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

        8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중 유기물 함량 차이에 따른 토양내에서 carbofuran과 ethoprophos의 약효 변화, 수직 이동성 및 잔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을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두 약제 모구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약효는 감소였다. 약제의 수직이동성은 토양 표면에서 0~2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 층에서는 두 약제의 방제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에 따라 10~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는 0.4% 유기물 토양에서만 약 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유기물 토양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4cm 이하의 토양에서는 carbofuran은 대부분의 토야에서 5~20%의 내외의 약효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 두 약제 중에서 토양중 이동성은 carbofuran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은 두 약제의 잔효지속기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효지속기간이 감소하였다. 약효의 반감기는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 0.4%인 토양에서는 2~3주로 나타났으나, 0.8%, 1.6% 토양에서는 1주 정도였다. 한편, ethoprophos의 경우 0.4%, 0.8%의 토양에서는 3~4주, 1.6%인 토양에서는 1~2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약제 모두 3.2%의 유기물함량 토양에서 약제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8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중가온시설을 이용한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Chitwood) 방제를 위하여 지하 20cm 깊이의 최저지온을 각각 30. 40, 50℃ 가온구 및 관행의 무지중가온구로 설정하고 담수구와 무담수구로 나누어 8월 1일부터 8월 5일까지 5일간 가온한 결과, 담수구의 경우 지온 40℃에서 5일간, 무담수구의경우 지온 50℃에 5일간 지중가온처리한 구에서 생존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아 선충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중가온으로 토양내 OM. P2 O5, Ca, Mg함량과 EC는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감소하였는데, 특히 담수처리에서 EC가 현저히 저하하였다
        4,000원
        8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색고구마 분말을 0∼5%를 첨가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요구르트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색고구마첨가에 의해 산도, 당도, 유산균수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요구르트의 색택은 자색고구마 첨가량이 많을수록 lightness와 yellowness는 감소되고 redness는 증가하면서 점도는 크게 상승하였다. 요구르트의 관능성을 보면 조직감과 색은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양호했으며 맛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색고구마 3∼4%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3,000원
        84.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시약에 의한 고구마 β-아밀라아제의 안정화 작용을 검토하였다. 0.04% bovine serum albumin, Triton X-100, 2-mercaptoethanol 등은 고구마 β-아밀라아제를 안정화시켰다. 그 중 bovine serum albumin의 안정화 작용이 가장 강하였다. 또, 반응용액을 탈기하면 고구마 β-아밀라아제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알칼리 pH에서 글리세롤은 농도가 높을수록 효소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그래서 pH 11, 37℃에서 15시간 후 글리세롤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0%, 20% 글리세롤에서는 25%, 40% 글리세롤에서는 50%의 활성이 남았다. SDS는 효소를 저해하였고, 2-mercaptoethanol과 dithiothreitol은 안정화시켰다.
        4,000원
        85.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구마 β-아밀라아제를 아세톤 분별침전, DEAE Sephadex A-50, Sephadex G-200으로 정제하였다. 정제효소의 열안정성은 효소농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pH 5, 65℃에서 1시간반 후, 효소농도 30㎍/ml 이하에서는 실활하였지만, 100㎍/ml에서는 25%의 활성이 남았다. 정제효소는 pH 4∼10 범위에서 안정하였고, 글리세롤은 pH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NaCl은 pH 4.8, 0.5M 농도에서 효소활성을 100% 저해하였다. SDS는 pH 5, 37℃에서 12시간 반응시킨 결과 0.05% 농도에서 효소활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염산구아니딘은 pH 5, 37℃에서 13시간 반응시킨 결과 1M 농도에서, 우레아는 8M농도에서 효소활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4,000원
        87.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weet potato β-amylase is a tetrameric enzyme consisting of four identical polypeptide chain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6×10 exp (4), though most of the other β-amylases are monomeric enzym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unit structure and catalytic function of the enzyme is not known. This study was done to know what the function of the subunit structure of the enzyme is. We obtained the monomer from the enzyme by the treatment of SDS, alkali pH buffer and urea. But the monomer had not activity. We tried to prepare the active monomer from the enzyme by the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In the result, we succeeded in isolating an active monomer as an oxidized soluble starch-conjugated form. The active monomer had 57% of the original activity, 13.2% of the sugar and the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6.4×10 exp (4).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tetrameric form of the enzyme is a most stable one and exists in nature, and the subunit structure of the enzy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bilization but not catalytic function.
