × 16cm and nitrogen levels were 7, 9 and 12 kg/10a. A high planting density (30 × 12cm) was shown to produce higher numbers of tillers and yield. As calculated in the first study, a nitrogen level of 9 kg/10a shown to produce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and yield.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lanting density of 30 × 12 cm and a nitrogen level of 9 kg/10a is the optimal combination in terms of maximizing both rice yield and anthocyanin content.
        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te-maturing black rice cultivar Shinnongheugchal from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was used as the plant material for estimating growth characters, quality and yield from the vegetation period to harvest 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n optimum combination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for the maximum yield of Shinnongheugchal. The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SPAD index were higher whe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was used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eading date for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and 8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was August 22. The heading date for the other combinations was August 21.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at 40 days after flowering. Even though the lodging index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levels, field lodging did not occur until harvest time. Seed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combinations. The black rice yield varied significantly, and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ed nitrogen concentration. The maximum yield was estimated to be 14.67 kg/10 a nitrogen level by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On average, the coloring degree of the black rice was higher at planting density of 70 hills per 3.3 m 2 than at 80 hills per 3.3 m 2 . The highest yield of perfect black rice was obtained using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a nitrogen level of 13-14 kg/10 a can be used to obtain the maximum yield from Shinnongheugchal with yield, cyanidin 3-glucoside content, and perfect black rice yield as the standard.
        7.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rcuma longa L., is a very famous spice and medicinal herb in several countries of the world. Curcumin and volatile oils of C. longa improve hepatic and renal functions, and could be used against biliary disorders, diabetic and hepatic disorders. This medicinal plant was introduced for the regional promotion, Jeollanam-do, as the subtropic area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the plant was introduced to the Jeollanam-do region of Korea with the aim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ensities for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curcumin contents which have not been reported up until now. Methods and Results :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arm of Divis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Resource, NIKOM, Jangheung-gun, Jeollanam-do, Korea. The seedstock was planted at 40×20cm, 40×30cm and 40×40cm spacing with 3 replications. Nine plants were selected randomly for observations on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aves number, leaves area and to dry weight at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90, 120 and 150. The dried samples of plant were stored in air tight polythene bags at room temperature for HPLC analysis of curcumin, which was undertaken following standard procedures. Top plant growth was observed in the 40×30cm planting density of C. longa, plant height, leaves number, leaves area and day shoot weight were larg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supporting roots of underground part were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wide, and dry root weight was increased in 40×30cm. However, yield and curcumin constituent was highest each 294 kg/10a and 68.7 mg/g in the planting density of 40×20cm.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ting density of 40×20cm is the most suitable in the cultivation and curcumin constituents of C. longa.
        8.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ivation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above-ground and below-ground sections as well as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for new ginseng variety “K-1” by differentiating the planting density under the conditions of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ling. Methods and Results : The K-1 variety and hybrid variety (Jakyungjong)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nd the ginseng varieties were transplanted and directly sown in Yeoncheon area in 2013. The transplanting was made in the form of 5 lines × 9 rows (45 plants), 6 lines x 9 rows (54 plants), 7 lines × 9 rows (63 plants) and 8 lines × 9 rows (72 plants) in each lot (1.65㎡) while the direct seedling for test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randomly blocked design in the form of 11 lines × 14 rows (154 plants), 12 lines × 14 rows (168 plants), 13 lines × 14 rows (182 plants). Various measures were collected from the 4-year transplanted ginseng and 3-year direct seedling ginseng in 2015 to find out the growth features and photosynthesis of above-ground section (rate of germination, leaf length, leaf width, stem length and leaf area index (LAI)) and the below-ground section (length, diameter, weight and class of roots). Conclusion : After the planting of the ginseng, the germination rate of K-1 for the transplanting was 85.1 ~ 92.0% across different plantation densities while that for the direct seedling was 67.7% ~ 77.9% across plantation densities, thu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lanting methods. LAI was higher for the higher planation density for both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ling. As for the photosynthesis speed, the form of 6 lines × 9 rows showed the higher speed in transplanting while the form of 12 lines x 14 rows showed the higher speed in direct seedling. The photosynthesis of K-1 was higher than that of Jakyungjong. In the 4-year ginseng cultivated under the transplanting, diameter of roots, number of branch roots and weight of raw ginseng were the highest in the plantation density of 5 lines × 9 rows. The distribution of root weight was high with 23.3% and 20.0% for the 51~70g group and the 71g or above group, respectively, for the 4 year transplanted plants in the form of 5 lines × 9 rows. The growth for above-ground and below-ground sections for K-1 was better than that for Jakyungjo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per plantation density for the 4-year root in the transplanted K-1 was 5 lines × 9 rows considering the growth of the above-ground section,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root weight.
