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thesis examines Endo Shusaku’s most representative work of his later years, Deep River, in light of the aspects of evil and its progression towards redemption.The aspects of evil in this work are primarily manifested by the female character, Mitsuko. Her seduction of Otsu at college which leads to the loss of Otsu’s virginal purity depicts the evil that Sade conceptualized as the physical degeneration of godly purity and order. The interior of and the goddesses engraved in the Bhagabati Mandir Temple that Mitsuko wanders into during her trip to India are presented as internalized evil and its extreme opposite, reproduction. Mitsuko’s depiction in her hotel room as being apart from the other travelers is an illusion to Francois Mauriac’s Thérèse Desqueyroux, in which Thérèse chooses not to save Jesus when she is confined in Argelouse.Ultimately, Mitsuko’s evilness is brought to redemption through transmigration. At one point, Misuko makes a comment to Isobe, who has come to India in search for his wife’s transmigrated daughter. She notes that Isobe’s wife has transmigrated in his heart which reveals Endo’s supposition that the inner world of someone who has affected another is revived within that other person’s world rather than in the physical world. At the end of the story, Otsu’s sacrificial death under a false charge is predictable, being a projection of Jesus’s crucifixion. With the redemption of evil in Mitsuko, Endo emphasizes redemption through the absorption of concepts and love into an individual person’s inner world rather than through the practice of institutionalized religions or doctr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ea in Heuksan written by Kim Hoon. In Heuksan, Kim Hoon took notice of the existence of Jung Yak-jun which barely remains from hopelessness and loneliness with all things rooted out. In this novel, we can meet the sea while following such a life of Jung Yak-jun. To Kim Hoon, the sea is not a romantic object of admiration or ideal, but something reduced into material. When the protagonist consists in his outer world, not in his inner one, the sea reduced phenomenologically lies as a solemn reality. This reality is impossible to transcend. The phenomenogical world view and aim of the writer go with noticeable narrative flow penetrating the text.In Heuksan,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of the ‘sea’ accompanies the signifier ‘time.’ With the ‘sea,’ ‘time’ is reduced to the time not stained with its trace. The sea is not only an outside of the inner side in which an individual maintains his identity continually, but also an outside of history in which a social group preserves its collective memory. This sea is fearful as well as boundless. The main motive of Jung Yak-jun’s behavior in Heuksan-do can be explained by such boundlessness and fear. The prospect of this study is that the future of sea story crossing in a moral way, not sinking into the sea of fear and pity, can be a future of Kim Hoon’s literature.
Lee Seung Woo persistently offers novelistic inquiries about what is God. His novels have consistently addressed this issue, and the main theme through all his novels has been the absence of father. From his earliest books until the book published in 2009, Hannaje Siseon(Mid-day’s Gaze), fathers have been portrayed as either castrated and ostracized or sadistic and pessimistic. In his literary works, protagonists could not resolve the Oedipus complex. In Hannaje Siseon, however, the protagonist resolved the complex. This change in his approach toward the Oedipus complex brings up the need to interpret Hannaje Siseon based on psychoanalytical theo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Hannaje Siseon as a story about the Real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The resolution of the Oedipus complex is deeply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ego-identity, and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could be understood as the story of the self facing the real.This paper mainl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the paper analyzes the cause of internal depression the protagonist suffers. The cause is related to the absence of father, but the protagonist’s realization of the cause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restoration of ego-identity. Second, Father archetype, which unsettles the protagonist, will be analyzed. Third, the metaphor about the name-of-the-father will be analyzed to see how the self enters into the symbolic. Fourth, the process of the self interacting with the real will be analyzed by looking at the act of killing father in the protagonist’s illusion. The analysis on Hannaje Siseon indicates that Lee Seung Woo intends to show the process of the self finding the subject in the cultural context where father is absent. In other words, he shows the way of resolving the Oedipus complex to reach the real.
