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6

        68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lettuce cultivar ‘Misun’ (Lactuca sativa L.) with wrinkled traverse narrow elliptic and deep red leaf, which has late bolting and high yield. It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Yeoreum Jeocgchima’ (deep red leaf color) and ‘Yeoreumdukseomjeokchukmyeon’ (high yield). The cross and selection for advanced lines had been done by the pedigree method from 2001 to 2008. The advanced lines were evaluated for yield and adaptability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Gangwon-do,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llabuk-do, Gyeongnam-do, and Jeju-do) from 2009 to 2011 year. The ‘Misun’ has gray seed color and traverse narrow elliptic leaves. The shelf-life of ‘Misun’ was four weeks longer than ‘Dukseomjeokchukmyeon’at 4℃. The anthocyanin content of ‘Misun’ (88.32 mg/100 g) was higher than that of ‘Dukseomjeokchukmyeon’(74.78 mg/100g). The BSL (latucin+8-deoxylactucin+lactucopicrin) content of ‘Misun’ (5.0 ug/g, DW) is lower than that of ‘Dukseomjeokchukmyeon’(12.0 ug/g, DW). Compared to ‘Dukseomjeokchukmyeon’, marketable yield of ‘Misun’(289 g per plant) was 11% higher than that of it, showed good yield in fall season cultivation and has particularly improved expression of red leaf color at high temperature cultivation in the field. Furthermore, its taste is better, more crispy, and sweeter than those of ‘Dukseomjeokchukmyeon’. Thus, this new cultivar ‘Misun’ can be suitable for cultivation in low temperature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season.
        68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조생종 벼 품종들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자포니카(Oryza sativa L. ssp. Japonica)의 조생 다수성 품종인 남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1024의 등숙기 고온내성을 비교 평가하여 등숙기 고온내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조생종 벼 품종들 중 대봉, 운광, 및 만안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1024가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중모1024는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와 너비가 감소하였으며, 현미 너비의 감소율이 현미 길이의 감소율에 비하여 평균 4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보다는 너비가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해 가장 문제가 되는 완전미율과 미숙립율을 공시품종들간 비교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중모1024, 태봉, 운광 및 만안이 고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적온에서 낮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이 상대적으로 고온에 의한 현미완전미율 감소율이 적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에 비해 낮았다. 또한,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고온내성이 양호한 중모1024는 고온에서도 좋은 쌀 외관품위와 안정적 수확성 향상을 위한 육종모재로서 유용형질을 교배를 통해 고품질 벼의 보완을 위해 이전할 수 있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68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2년도에 개발한 ‘Dream Prince’ 품종은 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Grand Pink’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Classy’ 품종을 부본(♂)으로 2009년에 교배하여 육성되었다. 2009년에 실생을 양성한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자연, 촉성, 억제작형별 1~3차 특성검정을 통해 개화특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GCS09-39-3(Gyeongkyo B1-19) 계통을 최종 선발하여 ‘Dream Prince’로 명명하였다. 2013년 1월 31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출원 2013-80)하고 2014년 3월 19일에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등록번호 제 4876호). ‘Dream Prince’ 품종은 진한 노란색 꽃잎을 가진 홑꽃형 스프레이 형태의 절화용 품종으로 개화 소요일수가 48일인 조기 개화성 품종이다. 착화수는 19.6개로 대비품종보다 2.8개 더 많이 피고, 꽃잎수는 29매로 대비품종에 비해 3.7매 많으며, 줄기 굵기는 7.4 mm로 대비품종에 비해 1.7 mm 굵어 튼튼하고, 절화장은 98.6 cm로 대비품종 84.7 cm에 비해 13.9 cm정도 자람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겨울철 전조재배와 여름철 차광재배에서도 특성이 균일하게 발현하여 주년재배가 가능하였다.
