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shelf life of black soybean Sunsik to develop a functional labeling system for the product. The Arrhenius equat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shelf life by examining alterations in the dietary fiber and calcium levels of black soybean Sunsik stored at 25, 35, and 50°C for 0, 6, and 12 months. Dietary fiber and calcium analyse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methods specified in the Food Code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oth black soybean Sunsik (BS) and black soybean Sunsik containing nondigestible maltodextrin and calcium lactate (BSN) exhibited an upward trend in dietary fiber content after 12 months of storage, compared to their initial levels. During storage, the phytate in Sunsik degraded, releasing cations that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new cross-links between pectic acid and middle lamella, which ultimately increased dietary fiber content. Conversely, the calcium contents of both BS and BSN decreased with prolonged stor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xpected shelf life of BS and BSN was calculated as 15.65 and 28.34 month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soybean Sunsik product with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nd functional labeling system. We prepared black soybean Sunsik (BS) containing black beans, cereals, and vegetables. Black soybean Sunsik with nondigestible maltodextrin and calcium lactate (BSN) was prepared by adding non-digestible maltodextrin and calcium lactate to the base recipe to apply a functional labeling system. The particle size in BS was 118.00 μm, whereas BSN was 127.00 μm. The respective L, a, and b color values of BS were 73.25, 2.36, and 14.21. The respective L, a, and b values of BSN were 73.21, 2.36, and 14.31. The respective water retention capacities of BS and BSN were 241.67% and 216.3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BS and BSN in the three physicochemical propertie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H of BSN was 5.45,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S. The total respective phenolic contents of BS and BSN were 1.75 mg GAE/g and 1.61 mg GAE/g, and total respective flavonoid contents of BS and BSN were 6.36 mg RE/g and 5.95 mg RE/g.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BS and BSN were compared via assay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AP, and reducing pow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S and BSN increased in a dose-dependant mann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S and BSN was observed in any measure of antioxidant capac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non-digestible maltodextrin and calcium lactate) did not affe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soybean Sunsik.
것을 권고하였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정부 주도하에 다양한 당류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활발히 논의 중에 있다. 국내 식약처의 경우도 2016년 “제 1차 당류 저감 종합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가공시품의 당류 표기 의 무화 및 당류 저감화 성분 및 기술 보급 개발 추진 계획을 적극 추진키로 하였다. 국제적으로도 당류 저감화 트랜드는 권고 형태를 벗어나 정부 주도하에 적극적인 정책 입안으로 발전 중이어서, 기존의 설탕·고과당과 가까운 맛을 구현할 수 있는 천연 대체감미료 소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체감미료 선진 시장인 미국의 경우 칼로리 저감화를 위하여 천연고감미료인 Rebaudioside A로감미도를 부여하고 당알콜인 Erythritol로 당류 고유의 감미질을 부여하는 복합감미소재의 사용이 최근 4~5년간 성장하였으나, 근래 주요 적용 제품군인 저칼로리 음료에서 적용 사례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현황이다. 이는 기존 설탕에 비하여 떨어지는 기 호도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되고 있다. 가공식품 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최근 트랜드인 천연의 특성은 유지하 면서도 상대적으로 개선된 맛 특성과 건강기능성 등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감미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희소당(rare sugar)은 자연계에 매우 소량 존재하는 단당류로 포도당, 과당 등과 같은 일반 단당을 원료로 사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 새롭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타가토스(D-Tagatose)와 알룰로스(D-Allulose)가 대표 적인 사례이다. 두 개의 소재는 비대사성 단당류로 체내에서 열량으로 거의 전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만·당뇨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자연계에 미량으로 존재하므로 대량 생산 을 위하여는 저렴한 일반 단당을 원료로 한 효소 공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CJ제일제당은 2개의 기능성당 소재를 효 소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하고 상용화한 바 있다. 이에 기초 연구부터 상용화까지의 개발 사례를 바 탕으로, 새로운 효소 기술을 기반한 식품 신소재의 실질 상용화를 위한 요소 기술 및 개발 전략 전반에 대하여 소개하 고자 한다.