One of the distinguished literary critics in the 20th century Northrop Frye is fully qualified to be remembered and positively reevaluated in the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However, his literary world has not been adequately studied by Korean scholars and literary critic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his literary world and examine it with the perspective of literary-biblical scholarship. The archetypal criticism has been regarded as his peculiar method for combining myth with proclamation(kerygma). According to him, the Bible is literature wearing the cloth of a sufficient metaphor. And in the Bible there are various mythic stories built in metaphor. In many cases myth reveals its own meaning in a form of typology. Typology is a manner of combination between archetype and antitype. The Old Testament is combined by typology with the New Testament. Frye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myth in the Bible in the atmosphere of depreciation of myth in the field of biblical studies, which was initiated by the biblical scholar R. Bultmann. His schematic framework stands on the arche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rye constantly negotiates Christian typology and mythic archetype. Also he enriches typology with patterns drawn from comparative anthropology. His archetypological interpretation surely widens our eyes to see the mythic wholeness and unity of the Bible. Of course there has been some criticisms of his insights and method. That is, his reading of the Bible through the archetypology revives a form of Christian supersessionism that detaches the Hebrew Scriptures from the shifting complications of their particular realizations. However, his academic achievements cannot be depreciated by few problems. As he quotes Bruno’s saying(Est aliquid prodisse tenus) in the introduction of the Great Code, it is great that he preced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In the Harry Potter Series, the magical power wizards and witches pursue avails its potential for the everlasting dream of eternal life as we used to see in religion. The dream comes true where magic makes it real as wizards desire to. Voldemort, Dumbledore, and Harry are described once as such. Voldemort tries to use magic to live eternally with the legendary philosopher’s stone as we have long known in alchemy, including ‘seven horcruxes’ into which Voldemort stores part of his soul to incarnate whenever he wants to. Dumbledore has the same dream with the three ‘deathly hallows’ he once possesses on his own; he finally changes his mind after he observes the death of his mother and sister. A prophecy reveals Harry as the Chosen One who defeats Voldemort, freeing the world from prevailing evil power; he rises after he willingly dies at the end of the story, just as Jesus Christ did.Religious significance in magic and the occult, including alchemy, astrology, clairvoyance, numerology, is seen in that Harry Potter puts together a vision of Christianity in the world of magic. In the story, magical power makes the vision possible on material basis, seemingly in religious significance, freeing body and spirit by sublime love in family, friends, and then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story, courage, sacrifice, forgiveness, love, friendship, fellowship, and freedom in body and spirit appear to be Christian virtues even in terms of the magical power Harry uses throughout the whole story in which evils are finally defeated and goods are raised.
