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livary glands secrete saliva, which plays a role in the maintenance of a healthy oral environment.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saliva secretion within the acinar cells of the gland is regulated by stimulation of specific calcium (Ca2+) signaling mechanisms such as increases in the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i) via storeoperated Ca2+ entry, which involves components such as Orai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canonical 1, stromal interaction molecules, and inositol 1,4,5-triphosphate (IP3) receptors (IP3Rs). Homer proteins are scaffold proteins that bind to G protein-coupled receptors, IP3Rs, ryanodine receptors, and TRP channels. However, their exact role in Ca2+ signaling in the salivary glands remains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Homer2 in Ca2+ signaling and saliva secretion in parotid gland acinar cells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Deletion of Homer2 (Homer2−/−) markedly decreased the amplitude of [Ca2+]i oscillations via the stimulation of carbachol, which is physiologically concentrated in parotid acinar cells, whereas the frequency of [Ca2+]i oscillation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wild-type and Homer2−/− mice. Homer2−/− mice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mylase release by carbachol in the parotid glan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mer2 plays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Ca2+]i concentration and secretion of saliva in mouse parotid gland acinar cells.
In this stud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and DPPH, OH, H2O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Morinda citrifolia L.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noni 70% ethanol extract were 29.52 GAE/g and 12.48 CE/g, respectively. Also, the IC50 values of DPPH,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noni were 18.70 mg/mL, 26.45 mg/mL, and 35.67 mg/mL, respectively. Measurement of th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noni showed 45% inhibitory activity at 10 mg/mL.
As contemporary society has become more complicated, specialized, and segmented, people are experiencing more diverse types of stress. In particular, while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tress have been examined among nurses, who belong to a professional group, the existing research has made no quantitative assessments of stress that reflect temporal differences in individual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alpha-amylase with regard to the working hours of nurses, to assess the variations in jobs stress over time,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Ninety nurses working in three shifts in general, emergency, and intensive care ward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Salivary alpha-amylase (SAA) was extracted and analyzed at two-hour intervals from 07:00 to 15:00 from nurses on the day shift and from 23:00 to 07:00 from those working the night shift. The SAA level was highest between 23:00 and 01:00 for nurses in general wards (mean±S.D. 39.00±14.88) and between 11:00 and 13:00 for those in both intensive care units and emergency wards (mean ± S.D. 67.50 ± 62.93 and mean ± S.D. 39.67±35.96,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 variation in SAA was significant between 23:00 and 01:00 (p < 0.01) and for those in their fifties or older (p < 0.01). The activation ratio of alpha-amylase, a stress reactant, showed an increase when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as activated by mental stress; in addition, job stress was manifested with the effect of awakening at different time segments and at different ages among the nurses. With the aim of raising the level of service based on the nurses maintaining their mental health, it is necessary to focus sharply on the time segment for critical control and to conduct repetitive studies to determine the divisions of eustress critical values as well as to expand the population.
The viscosity, overrun, melting-down, moisture, crude fat, total sugar, and color of rice powder and puffed rice powder ice cream, following the addition of α-amylase, were investigated. For identical grain types, the gelatinization degree increased with puffing, and within the same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an the long grain. Viscosity dropped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excluding 0.0%, the rice powder was higher than the puffed one,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e overrun was highest at 0.2%,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exhibited higher overrun. Higher melting-down was observed in puffed and lower viscosity ice cream mix.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isture with enzyme concentration. Regardless of puffing, the short tended to have a higher moisture. No difference was noticed in crude fat by concentration, grain type, or puffing. The total sugar was higher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puffed tended to be higher. The hunter “L” and “b” increased with α-amylase, while the “a” value dropp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the “b” values decreased with puffing (p<0.05).