        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기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식밀도와 PE 멀칭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PE 멀칭에 따른 간장은 1년차 PE 멀칭구에서 138 cm로 17 cm 길게 나타났으며, 간경은 8.33 mm로 2년차 PE 멀칭구에서 굵게 나타났고 지상부생체중은 무멀칭구보다 PE 멀칭구에서 연차간 모두 37.7%, 9.0% 많이 나타났다. 2. 연차간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특성에서 간장은 1, 2년차 모두 재식밀도가 높은 10 cm처리구에서 130, 142 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재식밀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간경은 2년차에서는 간장과 반대로 재식밀도가 가장 낮은 20 cm처리구에서 가장 굵은 8.43 mm로 나타났다. 3. 이삭장은 PE 멀칭구에서 34.1, 40.7 cm로 무멀칭구 대비 20.1, 13.7%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중 2년차에서는 PE 멀칭구에서 무멀칭구 대비 8.6% 더 무겁게 나타났으며, 천립중에선 무멀칭구에서 5.3% 더 무겁게 나타났다. 종실수량은 1·2년차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1년차에서는 PE 멀칭구에서 305 kg·10a-1, 2년차에서는 242 kg·10a-1으로 나타났다. 4. 재식밀도에 따른 이삭장과 이삭당 종실중은 1·2년차 모두 재식밀도 낮을수록 길거나 무겁게 나타났으며 종실수량은 연차간 모두 15 cm처리구에서 265 kg·10a-1, 253 kg·10a-1으로 수량구성요소에서 높은 값을 보인 20㎝처리구 보다 10.0, 15.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조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식밀도 및 PE 멀칭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PE 멀칭에 따른 간장에서 1년차 및 2년차 모두 PE 멀칭구에서 137 cm, 145 cm 길게 나타났으며 지상부생체중에서도 PE 멀칭구에서 높은 유의성을 보이며 무겁게 나타났다. 간경에서는 7.59 mm로 2년차 무멀칭구에서 굵게 나타났다. 2.재식밀도에 따른 간장은 재식밀도가 가장 높은 5 cm처리구에서 130 cm 가장 길었으며 10 cm처리구 > 15 cm처리구 순으로 나타났으나, 간경에서는 간장과 반대로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굵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생체중은 10 cm처리구에서 1443, 2263 kg․10a-1으로 높은 값이 나타났다.3.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이삭장, 종실중 및 천립중 연차간 모두 PE 멀칭구에서 길거나 무겁게 나타났으며 유의성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식밀도에서는 이삭장 및 이삭당 종실중에서 재식밀도 낮을수록 길거나 무겁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량에서는 연차간 모두 10 cm처리구에서 298 kg 10a-1, 436 kg 10a-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plant growth and yield of Panax ginseng C. A. Meyer. Sowing den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yield. The value of roots have affected by shape, color, weight and degree of disease injury in ginseng. Also, it needed to minimize elapsed time for 5 years including pre-planting field management and cultivation period. We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at planting densities and varieties on the growth, yield and missing rate. The direct sowing was treated seeds density as a four levels (seeds; 72, 90, 120, 144) and 10 different varieties with 3 years old ginseng roots. Root weigh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and variety, but the number of lateral root and yield were affected by only planting density. Growth index was related to variety and planting density. Also, Root shape index was affected by both varieties and planting densities. Suitable planting density and variety were 120 plant per 1.62 m2 and Gopoong,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it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p=5%) in variety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1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년수 및 재식거리에 따른 삼백초의 생산성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40×5 cm 등 6처리를 두어 2002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경엽 생육중 초장은 1년생은 소식할수록 좋았으나, 2년생은 재식거리 40×10 cm, 3년생은 40×20 cm에서 가장 좋았으며, 분얼수는 1, 2, 3년생 모두 밀식할수록 많았고, 근경생육은 1, 2년생은 밀식할수록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3년생은 40×20 cm에서 가장 좋았다. 나. 상품 경엽수량은 1년생은 재식거리 40×5 cm, 2년생 40×10 cm, 3년생 40×20 cm, 1~2년 누적수량 40×10 cm, 1~3년 누적수량 40×10, 20 cm에서 가장 많았다.
