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3

        28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naerobic digestibility of waste actizvated sludge (WAS) and wastebeverages in beverages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BMP test under various conditions. Also, the effects of physical(ultrasonic) and biological (lactobacillus) solubilization process on anaerobic digestibility of WAS were thoroughlystudied. The soluble chemical oxygen demand (SCODCr)/total chemical oxygen demand (TCODCr) ratio of WAS was 0.15but the SCODCr/TCODCr ratio after solubilization was increased 17.5% by ultrasonic, 18.8% by lactobacillus respectively.The results of BMP test, methane gas productivity as mixing ratio of WAS and waste beverages were 156ml CH4/gCODCr,164ml CH4/gCODCr and 182ml CH4/g CODCr, respectively 9:1, 8:2, 7:3 before the solubilization of WAS. As themixing ratio of waste beverages increase, VFAs concentration and methane productivity was increased. Also, methanegas productivity as mixing ratio after the solubilization of WAS using ultrasonic and lactobacillus was increased3.3~11.3%, 11.1~15.2%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anaerobic digestion using WAS and wastebeverages could be feasible.
        284.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28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황토의 식이 첨가에 의한 돼지의 성장 특성과 혈중 조성물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총 153마리의 돼지(1주령 자돈 60마리 및 성돈 93마리)를 공시하였다. 자돈군은 일반사료 식이군, 0.5%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 1%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으로 무작위로 3군으로 재배치하였다. 각 군간 증체량을 비교하였을 때 1% 황토가 포함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일반사료와 0.5% 황토 + 일반사료 투여군에 비해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혈액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백혈구 수, 총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수, 혈액 중 혈구용적율, 평균 세포용적율, 평균 세포 내 헤모글로빈량, 평균 세포 내 헤모글로빈 농도, 평균 적혈구 폭, 혈소판 수치 등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성돈군은 일반사료 식이군과 1%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혈청학적 분석에서 혈청 알부민의 농도는 1% 황토 + 일반사료 투여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p<0.01), 다른 지표들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황토가 포함된 사료를 투여한 군에서 획득한 분변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p<0.001), 조단백 함량 및 조회분 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체의 무게와 등지방 두께의 측정 결과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도체의 등급 판정 결과 황토를 투여한 군의 도체 등급은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등급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황토의 식이 첨가는 돼지의 영양소 흡수를 개선시킴으로서 도체의 등급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28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iscusses developing historical trails and ecological trails in rural area. Since the leisure time and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health have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hikers who enjoy the beautiful landscape and regional culture through the exploration of natural regions has been growing. However, these various road haven't been related to the rural village in many case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alternatives for revitalizing the region and improving incomes of non far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s of rural trail plan that fits for a scale of the rural village and loc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divided forms of the rural village road into type of the natural landscape resource (Gangreung Anbandegi Village) and that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 (Yongin Hakil Village) according to amenity resources of objective village. The plan for village road basically made by the best of valuable resources of village unit, connected existing 'Trail' of other departments to the village and suggested a case of plan applied to the field so as to emphasiz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 It should be possible to induce hikers to rural area and be suggested as a measure for improvement of village image, regional vitalization and incomes of non farm.
        289.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은 일반인이 장기간 연용하는 제품으로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에 의한접촉피부염은 자극성 물질이 피부에 접촉 후 침투하여 유발하는 염증반응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다양한 인자를 분비함으로써 시작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RAW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 인자에 대한 영향을 통해 항염증 활성을 스크리닝 하였다. 51종의 국산 생약 추출물 중 측백, 측백엽(초), 향부자, 형개, 동과자, 산약, 산약(초), 상지, 송절, 택사의 에탄올 추출물 10종이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염증 관련 인자인 Nitric oxide (NO),interleukin (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생약 추출물은 인체피부에서도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인체 첩포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따라서, 항염증활성이 확인된 10종 국산 생약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예방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9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a laboratory simulation using artificial and natural rainfal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resour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face runoff water and infiltration water by rainfall intensity and fertilization level. Cattle manure and pig liquid fertilizer was used as livestock resour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surface runoff occurred over 32 mm/hr rainfall intensity, and flow rate of the surface runoff water and the runoff ratio of contaminant parameters from livestock resource was increased, as rainfall intensity was stronger. With doubled fertilization level, T-N increased in compost and the amount of CODMn runoff also considerably increased in liquefied fertilizer. In the case of natural rainfall, the runoff ratio of T-P clearly increased in compost and the T-N of final surface runoff ratio in compost and liquefied fertilizer was ranged from 0.13047 to 0.13623 with stronger rainfall intensity.