기존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객체들 간의 관계성 표현 제한으로 인해 교량 구조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분류체계 기술의 국제표준인 PLIB Part 42를 활용하여 이종의 도메인 간 정보공유의 기본이 되는 형상 정보모델링에 특화된 교량 구성요소의 제품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제안한 분류체계는 교량 구성요소의 기능적 특징을 고려한 부품의 의미적 정보가 포함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체계 를 실제 모델링에 활용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교량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제안한 분류체계가 실 무에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기존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객체들 간의 관계성 표현 제한으로 인해 교량 구조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분류체계 기술의 국제표준인 PLIB Part 42를 활용하여 이종의 도메인 간정보공유의 기본이 되는 형상 정보모델링에 특화된 교량 구성요소의 제품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제안한 분류체계는 교량 구성요소의 기능적 특징을 고려한 부품의 의미적 정보가 포함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체계를 실제 모델링에 활용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교량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제안한 분류체계가 실무에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최근 그 우수성이 많이 알려져 여러 분야에서 다 양하게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옻칠제품의 사례를 심층적으 로 분석하고, 기존에 인식하고 있던 옻칠에 대한 관점의 틀을 벗어나 옻칠제품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도출해 보고자 하는 연 구이다. 이를 위해, 옻칠의 특성을 화학적, 기능적, 미학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기존에 발표되어진 문헌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함으로 서 옻칠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考察)해 볼 것이다. 또한,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옻칠제품은 여러 방면의 분야 에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지만, 다분히 심미적 요소를 부각시 킨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옻칠 본연의 기능적 특성을 활 용한 제품들의 사례를 문헌과 온라인 리서치를 통해 살펴보고 크게 목기제품, 전자제품, 인테리어제품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제품이 지니고 있는 옻칠의 기능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기능성 의류제품의 효과적인 정보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 중 일부로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과 행동양식에 따라 응답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시 활용하는 정보원과 행택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경험이 있는 20∼60대 남, 녀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은 ‘기능성’, ‘가격’, ‘경험/지식’, ‘브랜드/디자인’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에 따라 응답자들은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 성 중시집단’, ‘고가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인터넷을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30대의 회사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의 경우에는 행택(Hang-Tag) 을 정보원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문직의 40대, 50대가 주를 이루었다. ‘고가제품 선호집단’은 60대 이상,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판매원을 정보원으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정보제공에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이었으며 성능정보 관심도가 떨어지는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오히려 상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재킷 소비자 유형의 특징과 성능 정보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능성 의류제품의 성능 정보 제공을 위한 효과적 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Yeongsu, Ganwon-do. 1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our study. The ginseng intakes of male students(59.1%)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intake of female students(40.9%). The primary reasons for consuming ginseng were to “Maintain my [one’s] health” and to, “Restore my [one’s] energy”. The reasons for not consuming ginseng were “Taste” and, “Physical constitution”. Consumers purchased the following ginseng products at the market: For males, ginseng wine(21.7%), ginseng beverage(17.4%), ginseng candy(17.4%) and ginseng kimchi(17.4%) for females, Korean ginseng snacks(23.3%), ginseng yogurt(20.9%), ginseng candy(14.0%), and ginseng jelly(11.6%).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business depends on how the companies make competitive product and put out on the market. In other words, the core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business is "product" and companies’ competitiveness and sustainable growth could be guaranteed by management from product deveIopment to release onto the market. However, there are few examples about establishing successful system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how PLM affect the performance. In particular, findout how iIlegal copying of PLM system that contains know-how gives company negative effect and emphasize why companie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IIegaI copying.
Now days, the marketing environment is rapidly changed. Therefore, a lot of companies try to reduce production cost. Especially, Design is a important activities in new product development. While the concepts of design for manufacturable and concurrent engineering have made significant advances in integrating the design function with other areas in the firm. There are still major gaps in timely and accurate costing information available to designers. Inappropriate design could result in high redesign cost and delay in product relation. The generation of design and improvement is a time-consuming and mentally exhaustion process. It involves combining design features to generate as many potential design as possible. As not all features combinations are feasible, decision-makers have to narrow down the potential solutions and subsequently select appropriate design for further development. This new study is composed of 3 steps aiming at the Low Cost Design of the product. The three steps are consisted that setting up the target Cost, estimating the current functional cost, the design of a unit's review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ost and the functional cost.
인간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체를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어패류 등의 동물성식품, 곡류나 야채, 과일 등의 식물성 식품,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생물 식품을 들 수 있다. 미생물 식품이라고 하면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유산균과 효모 그리고 버섯을 들 수 있다.일반적으로 유산균이나 효모는 미생물 식품이라고 생각 하지만 버섯의 경우에는 미생물 식품으로 인식하기보다 식물성 식품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어서 버섯의 식품학적 가치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진핵세포를 가진 고등균류(菌類)로 대부분의 담자균류(Basidiomycota)와 일부 자낭균류(Ascomycota)에 속하며 세계도처에 만 여종 이상의 버섯이 서식하고 있고 이중 1천여 종의 버섯이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버섯을 '신의 식품'이라 하였고, 중국에서는 불로장수의 영약으로 귀하게 다루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사기에 신라 성덕왕 시대에 이미 목균(木菌 : 金芝)을 이용한 기록이 있고,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세종대왕시대에 식용 버섯으로 송이, 표고, 약용버섯으로 복령, 복신의 주산지까지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 부터 버섯이 중하게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에 의하면 상약에 속하는 것이 표고와 영지로 “독은 없고 많이 오래도록 복용하여도 사람에게 해하지 않으며 몸을 가볍게 하고 마음을 젊게 다스리게 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버섯은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와 독특한 향기, 물성, 맛, 무기질 및 비타민을 가지고 있으며 추출 분획물이나 단리한 성분 중에는 혈당조절, 면역기능강화, 항 종양 또는 항암 활성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고혈압, 간 보호 등 순환계작용과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등 다양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어 향후 산업적으로 고부가 가치를 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최근에 흰목이버섯의 경우 신경성장인자(NGF)로서 신경성장과 관련한 뇌 질환(기억력, 인지능력 포함) 예방 및 치료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된다. 특히 올해부터 건강기능식품 공전이 개정됨에 따라 다양한 버섯들이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되어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원료와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20C SONY社의 Workman이 주도하던 휴대용 음향기기는 21C에 들어 MPMAN.COM에서 최초 개발되었던 MP3-Player에 밀려 지금은 사실상 시장 퇴출 상태이고 현재는 소비자에 감성이 고려된 MP3-Player(이하 MP3P)가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P3의 기능요인과 감성요인이 어떻게 상관관계를 이루어 MP3P 브랜드 선택에 이유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P3P제품의 외부적 감성 측정을 위해서는 디자인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제품 내부적 기능 디자인 측정을 위해서는 제품품질 특성 변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 값으로 경쟁 브랜드가 가지는 브랜드 이미지를 벤치마킹하여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리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과연 선호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초기 연구 과정 중 하나이다. '제품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제품 형태에 표현될 때 과연 심미적 영향요소 중의 하나인 단순·복잡이 그 기능 표현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기능 표현, 단순 복잡 그리고 선호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택된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