본 연구는 효소식품과 효소표방식품 (기타가공식품, 음료베이스, 기타발효음료, 액상차) 98건에 대한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활성과 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효소식품과 기타가공품의 α-아밀라아제 활성은 각각 4.9~53,854.6 U/g, 2.9~1,182.7 U/g으로 같은 유형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발효식품의 α-아밀라아제 활성은 각각 0.1~1.7 U/g이었다. 효소식품, 기타가공품 그리고 발효식품의 β-아밀라아제 평균 활성은 각각 126.0 U/g, 5.6 U/g, 10.5 U/g으로 효소표방식품은 효소식품보다 훨씬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평균 당 함량은 효소식품 22.4 g/100 g, 기타가공품 14.8 g/100 g, 음료베이스 46.9 g/100 g, 기타발효음료류 41.1 g/100 g, 액상차 39.5 g/100 g으로 발효식품에서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다. α-아밀라아제 활성과 유당 함량은 효소식품에서 통계적으로 강한 상관관계(r = 0.644)를 나타냈고 기타가공식품에서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r = 0.903)를 나타냈다. β-아밀라아제 활성과 유당 함량은 효소식품에서 통계적으로 강한상관관계(r = 0.648)를 나타냈고 기타가공식품에서는 강한상관관계(r = 0.757)를 나타냈다. 효소식품과 기타가공품에서 α-아밀라아제 활성과 β-아밀라아제 활성 사이에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r = 0.869, r = 0.760)를 나타냈다. 즉, α-아밀라아제 활성과 β-아밀라아제 활성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flower thinning formulation (FTF) on the vitality of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activities of various digestive enzymes in adult worker bees. First, direct spraying of the FTF solution did not cause any behavioral changes or lethal effects for the honey bees based on 24 h observation. Second, oral ingestion of a sugar solution containing the FTF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activities of amylase, proteinases, lipase, or acetylcholine esterase (AChE) in the worker bees 6 h or 24 h after treatment. Meanwhile, a commercial formulation containing sulfur compounds showed slightly reduced activities for several digestive enzymes and AChE, although no behavioral disturbance.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FTF is not toxic for honey bees, in terms of contact and ingestion. Therefore, this newly developed FTF can be used for flower thinning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pollinating insects.
본 연구는 도축장에서 폐기되는 도축 반추위 내용물을 사일리지 혹은 TMR (total mixed ration) 사료 첨가용 효소제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도축 반추위 내용물에는 상당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적절한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그 활용이 원활하지 않다. 그러나 효소는 열에 민감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건조 조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가열온도 (60, 75, 90°C), 가열시간 (12, 30, 48시간) 및 부형제의 비율 (12, 22.5, 33%)이 도축 반추위 내용물에 함유된 다양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3가지 효소, xylan 분해효소, 셀룰로오스 분해효소및 전분 분해효소를 검토하였고, 각 효소활성들에 대한 각요인들의 효과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p<0.05).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와 전분 분해효소의 활성은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0.05), xylan 분해해소는 열에대한 안전성이 다른 효소들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자일란,셀룰로오스, 전분 분해효소를 증가시키는 적정 부형제의비율은 22.5, 12 그리고 33%로 나타났다. 비록 3가지 효소들의 제형화에 있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최적점을도출하지는 못하였으나,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효소들의반응 값들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효소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₂O₂, a member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medi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s in a variety of cell types.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physiological role of H₂O₂in exocrine cell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H₂O₂on cholecystokinin (CCK)-evoked Cα²+ mobilization and amylase release was investigated in rat pancreatic acinar cells. Stimulation of the acinar cells with sulfated octapeptide form of CCK (CCK-8S) induced biphasic increase in amylase release. Addition of 30μM H₂O₂ enhanced amylase release caused by 10 pM CCK-8S, but inhibited the amylase release induced by CCK-8S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100 pM. An ROS scavenger, 10 μM Mn(III)tetrakis(4-benzoic acid)porphyrin chloride, increased amylase release caused by CCK-8S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100 pM, although lower concentrations of CCK-8S-induced amylase release was not affec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H₂O₂on CCK-8S-induced amylase release was exerted via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α²+ signaling, we measured the changes in intracellular Cα²+ concentration ([Cα²+]i) in fura-2 loaded acinar cells. Although 30 μM H₂O₂did not induce any increase in([Cα²+]i by itself, it increase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Cα²+]i oscillations caused by 10 pM CCK-8S. However, 30μM H₂O₂had little effect on 1 nM CCK-8S-induced increase in [Cα²+]i. ROS scavenger, 1 mM N-acetylcysteine, did not affect [Cα²+]i changes induced by 10 pM or 1 nM CCK-8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30 μM H₂O₂ enhanced low concentration of CCK-8S-induced amylase release probably by increasing [Cα²+]i oscillations while it inhibited high concentration of CCK-8S-induced amylase release.
A amylase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ofu residue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which were named Bacillus sp. GM7330 and Bacillus sp. GM7312. The cultur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was showed on 5% tofu residue added 3% glucose and 0.15% yeast extract. And incubated during 72 hrs at 30℃, Bacillus sp. GM7330 and Bacillus sp. GM7312 were producing amylase of 488 units and 341 units.