        68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mmer Red’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2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7년도에 화색이 밝은 적색인 스탠다드 장미 ‘Cardinal’을 종자친으로 하고 적색 대형 스탠다드 장미 ‘Fire Fox’를 화분친으로 교배하여 2008년도에 실생을 양성하였다.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54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10부터 2012년까지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GR07-106-27계통(GyeongGyo D1-33)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적색(RHS Color Chart Red Group 44B)이다.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다. 화폭은 12.3 cm이며 화고가 5.5 cm이고 꽃잎수는 46.7매이며 향기는 약한 편이다. 개화소요일수는 평균 51일이며 엽색은 녹색(RHS Color Chart Green Group 139A)이며 엽 광택은 중간이고 줄기의 가시 발생 정도는 적다. 흰가루병에 강한 편이고 년간 절화수량은 168.4 본/m2이고 절화장은 82.4 cm이며 줄기직경은 6.9 mm이고 절화중이 38.4 g이다. 엽수는 11.8매이며 절화수명은 11.1일이다.
        69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에 밝고 강건하며 다화성인 분홍색의 중형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에 밝은 분홍색 중형종 C. Lucky Rainbow ‘Randezvous’ 와 중형종 진분홍색계 Lucky Rainbow ‘Lapin Hot’ 품종을 교배하여 분홍색계 Cymbidium ‘Sky Pink’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Sky Pink’로 명명하였다. ‘Sky Pink’ 품종은 분홍색계(RHS, RP63C)이며, 1개 꽃대에 11.4개의 소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약 6.3 cm이다. 꽃모양은 꽃받침과 꽃잎이 안쪽으로 약간 오므라드는 둥근 모양이고 꽃대는 반직립성이며 식물체 크기는 중형이다. 꽃은 보통재배시1월 초순경부터 개화하는 중생종이며 잎형태는 꼬임이 적은 반직립성이고 꽃대의 길이는 53.0 cm이었다. ‘Sky Pink’ 품종의 개화 수명은 분화의 경우 약 60일정도이며(18~23℃) 절화할 경우, 18일로 양호하여 분화나 절화품종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69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옥수수 원연교잡은 타 방법에 비하여 반수체 밀 육성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외국에서는 밀 품종의 육종연한 단축 등을 위하여 많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밀 품종(계통)과 옥수수 품종을 이용한 반수체 밀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원연교잡에 사용하는 품종에 따른 반수체 생산 효율을 조사하였다. 자방친으로는 금강밀 등 총 5종의 품종과 5종의 F1계통을 사용하였고, 화분친으로는 강다옥 등 총 7종의 옥수수 품종을 사용하였다. 자방친으로 사용한 국산 밀 품종의 평균 종자 형성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75%, 19% 및 8.4%이었다.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3.7∼9.8%의 분포를 보였는데, 조경이 가장 높았다. 밀F1 계통 자방친의 평균적인 종자 형성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66%, 16% 및 6.6%이었다. 밀계통의 반수체 재분화율은 3∼10%의 분포를 보였으며 08WG074 계통이 가장 높았다. 한편, 7종의 옥수수 품종의 자방친(금강밀)에 대한 평균 종자 결실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78%, 18%, 9.6%이었다. 반수체 재분화율은 7.6∼12.9%의 분포를 보였으며, 광평옥이 가장 높았다. 밀×옥수수 원연교잡에서 종자 결실률과 배 형성률은 자방친과 화분친의 품종에 따라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형질의 품종간 차이는 자방친 품종보다는 화분친인 옥수수 품종 사이에서 더 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품종 중에서는 광평옥, 강다옥 및 강일옥 품종이 밀×옥수수 원연교잡의 화분친으로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69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형 조생 찰벼의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증진을 위하여 내도복 다수성 조생 찰벼인 상주찰벼 배경에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2, Xa3, xa5, Xa21을 도입한 저항성 계통을 여교배와 벼흰잎마름병 생물검정을 통해 육성하였고, 해당 저항성 유전자를 표지하는 DNA 분자 마커를 이용하여 저항성 유전자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우리나라 벼흰잎마름병 균계 네 개와 필리핀 11개 균계를 대상으로 저항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Xa2가 도입된 HR24465 계통은 우리나라 K1,K2 균계와 필리핀 race 9a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Xa3가 도입된 HR24666 계통은 우리나라 K3a와 필리핀 race 6을 제외하고 저항성 및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xa5가 도입된 HR24668과 HR24673은 필리핀 race 6을 제외하고 모두 저항성 반응을 나타냈으며 Xa21이 도입된 HR24669는 우리나라 K1 균계와 필리핀 race 10을 제외하고 저항성 및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육성된 계통들은 상주찰벼와 같이 조생이면서 찰벼였고 출수기와 수장, 수수, 정현비율 및 백미수량이 상주찰벼와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상주찰벼 배경에 Xa2, Xa3,xa5, Xa21이 도입된 저항성 계통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이 부족한 자포니카형 조생 찰벼의 저항성 강화를 위하여 유용한 육종소재로 활용될 것이다.
