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9

        321.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선편이 연근의 열처리에 대한 품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지에서 구입한 연근을 수돗물로 표면과 아물질 등을 제거하고, 박피 및 절단한 후 30, 55, 에서 45초간 열처리한 후 PE 필름으로 포장하여 에서 저장하였다. 중량 감모율, 표면색도, 일반세균, 관능검사 등을 통하여 품질을 분석하였으며 중량 감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열처리를 한 경우 증가폭이 낮았다. 열처리한 연근의 L값은 가
        32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보'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1998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밥맛이 우수하면서 도복에 강한 영덕26호를 모본으로 밥맛이 우수한 고시히카리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1999년 하계에 21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1324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0년 하계포장에 전개한 F2 집단중 144개체를 선발하여 2001년 하계에 F3세대 144계통을 육성하고, 이후 F4, F5세대를
        32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프로그램은 저소득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및 그림그리기 병행활동을 실시하여 정서증진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주의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K-HTPF 및 매 회기별 대상자의 그림을 통해 사회성, 안정감, 역동성 및 표현력 등이 증진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주의집중력 향상을 살펴보기 위한 ADS 검사결과에서는 충동성 점수가 낮아지고, 일관성이 높아진 결과를 통해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정서발달 및 주의집중력에 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원예활동연구를 추가 수행할 예정이다.
        32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오르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0년/2001년 동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밥맛이 우수하면서 도복에 강한 밀양165호를 모본으로 풍해에 강한 해평벼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2000년/2001년 동계2차 온실에서 27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2375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1년 하계 포장에서 F2 집단을 전개하여 1수당 1립씩 수확 후 2002년 하계에 1개체 1
        32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riope platyphylla has been though as an useful medical plant to improve the cough, sputum,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besity, and diabetes in Korea and China from old tim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riope platyphylla on expression and secretion of nerve growth factor (NGF), the mRNA expression and protein secretion were detected in the neuronal cell (B35) and neuroglial cell (C6) cultured with three differences concentration (5%, 10%, 15%) of Liriope platyphylla. In MTT assay and FACS anslysis, the some death of some B35 and C6 cells were observed in 15% extract-treated group, while other groups did not induce the death. Also, the mRNA expression of NG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5% and 10% extracts treated-group. Furthermore, the NGF protein concentration in supernatant collected from cultured cells showed the very similar pattern with mRNA expr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activity of secreted NGF, the culture supernatant collected from B35 and C6 cells cultured with Liriope platyphylla extracts for 24 hrs were treated into undifferentiated PC12 cells, and the differentiation level of PC12 cell were also observed with microscopes. The differentiation level of PC12 cel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 on the dose of extrac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water extracts of Liriope platyphylla may contribute the regulation of NGF expression and secretion in the neuronal cell and be considered as an excellent candidate for a neurodegenerative disease-therapeutic drug.
        327.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evaluation of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 reclaimed rubber mixing with natural rubber at various mixing ratio to reuse as rubber filler. The scorch time and moony viscosity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ure behavior. And also, we analyzed the tensile strength, the elongation at break and cure time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cure behavior. As the results, the scorch time and optimal cure tim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EPDM reclaimed rubber. However, the moony viscosity was increased at each mixing ratio. In case of the added EPDM reclaimed rubber was 20 phr(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rubber), the hardness and specific gravity was increased a little. The hardness and specific gravity was increased in rapidly under 40 phr of the added EPEM reclaimed rubber.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compound of natural and EPDM reclaimed rubber was rapidly decreased compared with its natural rubber when the ratio of adding EPDM reclaimed rubber was over 40 phr.
        328.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은 생체 내 활성산소 생성 증가와 내인성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제 감소를 통하여 광노화 과정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외부 환경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2종의 다양한 해양소재 추출물(김, 다시마, 모려, 모자반, 미역, 석결명, 청각, 해룡, 해마, 해삼, 파래, 톳)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자유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바탕으로,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세포독성 및 산화적 사멸을 억제하고 세포 내 항산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천연 항산화 피부보호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해양소재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로 비교 측정한 결과 미역, 모자반, 다시마, 해마, 석결명, 모려, 해룡의 순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이후 in vitro 세포 실험에서 자외선 B를 섬유아세포주인 HS68 세포에 노출시킨 경우 세포 독성이 유발되어 사멸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모자반, 석결명, 청각, 해마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현저히 억제되었다. 특히, 자외선 B로 인한 세포손상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축적으로 인한 것임을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활성산소종의 생성은 모자반, 석결명, 청각, 해마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한편, 이러한 항산화 작용은 대표적인 내인성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및 heme oxygenase-1의 발현 증가로 매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모자반, 석결명, 청각, 해마 등의 해양소재가 항산화 작용을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가 매개하는피부손상과 노화과정을 예방 및 보호하는 새로운 화장품 천연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329.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35년 동안(1973~2007년)에 한반도 59개 관측소 자료를 사용하여 우기(6~9월)와 건기(10~이듬해 2월) 강수의 상반된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기간 강수의 선형변화경향에 기반하여 양극화지수를 정의하고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양극화 현상은 강수량과 강수일수의 선형변화 경향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으며, 지역에 따른 분류와 행정구역에 따른 분류를 통하여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기에는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비해 건기의 경우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강수량과 강수일수의 감소 경향이 잘 나타났다. 한편, 강수량의 양극화 현상을 분석한 결과 경상도와 전라도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강수일수의 양극화 현상은 경기도와 경상도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상도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수자원 최대 활용에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3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저온 장시간 발효된 묵은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에서 46주 동안 발효된 묵은지의 pH, 산도, 유기산, 생균수, 아미노산, polygalacturonase (PG)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10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4.1, 산도 0.99%를 나타낸 반면, 46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3.9, 산도 1.29%를 보였다. 한편, 10주에서 46주로 발효 기간이 증가하면서, 젖산, 젖산/초산비, Lacto