        4,000원
        88.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ngwonmi’, a new sweetpotato variety, was developed for table use by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4.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Benisatsuma’ and ‘Luby3074’ in 2006. The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were performed from 2007 to 2009, and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from 2010 to 2011.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at five locations from 2012 to 2014, and it was named as ‘Pungwonmi’. This variety has cordate leaf shape, and its leaves, stems, nodes, and petioles are green. Storage root of ‘Pungwonmi’ has an elliptical shape, red skin, and light orange flesh. ‘Pungwonmi’ was moderately resistant to fusarium wilt, and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 Dry matter content was 31.2%, and texture of steamed storage root was intermediate. Total sugar content of raw and steamed storage roots of ‘Pungwonmi’ was higher than that of ‘Yulmi’. β-carotene content of ‘Pungwonmi’ was 9.1 mg/100g DW. Yield of marketable storage root over 50 g of ‘Pungwonmi’ was 24.3 MT/ha under the early season culture, which was 46% higher than that of ‘Yulmi’. The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s per plant was 2.8 and the average weight of marketable storage root was 156 g under the optimal and late season culture.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of ‘Pungwonmi’ was 24.1 MT/ha under the optimum and late season culture, which was 26% higher than that of ‘Yulmi’. (Registration No. 6428).
        9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was conducted to identify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cultivars showing high yield and processing suitability in the Jeonbuk region of Korea. Shoot-slips (30 cm in length) of 14 cultivars were planted with a planting density of 75×25 cm on May 30, and cultivated with black film mulching. Vine elongation at 30 days after plant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 90 cm) in ‘Dahomi’ and ‘Sinhwangmi’, and was excellent (> 250 cm) 120 days after planting in ‘Sinhwangmi’, ‘Shinyulmi’, ‘Daeyumi’, ‘Jinhongmi’, and ‘Yeonhwangmi’. The branch number per plant showed a dramatic increase in ‘Shinzami’ 30 and 120 days after planting. The leaf number per plan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Shinzami’ 30 days and in ‘Sinhwangmi’ 120 days after planting. Total weight, mean weight, and number of marketable tubers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higher 150 days after planting than that 120 days after planting. Marketable tuber yield at 120 days was high, over 2.5 ton/10a in ‘Daeyumi’, ‘Dahomi’, and ‘Jeonmi’, and was considerably increased, from 3.2 ton/10a to 3.5 ton/10a, 150 days after planting. Total weight of marketable tubers per plant and marketable tuber yield 120 and 150 days after plan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vine length and number of nodes 30 days after planting. Starch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150 days after planting than that 120 days after planting. ‘Daeyumi’ and ‘Jeonmi’ had good growth vigor, high yield, and high starch content; ‘Dahomi’ also exhibited beneficial traits such as good growth vigor, high yield, and bright orange-colored flesh.
        91.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호박고구마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식품가공용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을 분무건조한 다음 물리화학적 특성 및 소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불용성 식이섬유, 수용성 식이섬유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4.17%, 2.07% 및 6.24% 이었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분무건조분말 제조는 펙틴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전분함량은 1.68-2.46 및 45.32-46.51%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L 값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이 37.17-42.32 μm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7.79 μ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작은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에 펙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굴곡이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1.74-1.91로 동결건조 분말 2.15에 비해 낮은 수분흡수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80.75-87.61%로 동결건조 분말(70.47%)보다 높게 나타났다. 장 상피세포 부착능은 분무건조 분말에서 2.66-6.18%를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1.79%에 비해 높은 부착능을 나타내 장 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분무건조 분말의 인체 내 소화 모델에서, 펙틴 1% 첨가 분말은 최종적으로 장액에서 70.09%의 소화율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23%에 비해 인체내에서의 높은 소화율이 기대되었다. 따라서 분무건조 분말 제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되고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서 소화가 개선된 식품가공용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92.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된장 담금시 소맥분의 일부를 고구마로 대체하여 고구마가 된장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효모수는 발효 4주 이후에 감소하였고, 호기성 세균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다. Amylase 활성은 발효 8주 이후에 증가하였고, 발효 중에 산성 protease는 감소하였으나 중성 protease는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색도는 발효중 L 값과 b 값은 저하하였으나 a 값은 증가하였다. 된장의 pH는 발효 10주까지 저하하였고 적정산도는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다. 산가는 밤고구마 혼합 된장에서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된장의 수분활성도와 산화환원전위는 저하되었으나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은 발효 2-6주 이후에 감소하여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고, 알코올은 2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과 암모니아성 질소는 발효 중에 증가되어 각각 10주와 12주에 최고에 달했다. 12주 발효된 된장의 기호도는 맛과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밤고구마 8% 혼합구가 대조구나 호박고구마 혼합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양호하였다(p<0.05).