        1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 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 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 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2~textrmO5 -~textrmK2~textrmO )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 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 =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 =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1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 노지에서 식용 풋옥수수 2기작 적정 재식 거리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까지부터 1998년까지 2년간에 걸쳐 풋옥수수로 적합한 찰옥 2호를 7월 10일 파종하였다. 재식 밀도는 ha당 55.5천본, 66.6천본, 83.3천본, 111.1천본으로 달리하여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반응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재식밀도가 ha당 55.5천본일때 평균 154cm이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할 수록 커져 111.1천본에서는 168cm로 컸다. 또한 착수고와 중심고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도복은 없었다. 2. 출사기에 조사한 단위면적당 건물중은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고, 엽면적지수도 건물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2기작에서 출사기는 재식밀도간에 차이가 없이 8월 27일로 동일하였다. 4. 이삭길이와 이삭폭은 재식밀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착립장은 가장 밀식인 ha당 111.1 천본에서 짧았다. 이삭수는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나, 이삭중은 ha당 83.3천본에서 2개년 평균 11.2 MT으로 가장 무거워 적정 재식밀도는 약 80천본으로 추정되었다
        16.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황금의 직파재배시 재식밀도가 생육과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적정 재식거리를 확립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밀식일수록 크고,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초장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경직경과 분지수는 소식일수 크고 밀식일수록 적었다. 3. 수량구성요소인 주당 근장과 건근중은 재식주수가 많을수록 감소되어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0a당 건근중은 재식주수가 많은 밀식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4. 품질은 밀식에서는 1개 건근중이 가벼워 상품비율이 낮았으나, 소식에서는 1개 건근중이 무거워 상품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30 10cm(33주/m2 )가 상품비율이 높고 1개 건근중도 무거워 알맞은 재식거리로 사료된다.
        17.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이앙의 생력화를 위한 소식을 함으로써, 수도의 종내경합에 의한 수량감소를 막고, 시비로 증수가능성이 큰 초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공시한 3개 초형의 동질유전자 계통은 Open-type, Spread-type 및 Broom-type 이었으며, 이들을 m2 당 47.62, 22.22, 15.15, 11.11, 8.33주로 이앙하고, 시비는 N-P2 O5-K2 O=15.0-7.0-8.0kg/10a를 표준으로 한 0, 0.5, 1.0, 1.5 배비로 하였다. 시험결과, 1. 소식에 따른 출수지연은 종내경합정도에 비례하여서 다비할수록 약화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 Spread→ Open-type의 순이었다. 2. 잡초와의 종간경합은 소식.다비로 증대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type에서 특히 다연생잡초종에 의한 경합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시비량증대에 따라 천립중을 제외한 면적당수수.수당영화수.등숙률은 3초형 모두 증대경향을 나타냈으나 재식밀도에 따른 반응은 면적당수수만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4. 수량성은 Open-type과 Spread-type의 경우, 이앙밀도와 정상관을 보인 반면에 Broom-type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5. m2 당 이앙밀도를 15, 11, 8주로 낮추었을 때, Open-type은 각각 1.12, 1.21 및 1.28배비로써 그리고 Broom-type은 각각 1.22, 1.35, 1.4배비로써 Open-type 표준수량의 보상이 가능하였다.다.
        18.
        198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품종 "밀양 23호"를 공시하여 이앙밀도를 달리하면서 재배중의 작업단계별 노동요구도와 수도수량성 및 노동생산성의 변동특성을 조사하였다. 노동요구시간 자체는 표준밀도(22.22주/m2 )에서10a당 144시간을 소요하였으나 m2 당 밀도를 15.15, 11.11, 8.33주로 감소시킴에 따라 각각 129.116.104시간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표준에 대비하여 각각10, 20, 28%의 시간절감이 되었으며, 이앙작업 자체만의 시간에서는 각각 28, 39, 61%의 절감이 가능하였다. 수도수량성에 있어서는 소식에 따른 수량저하를 감소화하고, 보완효과의 최대화를 전제로 하여 m2 당12주까지의 일차적인 밀도감소의 한계목표을 설정할 수 있었다. 노동생산성에 있어서는 m2 당 11주까지의 소식화로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종합적 결론을 위하여 품종.시비 및 밀도간의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추후의 연구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것으로 판단되었다.