이 논문은 출처와 장르, 시대와 정서에 있어 상호 유사성이 희박한 『베오울프』, 『거나의 딸』, 『장미의 이름』이란 세 개의 독특한 문학작품 속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요소를 도출하여 중세기독교의 모습을 그리려는 시도이다. 비록 유사성은 희박하지만 이 세 작품은 이교도의 시대에서 기독교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형태로부터 서양의 종교로 자리매김하여 완성된 형태에 이르는 다양한 중세기독교의 모습을 보여준다. 중세 초기가 게르만 문화에 깊이 뿌리를 둔 영웅 중심의 이교도 사상의 잔재를 드러낸다면, 시대가 흐르면서 중세는 신학적, 교리적 정통성을 고수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논쟁에 휩싸이는 기독교 중심의 철저한 종교적 시대로 변해간다. 이런 중세기독교의 특징은 이들 세 작품 속에 독특한 방식으로 나타나면서, 그 시대를 살아가는 전사, 여성, 혹은 수도사의 삶이 기독교 신앙에 의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는지를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이 논문은 고대영어로 쓰여진 남성 중심의 서사시 『베오울프』를 대표적 중세작품으로 놓고, 14세기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현대 역사소설 『거나의 딸』을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비교 분석하여 문학에 나타나는 이교도와 기독교 사상의 혼합을 증명한다. 한편, 14세기 이탈리아의 수도원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역사추리소설 『장미의 이름』은 중세기독교 세계에서 진리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진리는 마지막 장면이 암시하듯, 불에 타다 남은 조각처럼 의미 없는 잿더미에 불과하다. 이 소설에서 진리란 인간이 감히 도달할 수 없는 하나님의 무한한 전능함이 만들어내는 유희임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런 중세적 특징들로 점철된 당시를 대표하는 오리지널 작품과 그것을 모방한 현대 문학이 어떻게 우리에게 중세기독교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본 논문의 출발은 남북전쟁 기간 휘트먼의 병원 체험이 시인 자신은 물론 분열된 미국을 치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조명하는데 있다. “남과 북은 가장 중요한 하나의 거대한 병원이었다”(North and South was one vast central hospital)라는 휘트먼의 언급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 전쟁의 진실을 가장 잘 드러내는 병원 풍경은 시인의 상상력의 정수로 자리 잡고 있었다. 무엇보다 휘트먼의 병원 체험은 그의 삶을 통해 “가장 중요한 교훈”이 되었다. 여러 병원에서 자원 간호사로 활동했던 그의 경험은 『북소리』(Drum-Taps), 『전쟁 기간의 비망록』(Memoranda During the War) 등에 수록된 많은 시와 산문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 작품을 통해 휘트먼은 여성적이며 동시에 모성적인 속성과 긴밀히 연관된 시인-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상처를 치료하는 자」(“The Wound-Dresser”)라는 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시인은 부상병들을 치유하는 “어루만지는 자석 같은 손길”(magnetic touch of hands)을 지닌 중년의 여성 간호사야말로 군병원에 가장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그 만의 독특한 시선을 통해 역설한다. 고통으로 신음하는 부상병들로 가득한 병원의 풍경은 휘트먼에게 일평생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휘트먼은 “단순한 병원 스케치를 뛰어 넘는 어떤 것”을 담아낸 작품을 씀으로써 우리에게 전쟁의 진실을 왜곡 없이 전하고자 했다. 이는 “간호는 내게 종교였다”라는 그의 언급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중요한 점은 고통스러운 병원 체험을 집약하고 있는 ‘경련’(convulsiveness)이란 단어는 그의 심리적 상처, 곧 트라우마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시인은 ‘경련’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야 말로 반복되는 고통의 기억과 꿈으로부터 개인적이고 동시에 집단적인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해 “언어적 이야기의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외상 기억과 외상성 꿈은 대개 “생생한 감각과 이미지”의 형상으로 재현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휘트먼의 「오래 전의 전쟁—꿈」(“Old War-Dreams”), 「포병의 환상」(“The Artilleryman’s Vision”), 『표본이 되는 날들』(Specimen Days)의 여러 전쟁 섹션 등의 시와 산문은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렇듯 ‘경련’에 대한 글쓰기는 궁극적으로 시인에게 내재한 종교적 의미를 일깨움으로써 “진정한 앙상블과 미국의 규모에 대한 그의 가장 열렬한 시각”을 낳게 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근대 여성 문학사에서 ‘여성 작가 1세대,’ ‘여류 문인 1기’로 불리는 나혜석의 문학을 기독교와의 연관 아래 다시 읽고, 그 관련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데 있다. 여성의 자아와 타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나아가 인생과 세계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 기독교 신앙심과 기독교 정신(윤리)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나혜석의 대표적 자전적 작품인 「경희」에서 여주인공 경희는 ‘하느님의 딸’로 자신을 새롭게 인식하고 인간으로서 자기 자신을 정립한다. 또한 「회생한 손녀에게」에서 할머니는 하느님의 복음을 몸소 구현하는 신앙적 인물이다. 이때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이들 여성 주인공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고양된 ‘종교적 정신성’에 있다. 기독교적 신앙심에서 발원된 자기에 대한 긍정적, 주체적 인식과 그에 상응하는 고양된 정신 상태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 더 나아가 삶과 미래에 대한 무한한 신념과 열정을 생성하였다. 여성 주인공들의 이러한 태도와 심리는 기독교 신앙심과 연동되어 나타난다. 경희는 “자기 자신을 조선 사회의 한 여자보다 먼저 우주 전 인류의 여성”으로 자각하면서 “전 인류에 대한 깊은 사랑과 애착심”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신념과 열정은 그의 문학과 삶에 드러나는 “개척자로서의 여성 정체성”과 맞물려 있다. 나혜석 문학에서 기독교는 전통적 가부장적 구조와 유교적 이념 속에서 종속적이며, 수동적인, 억압적인 삶을 살았던 당시 조선 여성들이 독립적이며 주체적인 인간으로 거듭나 새로운 삶을 추동하도록 하는 내적인 힘이었다.나혜석의 초기 문학에서 기독교는 단순히 개인의 영적 구원을 위한 신앙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녀는 조선 여성의 삶과 현실의 문제에 기독교를 부단히 연계하면서, 그 정신과 윤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실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