        9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obtain basic data on the effects of differences cultivation periods and method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weet potato tuber. We investigated growth and development of six major cultivars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dry type(Yulmi, YM; Jinhongmi, JHM), intermediate type(Pungwonmi, PWM; Hogammi, HGM), and purple type(Sinjami, SJM; Danjami, DJM). The average tuber weight of YM and JHM was 4.1 and 8.6 g respectively, 50 days after transplant. At 80 days, the weight of YM and JHM rapidly increased to 25.2 and 26.1 g, respectively. Finally, at 120 days, the weight of YM and JHM increased to 120.7 and 79.4 g, respectively. The average tuber weight of PWM and HGM was 13 and 3.3 g, respectively, 50 days after transplant. The development pattern of PWM showed a consistent increase in tuber weight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an average weight of 104.2 g at 120 days. However, the tuber development pattern of HGM was different from that of PWM. The average tuber weight of HGM rapidly increased for 100 days after transplant and then showed no increase at 120 days. In case of purple type sweet potato, the average tuber weight of SJM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hereas DJM showed rapid increase in average tuber weight at 80 days after transplant. Korean consumers prefer small, round sweet potato approximately 100g in weight. Based on the results, YM, PWM and SJM are classified as early developing cultivars that can be harvested approximately 120 days after transplant. On the other hand, JHM, HGM, and DJM are classified as late developing cultivars that can be harvested approximately 130 days after transplant.
        9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onpungmi is a new sweetpotato variety developed by Bioenergy Crop Research lnstitute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at RDA for table use in 2008. This variety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Mokpo34 and Southern Queen. Two parents, Mokpo34 and Southern Queen, were crossed in 2002. Selection of elite line was performed for 2 years from 2003 to 2004.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from 2004 to 2005.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at six locations from 2006 to 2008. Geonpungmi has cordate leaf, greenish purple vine and petiole, elliptic storage root, dark purple skin and yellow flesh color of storage root. This variety is resistant to fusarium wilt and nematode. The starch value and total sugar content were 25.8% and 5.82%, respectively. Pasting temperature of starch in Geonpungmi was 74.7°C, and the retrogradation process is earlier than Yulmi. The average yield of storage root is 19.8 ton/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which is 3% lower than that of Yulmi. The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s per plant was 2.6 and the average weight of one storage root was 154 g.
        9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onhwangmi’, a new sweetpotato variety, was developed for table use by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and RDA in 2013.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ingeonmi’ and ‘Mokpo34’ in 2005. The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were performed from 2006 to 2008,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from 2009 to 2010.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at five locations from 2011 to 2013, and it was named as ‘Geonhwangmi’. This variety has five-lobed leaf, and its leaves, stems, and petioles are green. Storage root of ‘Geonhwangmi’ has an elliptical shape, red skin, and light orange flesh. ‘Geonhwangmi’ was moderately resistant to fusarium wilt, and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 Dry matter content was 29.4%, and texture of steamed storage root was intermediate. Sucrose content of steamed storage root of ‘Geonhwangmi’ was higher than that of ‘Yulmi’, and steamed storage root palatability of ‘Geonhwangmi’ was better than that of ‘Yulmi’. β-carotene content of ‘Geonhwangmi’ was 3.4 mg/100g DW, which was 7.8% of ‘Juhwangmi’. Yield of marketable storage root over 50 g of ‘Geonhwangmi’ was 23.0 MT/ha under the early seasonal cultivation, which was 39% higher than that of ‘Yulmi’. The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s per plant was 2.6 and the average weight of marketable storage root was 151 g under the optimal and late seasonal cultivation.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of ‘Geonhwangmi’ was 24.2 MT/ha under the optimum and late seasonal cultivation, which was 45% higher than that of ‘Yulmi’. (Registration No. 5853).
        96.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chujang was prepared by replacement of rice (25%, control) with pumpkin or purple sweet potato by 0. 5, 10, and 15% (total addition ratio of rice and sweet potato=25% of sample). Effects of the addition of sweet potato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Kochujang were investigated. Viable cells of yeast decreased in the sweet potato-added Kochujang at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acteria among the test groups. As the addition ratio sweet potato increased, α-amylase activity increased while protease activity decreased. Hunter L, a, and b valu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urple sweet potato were lower than those with pumpkin sweet potato. Changes in ΔE value was greater in Kochujang prepared with pumpkin sweet potato than that with purple sweet potato.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and water activity were higher in sweet potato-Kochujang than control, but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r in control. Alcohol and amino-type nitrogen contents were higher in Kochujang prepared with pumpkin sweet potato than that with purple sweet potato, but it was not significant.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was highest in Kochujang prepared with 10% of purple sweet potato while that with 15% pumpkin sweet potato was the least preferred.