        69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the Strong Small Farm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ng farmers. The data that us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that targets 442 farming household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trong small farm development project. This study applies ordered-probit model to evaluate level of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is closely associated by satisfaction level of project contents that contains education and consulting,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project,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oject, and understanding of the project's contents and their importance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mplications of future upbringing policy for strong small farms and the principal point of the policy that leads to succeed in implementing the project when formulating agricultural policy in participants view. the strong small farms.
        694.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은 5000여년의 역사를 가진 文明古國이고 깊은 역사적 자원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의 여러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산업 측면에서는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 문화 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고,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한국, 일본 등 나라에 비해서도 큰 차이가 보인다. 현대사회에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화가 가진 힘은 막대하며 문화산업의 발전은 이미 각국의 글로벌 환경 중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요소가 되었다. 이를 뒤늦게 깨달은 중국정부도 21세기부터 문화산업을 중요시하기 시작 문화산업이 오늘날까지 발전해 오면서 이미 단일한 산업영역을 넘어 국민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많은 한계점이 존재하다. 문화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정책 환경을 필요할 것이다. 특히 창의적 환경을 조성하려면 개방적인 분위기의 조성과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는 정부의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도입을 필요할 것이다. 본고는 중국문화산업 발전하는 데에 필요한 창의적 환경을 양성하기 위해 현재 육성정책의 문제와 향후 정책과제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69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재배종인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들깨) 와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차조기)는 서로 변종의 관계로서 염색체가 2n = 40이며, 야생종으로는 Perilla citriodora, P. hirtella, P. setoyensis가 있으며 모두 2n = 20의 염색체를 가진다. 들깨의 표준유전체 해석을 위한 재료 로서 P. citriodora(YCPL450)를 선정하였다. YCPL450은 2005년 제주도에서 수집한 들깨 야생종으로 P. citriodora 로 분류되며, 염색체수는 들깨 재배종(2n=40)의 반인 2n=20으로 유전체 해석에 효율을 높이고자 선정하였다. 유전 지도작성용 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표준 유전체 재료인 P. citriodora와 P. hirtella를 교배하여 F1을 양성하였으며, SCAR marker를 이용하여 교배유무를 확인하였다. 표준유전체 및 비교유전체 분석을 위하여 재료의 순계화 양성 및 특성검정을 수행할 예정이며, 향기성분 및 진화론적 분류 탐색을 위한 집단을 양성할 것이다
        69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콩 91품종에 대하여 SSR마커를 이용하여 품종판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다형성이 높은 5개 의 Primer(Sat_043, Sat_036, Sat_022, Sat_088, Satt045)를 이용하여 5단계로 판별하였다. 5개마커의 총 대립인자수 는 64개이었고, 범위는 10-15개이었으며, 평균대립인자수는 12.8개이었다. 판별 1단계의 Sat_043으로 판별 하였을 때 육성품종 91품종 중에서 부석콩(172bp)의 1품종이 판별되었고, 판별 2단계의 Sat_036으로 판별하였을 때 호장 콩(90bp)등 34품종이, 3단계의 Sat_022로 단경콩(230bp)등 29품종이, 4단계의 Sat_088로신팔달콩(160bp)등 12품 종이, 5단계의 Satt_045로 새별콩(132bp) 등 6품종이 판별되었으며, 82품종이 판별되었다. 판별되지 않은 9품종은 형태적특성에 의하여 서로간에 판별되었다.