        19.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암거배수구에서는 최고분얼기이후 1일의 32mm 수직배수 실시로 인한 양분용탈현상으로 초기 생육은 다소 부진한 경향이였으나 배수실시 15~20일후부터는 배수효과로 후기 생육 증대를 보였다. 2. 최고분얼기가 배거배수 처리구는 7월 9일, 무배수처리구는 7월 15일로 무배수가 약 1주일간 늦어 지발분얼로 인한 유효경비율저하를 초래하였다. 3. 영화수는 암거배수구보다 무배수구가 높았고 암거배수구무배수구 모두 다비밀식일수록 증가경향이였다. 4. 수도의 고위다수확을 위한 수수는 400/m2 이상 영화수는 4만립/m2 이상을 확보해야 된다면 암거배수시설을 할 경우 시비량 N25kg/10a 이상 재식밀도 100 /3.3m2 이상의 다비밀식 재식법도 고려해 볼만하겠다. 5. 평균 일수영화수와 출수기의 엽면적지수와는 암거배수 모두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인정되였다. 6. 배수조건별간경엽중의 무기성분함량을 보면 N,K은 최고분얼기를 극대로 출수기 성숙기 이후는 계속감소하였고 무배수구가 암거배수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며 Ca은 최고분얼기 이후 다소 증가하였고 그 이후는 거의 일정치을 유지하였으며 Mg은 암거배수구가 무배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N와는 대조적이었다. 7.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NAR은 암거배수구가 월등히 높았고 밀식일수록 증가 경향이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무배수구가 높고 다비일수록 증가경향에었다. 8. 근중은 암거배수 처리에서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배수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심층의 뿌리 분포량도 무배수구보다. 암거배수구가 많은 경향이였다. 9. 뿌리의 α -Na산화력은 암거배수구가 각처리 모두 높았고 일정면적당 근활력은 다비밀식일수륵 증가경향이었으며 무배수구에서는 N20kg과 80주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10. 뿌리의 α -Na산화력과 등숙비율은, 암, 무배수구 모두 고도의 정상관 관계가 인정되였고 수량 및 순동화율과는 암거배수구에서 만 정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 11. 이상의 결과 10α 당 수양은 암거배수구가 무배수구보다 배수조건별간에는 21%증수, 시비량간에는 15kg, 처리에서는 2%, 20kg처리에서는 7%, 25kg 처리에서는 20%의 높은 증수율을 보였고 재식밀도간에는 암거배수구가 60주 처리에서는 5%, 80주처리에서는 4%, 10주처리에서는 15%의 증수율을 보였다.
        20.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남지방의 습답수도작개량을 목적으로 지하배수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암거를 설치하고 시비량은 다비, 보비, 다비구를, 재식밀도는 소식, 표준, 밀식구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수처리는 하므로서 출수기와 성숙기의 지상부 건물중은 수량과 유의적 정상관을 보였다. 2. 배수구에서 등숙기간 엽신중 질소함량의 감소량과 수량과는 r=0.696* 의 정상관을 보였으나 흡수질소량의 감소랴오가 수량과는 Y=220.7+200.7x-35.3x2 의 이차회귀를 보였다. 3. 주당근수는 무배수구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배수구에서는 재식밀도증가에 따라 주당근수의 감소는 현저하였다. 4. 근태, 근장, 근모의 형성등은 배수구에서 월등히 증가하였으며 아울러 주당근중이 무거웠다. 5. 뿌리의 활력은 소비구의 상우근을 제외하고는 배수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6. 배수처리는 등숙율과 천립증가에 특히 유효하였다. 7. 수량은 무배수구에 비하여 배수구에서 소비소식구는 1~4%의 감수를 보였으나 그 외 모든 처리는 3~13%의 증수를 보였는데 그 효과는 시비량의 증가보다 재식밀도증가에서 더 현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