        9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mall-sized tuber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am.) is more preferred by Korean consumers, because it is convenient to eat with hands, and can easily be steamed or roasted in small pan as a healthy snack for a small family.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density plantings and harvesting times on production of smallsized tuber (50~200 g). Four varieties (‘Annobeny’, ‘Daeyumi’, ‘Shinzami’, and ‘Yeonhwangmi’) were planted in 2-row zigzag high-density planting (75×30 cm, A; 75×25 cm, B) and 1-row planting (75×25 cm, control) covered with black vinyl film on May 23th, 2014. Marketable yields and small-sized tuber yields were compared between 120- and 150-day harvesting. Vine length and fresh weight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row planting A and B plots compared to the control at 120 days after planting. Weight of tuber per plant, mean weight of tuber and number of tuber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20-day harvesting of A and B plots than in the control. Marketable yields per 10a were increased by 17% (2.4 ton‧10a -1 ) and 8% (2.6 ton‧10a -1 ) in 120-day harvesting of A and B plots compared to the control (2.4 ton‧10a -1 ), and those were largely increased by 29% (4.0 ton‧10a -1 ) and 26% (3.9 ton‧10a -1 ) in 150-day harvesting than in the control (3.1 ton‧10a -1 ). Proportions of small size tuber (50~200 g) were increased by about 65% in 150-day harvesting of A and B plots compared to the control (55.3%). Small-size tuber yield and marketable yield were highly increased in 150-day harvesting of 2-row zigzag high-density planting A (75×30 cm).
        98.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잎을 건조 채소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기 위해서 열풍건조한 고구마 잎 메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총 탄닌,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효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 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분석 비교 검토하였다. 총 탄닌 함량은 신미 40℃에서 10.87 mg/g, 70℃에서 7.28 mg/g으로 감소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하얀미 40℃에서 55.37 mg/g, 70℃에서 39.63 mg/g으로 감소되었다. 즉 저온건조가 고온건조보다 이들 물질의 함량이 많았다. DPPH 라디칼소 거 활성은 신미와 하얀미 40℃에서 84.33%와 85.25%로 가 장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도 40℃ 처리구에서 80% 가 넘는 높은 값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신미와 하얀미 가 40℃에서 76.15%와 73.74%로 가장 높았고 70℃에서는 낮았다. 품종 간에는 하얀미가 신미보다 페놀성 물질과 항 산화 물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조한 고구마 잎의 항산화 효과는 품종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40℃ 시료 에서 높고, 70℃ 시료에서 낮았다. 이는 건조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낮은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유효성 분의 감소가 적어 항산화 능력이 높은 결과이었다.
        9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호미’는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에서 2012년에 육성한 식용 고구마 품종으로 2005년에 ‘무안4호’를 모본으로, ‘진홍미’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 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계통선발시험과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여 괴근 수량성, 상품성, 식미가 우수한 MI2005-05-04 계통을 ‘목포80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한 결과, 괴근의 수량성, 상품성이 우수하고 식미가 양호하여 2012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다호미’라 명명하였다. ‘다호미’는 잎의 결각이 3개 내지 5개이고, 결각의 깊이는 보통이며 엽색, 잎자루색, 줄기색은 녹색이다. 괴근의 껍질색은 홍색, 육색은 담주황색이며 괴근 모양이 방추형으로 균일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다. ‘다호미’는 덩굴쪼김병에 강한 편이나 뿌리혹선충에는 저항성이 없다. ‘다호미’는 육질이 중간질이고 전분가는 20.9%으로 낮은 편이며 당도는 24.8 Brix°이고 총유리당은 생고구마가 9.7, 찐고구마가 32.0 g/100g (D.W.)으로 ‘율미’보다 높다. ‘다호미’는 조기재배시 상품괴근수량이 26.3 MT/ha으로 ‘율미’의 17.3 MT/ha보다 52% 증수되었다. 적기 및 만기재배시 상품괴근수량은 21.9 MT/ha으로 ‘율미’보다 35% 증수되었으며 주당상품괴근수는 2.8개/주, 상품괴근평균중은 138 g이다.
        100.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잘 이용되지 않는 고구마 잎을 열풍건조하여 이들의 건조속도와 수화복원력을 조사하고, 일반성분, lutein 과 β-carotene 및 색도 등을 분석 비교 검토하여 고구마 잎의 건조 채소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품종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증가해 70℃에서 건조속도가 가장 빠르며, 60℃, 50℃, 40℃ 순서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일반성분은 생엽에서 수분 87~88%로 많았으나 열풍건조 후 6~8% 이었다. 다른 일반성분은 온도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능성 성분인 lutein 함량은 신미 40℃에서 171.59 μg/g 많았으며, 하얀미 70℃에서 73.75 μg/g로 적었다. β-carotene 함량에서 신미가 40℃에서 379.59 μg/g 많고, 하얀미 70℃에서 170.78 μg/g로 적었다. 기능성 물질은 40℃에서 가장 많고 50℃, 60℃, 70℃ 순서로 함량이 감소되었다. 색도는 생잎과 건잎을 비교하였을 때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에서 색이 유지되었으며, 수화복원성에서도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에서 수화복원율이 각각 233.93%, 223.47%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건조 고구마 잎의 품질은 건조시간보다는 온도 영향이 컸으며 저온건조가 상품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