        69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매직스타’ 는 2009년 10월에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복색 홑꽃인 ‘Delmont(CFC0007)’를 모본, 초세가 좋고 흰녹병에 강한 복색 홑꽃 화형의 ‘Moulinrouge (CFC0063)’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획득한 571 개의 종자로부터 실생계통을 양성하여 착화성이 좋고 화형이 안정되며, 화색이 우수한 홑꽃 화형의 복색 (RP60A/Y8A) 스프레이국화 ‘DM10-99’를 개체 선발하였다. 삽목에 의해 개체증식 후 화훼연구소 비닐온실 내에 정식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에 걸쳐 1∼2차 생육특성검정을 통해 안정성, 균일성과 흰녹병 저항 성 등을 조사하였고, 2013년에는 계통번호 ‘경남CS-36호’를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을 수행해 안정성과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그리고 주년생산성(자연, 촉성, 억제재배) 및 품평회와 시장출하 등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기호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초세 강하면서도 화색이 좋아 소비자들의 기호성이 우수하며, 화색 및 화형 등 품질 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13년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심의회 심의를 거쳐 ‘매직스타’로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 하였다. 국화 ‘매직스타’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선명한 자주색(RP60A) 꽃잎 가장자 리 부분에 황색(Y8A) 테두리를 두른 복색 홑꽃 화형인 스프레이국화이다. 화형이 안정되고 화색이 우수하며, 생육 이 균일하고 동시개화 한다. 초장 115.3cm, 줄기 직경 6.5mm로 대조품종 113.5cm, 5.7mm 보다 약간 길고 굵으며, 꽃 크기는 7.1cm로 대조품종 보다 약간 작다. 꽃자루 길이는 8.4cm로 약간 길지만 견고하여 부러짐이 없고 설상화 의 주된 형태는 대조품종은 선단모양이 뾰족한 반면에 둥근 모양이며, 꽃잎 수는 37.1개로 많다. 평균 착화수는 11.3개로 대조품종 보다 1∼2개 많고 절화수명은 21.7일로 긴 편이며, 휴면에는 약하다. ‘매직스타’ 품종은 비닐하 우스 내에서 연중재배 할 수 있으며, 재배상 유의사항은 하계 고온기에는 화색 발현을 위해 한 낮엔 차광율 30% 정 도의 한랭사로 차광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고 환기도 충분히 해 주는 것이 좋다
        69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예스루비(Yes Ruby)’는 2010년 10월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고온기 화색발현이 우 수하고 고생장성인 스프레이국화 신품종 개발을 위해 연분홍색 홑꽃화형의 ‘보라미(Borami)’품종을 모본으로 하 고 자주색 홑꽃화형의 ‘예스라인(Yes Line)’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얻어진 500개의 종자를 2011년에 파종하였 고, 이중에서 성장 세력이 빠르고 화색이 선명한 320번째 개체를 선발하여 ‘SP11-148-01’으로 계통명을 부여하였 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2년까지 1, 2차 생육특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2013년 안 정성, 균일성 등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기호도가 4.21/5.0(n=90)로 높아 ‘예산SP-44호’로 명명 하였다. 201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예스루비(Yes Ruby)’로 명명하고 품 종등록 출원을 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구미시설공단 수출품종인 ‘킹피셔(Kingfisher)’ 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는 자주색(RP71A)의 화심이 녹색인 고생장형 절화용 스 프레이국 품종이다. 착화수는 20.0개/본으로 대조품종 19.5개와 비슷하였으나 꽃직경이 6.2cm이고 설상화의 꽃잎 수는 25.7매로 대조품종의 5.0cm에 23.3매와 비교하여 화형이 크고 꽃잎수가 많아 볼륨감이 우수하였으며, 절화장 이 94.9cm로 대조품종의 89.2cm보다 커 초세 및 줄기가 강건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는 자연개화기가 10월 24일로 대조품종보다 평균 5일 빠른 경향을 보였고 개화반응주수는 7.0주로 빠른 편이며 주년재배가 가능하였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동계 재배시 균일한 개화 및 개화지연 방지를 위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69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야글로리’는 2013년 육성된 홑꽃 화형 진한 황색의 분화용 국화로 개화가 빠르며 분지수가 많은 품종이다. 