        331.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와 해당화의 혼합비율을 4가지로 달리하여 제조후에 14일 동안의 발효와 다시 14일 동안의 숙성기간을 거쳐서 사과.해당화주를 만들었다. 4가지 그룹에서 발효와 숙성중에 에탄올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최종적인 에탄올 함량은 으로 나타났다. 4가지 그룹에서 최종제품은 각각 , pH , 산도 를 보였다. 해당화즙의 첨가는 사과주의 anthocyanin 함량, 색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능검사에서는 유의적인 차
        33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용 엑스선 장비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필름, 카세트를 대신하여 디지털 방식인 CR, DR 이 널리 사용 되며 그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디지털 엑스선 장비의 변환물질로 BiI3(Bismuth tri-iodide)를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기존 선행연구에 비해 만족할만한 결과 값은 얻을 수 없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Se(Amorphous Selenium)의 단점인 고전압인가와 제작방식의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 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변환 물질은 순도 99.99%의 BiI3가 이용되었으며 3cm × 3cm의 크기 와 200um의 두께를 가지는 변환물질 층이 제작되었다. 변환 물질의 상하부에는 Magnetron Sputtering system장비를 이용한 ITO 전극이 형성된다. 형성된 BiI3 엑스선 변환 물질의 특성 평가를 위해 구조적 분석과 전기적 분석이 이루어 졌다. SEM 측정을 통해 제작된 필름의 표면 및 단면적, 구성 성분을 관찰하였고, 전기적 분석을 위해서는 누설전류, 엑스선에 대한 신호량 및 잡음 대 신호비의 관찰이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BiI3는 1.6 nA/㎠의 누설전류와 0.629 nC/㎠ 의 신호량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Screen print method로 제작된 엑스선 검출 물질은 PVD방법을 이용해 제작 된 물질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제작 방법의 간소화 및 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어 BiI3도 a-Se를 대체하기 위한 변환물질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33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429점의 식물자원의 항산화활성을 검색하고 새로운 잠재적인 항산화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과 리놀렌산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결과 Sanguisorba officinalis (flower), Sedum kamtschaticum (flower, root) 그리고 Rumex obtusifolius (flower)가 특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들 식물은 각각 8.12, 9.4, 9.9, 11μg/ml의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 (SC50)과 80.4, 80.1, 84.5, 88.0%의 리놀렌산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차 선발된 식물 10점에 대한 추가 실험에서, Sedum middendorffianum (root)이 superoxide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 (SC50, 39.4μg/ml)과 CuSO4로 유도된 저밀도지단백질(LDL)의 산화에 대해 우수한 활성 (53.8%)을 나타내었으며, Gleditsia japonica (thorn)는 LDL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이 우수 (71.4%)하고 총페놀 함량 (958.5%)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37.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허브를 비롯한 약용식물의 정유추출부산물인 floral water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함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floral water의 방부효과를 알아보는 한편 고기능성 방부제품이나 또 다른 아로마 자원식물로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재료는 본 연구실에서 2005년부터 보관 중이던 floral water를 이용하여 곰팡이의 존재 유무를 조사하였다. 정유추출 부산물인 floral water의 오염여부를 3년간 보관중이던 시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Table 1) 총 70개 시료의 floral water 중 13개 시료에서 오염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18.57% 오염율을 보이는 것으로 높은 방부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고, 저장별로 보면 3년 보관 시료 32종의 식물 중 5종만이 오염이 관찰되었고, 2년 보관시료 12종은 모두 오염되지 않았으며, 1년 보관시료는 26종의 식물 중 8종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식물 정유의 부산물인 floral water는 높은 방부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추후 현미경이나 배양실험을 통한 정확한 검증이 요구된다.
        338.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하기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어린이 교육용 컨텐츠로는 주로 향이 나는 식물과 움직이는 미모사나 소리에 반응하는 무초나 식충식물 컨텐츠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거나 동화정원을 만들어 어린이 동화를 중심으로 인형을 만들어 배치하고, 동물형태 토피어리를 이용하며, 밀폐형 비바리움컨텐츠를 만들어 식충식물, 식물+물고기, 식물+곤충, 식물+애완용동물(거북이 등)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Table 1).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경우 노인의 건강상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원예컨텐츠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노인의 건강정도는 양호한 경우,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관절이 부자유 하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로 구분되며, 또한 신체적 장애 외에도 심리적 장애와 사회적인 장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Table 2, 3).
        339.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유전자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보존되지만 자생식물의 화색은 꽃식물로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큰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화색을 anthocyanidin 분석에 의해 좀 더 진보된 유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증진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문헌을 통한 자생식물의 계절별 화색을 알아보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생식물은 총 107종을 선발하여 분류하였으며(Table 1), 한국 자원식물명총람, 한국의 야생식물, 야생화쉽게찾기 등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국내에는 관상가치가 높아 화훼작물로 개발 가능한 자생식물이 많이 있으나 화색에 관한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화색 육종이나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 보존을 위해서 폭 넓은 자생식물의 화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화색육종을 위한 안토시아니딘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고자 한다.
        340.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식물의 약용적, 심리적, 공기정화 기능들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합한 원예활동 및 원예치료활동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원예활동범위를 넓히고 조경사업, 원예치료활동, 원예관련사업 다각화를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계절과 월별로,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가능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의 생육시기와 기능을 분류하고, 절기별로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관상화훼학, 약용학, 관엽식물, 채소학 등의 다수의 참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able 1은 장식식물의 유형에 따른 컨텐츠, Table 2는 채소/약용식물의 이용이나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기준으로 정리한 개발가능한 컨텐츠의 일례이다.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