        29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화 6 품종을 대상으로 감마선(35 Gy) 조사에 의해 유기 된 화색변이체를 선발하고, 식물체 재생을 위한 배지내 식물생 장조절제 적정농도를 구명하여 신품종 육성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수행하였다. 고유품종과 다른 꽃잎의 화색변이율은 ‘SP-410’ 이 15.7%로 가장 높았으며, ‘예스스타’가 10.6%, ‘무지개’가 10.3%순 이었다. ‘무지개’는 이중색(황색/적색, Y7D/R40A) 에서 적색(R42B)으로, ‘예스라인’은 자주색(RP74C)에서 진자 주색(RP63B)으로, ‘예스스타’는 황색/적색(Y4A/RP59A) 이 중색에서 적자주색(RP64A)으로, ‘SP-410’은 백색(W155C)에서 황색(Y2C)으로, ‘예스투게더’의 화심색은 백색(W155C)에서 연보라색(P76B)로, ‘예스우리’의 화심색은 연녹색(YG149A)에 서 짙은 녹색(GY1C)으로 화색이 변한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화색변이체 꽃잎의 신초형성을 위한 배지내 식물생장조정제 의 최적조합은 BA 1.0 mg/L와 NAA 0.5 mg/L, BA 2.0 mg/L 와 NAA 0.5 mg/L의 2조합이였으며, 신초형성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예스라인’이 91.6%로 가장 높았다. 감마선 조 사에 의한 화색 변이체의 꽃잎배양 유래 재생식물체는 영양 번식으로 유지되었으며, 3년동안 재배한 결과 화색과 꽃잎의 형태적 특성 차이가 없었다.
        29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ecycling of ladle furnace slag (LFS) in the electric furnace process to produce ultra rapid harding cement” is the target technology.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iciencies of target technology are analyzed and ecoefficiency is asses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thodologies to analyz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iciencies are LCA (Life Cycle Assessment) and market price which is calculated based on LCC (Life Cycle Costing), respectively.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and abiotic resource depletion (ARD) are selected as indicator of environmental analysis. The reference flow of this study is considered 1kg of ultra rapid harding cement which made from the LFS. As a result of that, target process has environmental efficiency of 13.1 for global warming and 5.93 for abiotic resource depletion and has economic efficiency of 4.86. Eco-efficiencies are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slag recycling policy formulation and effect analysis in the future. This can be also applied to improve process’s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29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scanthus sacchariflorus var. No. 1 has been newly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ed value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different growth and harvesting time. Total 3 different miscanthus - 1y4m (first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2y4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and 2y8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8 month).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itro rumen simulated ferment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Ruminal pH at in vitro fermentation were higher in M. sacchariflorus var. No. 1 treatments compared to the rice straw (RS). I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1y4m resulted in higher acetate production than the other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higher maturity stag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in propion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s at 9, 24 and 48 h of incubation times. Higher ammonia nitrogen productions were found as increased maturity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In situ experiment, high DMD was detected in the order of RS (60.51%) > 1y4m (57.65%) > 2y4m (57.63%) > 2y8m (46.28%).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young and early harvested M. sacchariflorus var. No. 1 are able to improve its nutrient values in the ruminant animal.
        29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la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developing guidelines to build up roads in rural villages. Drawing the construction elements necessary for building up roads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elevant expert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plan element of route plan, design & construction and operation & management. The result determined total 105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The study o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as a strategy to vitalize rural areas means universal roads that connect each village with rural amenities in various values like walking tour road, visit roads and observation road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to build up roads where nature, culture and history of rural areas can be effectively experienced and enjoyed.
        29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astragalosid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etween the phenolic compound groups, flavonoids compounds (51.13%) had higher average concentrations than the phenolic acids groups. Among the 30 phenolic compounds, quercetin (353.11μg g-1) provid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cultivation year, 3-year-cultivated Astragalus (2612.57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days, 6/5 harvesting Astragalus (2615.80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acids. Comparison between the top and subterranean parts of harvested Astragalus plants cultivated for 2 years, 3 years, and 5 years showed big differenc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concentrations. Further, the top part had higher amou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than the subterranean part among all Astragalus. This tendency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op root and lateral root. The concentr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the top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eral root.
        29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재도입된 한국 원산 재래종 콩 293점에 대한 종실 saponin의 함량의 변이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roup A saponin의 함량은 평균 484.9 ugg1으로 149.8~1279.0 ugg1의 범위이었고, group B saponin의 함량은 평균 3670.0 ugg1으로 2160.1~7868.6 ug1의 범위이었으며, 총 saponin 함량은 평균 4154.9 ugg1으로 2502.8~8764.0ugg1의 범위이었다. 2. Gruop B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이 높은 5점은 IT226841, IT226761, IT226844, IT226826 및 IT22 8534이었고, 이중에서 IT226841이 group B saponin 함량이 7868.5 ugg1, 총 saponin 함량이 8764.0 ugg1] 로서 가장 높았다. 3. Group A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 간에(r=0.5119), 그리고 group A와 group B saponin 함량 간에(r=0.3708)는 정의 상관관계, group B와 총 saponin함량 간에(r=0.9876)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4. 수집지역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북한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5. 종실크기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소립종이 중립종과 대립종보다 높았고, 중립종과 대립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 검정색, 녹색 및 갈색의 종피색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0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인 벼 부산물(왕겨와 쌀겨)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멀칭 비닐을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특성 검정을 위한 표준 생분해도 측정결과 셀룰로오스 대비 75%의 생분해가 되어 친환경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3.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비닐과 비교해서 인장강도와 인장력에서 우수함을 보였고, 파단점 비후 비교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은 지속적인 힘을 유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4. 작물을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기계화도 가능하며,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통한 분해력 비교에서 작물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력에 차이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작물의 토양 피복도가 생분해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