교배 는 2010년 10월에 분지성은 많으나 연한 황색의 ‘가야옐로우’을 모본으로, 진한 황색이나 분지성이 적은 ‘그린문’ 을 부본으로 교배한 조합으로부터 220여개 종자를 획득하였다. 채종 즉시 벤레이트수화제 1,000배액에 소독하여 페트리디쉬에 파종한 후 25℃ 정도의 조식배양실에 넣어 발아된 유묘를 원예상토로 채운 플러그 트레이(200공)에 옮겨 심고 1개월 정도 육묘하여 화훼연구소 비닐온실내의 10cm 포트에 정식하였다. 재배방법은 정식 2주후에 적 심하였고 적심 2주 후 13시간으로 단일처리를 재배하였다. 개화된 실생계통들 중에서 화색이 우수하고 분지수가 많은 우수개체를 1차로 4개체 선발하여 모주를 증식하고 1차 특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GYGM -160개체를 선발하 였고, 2011년도부터 2013년까지 3회에 걸쳐 촉성, 억제, 자연재배의 생육 및 개화특성을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과 국립종자원의 신품종 출원 및 심사를 위한 국화 특성조사요령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호 성이 좋고 화색과 화형 등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13년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가야글로리’로 명명하였다. ‘가야글로리’는 가을에 개화하는 홑꽃 화형 황색(Y9A) 꽃잎의 분화용 국화이다. 개화 소요일수는 평균 39일 정도로 6주 이하의 조기개화성 품종이며, 10cm내외의 화분에서 적심 후에 일반적인 분화국 화 재배법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꽃직경은 3.1cm 정도로 작으며, 초장은 12.9cm 정도의 소형 분화용 국화이다. 특 히 착화수와 분지수가 32.7개와 5.1개로 많아 상품성이 높고 상품화하기 좋은 품종이다. 재배상의 유의사항은 여 름철 고온기의 화색퇴화 및 개화지연 방지를 위하여 차광을 해주고 서늘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70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3년 화색이 선명한 오랜지색 절화용 거베라 ‘선셋드림’을 육성하였다.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2005년부터 국내 재배농가에서 유전자원 수집 후 특성을 검정하였다. 2009년 3월 교배 후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친 다음,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계통 경남교 G-48호를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절화특성이 우수하고 화색 등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아 2013년 11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선셋드림(Sunset Dream)’으로 명명하였다. ‘선셋드림’ 품종 의 생육 및 개화특성 조사를 위하여 대조품종으로 교배모본인 ‘엔토라지(CFG0061)’를 사용하였다. ‘선셋드림’ 품 종은 복색계의 ‘엔토라지(CFG0061)’와 적색계의 ‘알버트’(CFG0058)와의 교잡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화색이 선명 한 오렌지색(RHS, 30D/40B) 반겹꽃으로, 화폭이 12.2cm 정도인 절화용 대륜화이다. 또한 포기당 연간 평균절화수 량은 50.7송이 정도이며, 절화수명은 약 12.1일 정도이다. 개화소요일수는 92.8일로 대비품종 ‘엔토라지’의 94.1일 에 비하여 약 1.5일 정도 빠르며 이때 개화엽수는 약 8.8매 정도이다. ‘선셋드림’ 품종의 설상화의 길이는 5.2cm 정 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4.7cm에 비하여 길며, 설상화의 폭은 1.1cm 정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1.0cm와 비 슷한 편이다. 화경 직경은 상부는 0.4cm 정도이고, 하부는 0.6cm 정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상부 0.5cm, 하부 0.7cm와 비슷한 편이다. 재배상의 유의사항은 지온의 관리 및 양·수분의 흡수가 쉽도록 가능한 이랑을 높게 만들 고, 여름철 고온기의 생리장해 및 고온에 의한 꽃봉오리의 유실 방지를 위하여 차광재배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 고 환기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