과요오드산-산화전분으로 밀 β-amylase(Himaltosin GL. 일본한큐바이오사)를 변형시켜서 인공당단백질을 만들었다. pH 8.0에서 변형한 효소는 비변형효소의 96%. pH 9.7에서 변형한 효소는 17%의 활성이 남았다. 60℃에서의 열안정성은 α-cyclodextrin (α-CD)존재 시에 변형하여 α-CD 존재시에 분석한 효소는 10분 뒤에 비활성의 8%가 남은 반면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5% 밖에 남지 않았다. pH안정성은 변형시켜서 α-CD존재 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아서 pH 2∼5와 6∼12에서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HPLC 분석 결과 효소는 하나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변형시킨 것은 당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져서 유출시간이 약간 빨라졌다.
과요오드산-산화전분으로 보리 β-amylase(Biozyme ML, 일본 아마노제약)를 변형시켜서 인공당단백질을 만들었다. pH 8.0에서 변형 한 효소는 비변형효소의 92%, pH 9.7에서 변형한 효소는 42%의 활성이 남았다. 60℃에서의 열안정성은 α-cyclodextrin (α-CD) 존재 시에 변형하여 α-CD존재시 분석한 효소는 10분 뒤에 비활성의 8%가 남은 반면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4.5%밖에 남지 않았다. pH안정성은 변형시켜서 α-CD존재 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아서 pH 2∼5와 7∼12에서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HPLC분석 결과 효소는 두 개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변형시킨 것은 당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져서 유출시간이 약간 빨라졌다.
Streptomyces albus KSM-35의 amylase의 유전자를 Bacillus subtilis LKS88에서 발현시킨 균주를 사용하여 amylase의 생산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탄소원들중에서 sodium citrate와 왕겨의 효소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이들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효소의 생산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가용성 전분에 비하여 20배 이상 증가하였다. 질소원으로 대두박을 사용하였을 경우 yeast extract의 첨가량을 줄이면서 효소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배양을 위한 초기 pH를 60으로 조절하고 SDS를 0.01%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조보다 높은 효소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Bacillus subtilis LKS88 (pASA240)을 sodium citrate와 왕겨 각각 1.5%, K_2HPO_4 0.66%, yeast extract 0.3%, 대두박 0.7%, SDS 0.01% 및 초기 pH를 6.0으로 조절한 배지에서 37℃에서 배양시 최대 효소 활성은 배양 후 36시간에서 나타났으며 이때 효소 활성은 56.6 U/ml이었다.
칡(Peuraria thunbergiana Bentham) 의 뿌리에서 추출한 조효소액을 황산암모늄으로 분획하고 이온교환 크로마트그래픽 및 겔여과에 의해 부분 정제하고 얻은 β-amyl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칡뿌리 β-amylase는 황산암모늄 0.4포화 이하의 획분에서 8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용성 전분을 기질로하여 maltose 를 생성하여 전형적인 β-amylase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적 pH, 최적 온도는 pH 6.0 및 50℃ 이었으며 pH 6.5∼7.0, 50℃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기질농도에 대한 Km은 66.7mg% 이었으며 금속이온은 카드뮴, 알루미늄, 철, 은, 수은, 구리 등의 이온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메밀(신농 1호)을 10℃에서 7일간 발아시켜, 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α-amylase와 유리당의 변화를 관찰,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α-Amylase 활성도는 발아 전 1.66 U에서 발아 1일에 3.95 U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3일째에 1.09 U의 최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일째부터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발아 7일에는 9.18 U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발아 전에 maltose 1.81 ㎎%, fructose 0.42 ㎎%, glucose 7.71 ㎎%, rhamnose 6.80㎎%였다. 발아중 메밀의 유리당 함량변화에 있어서 maltose는 발아초기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3일째에 최저치를 나타내었고 4일째부터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매, fructose는 발아 2일째까지 감소하다가 3일째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Glucose는 발아전 7.71 ㎎%에서 3일째에 0.54 ㎎%까지 감소하였다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일에는 43.18 ㎎%로 발아 전에 비해 약 5배 정도 증가하였다. Rhamnose는 발아 1일째에 1.15 ㎎%로 감소한 상태에서 이후 전발아기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능력이 강한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S1을 접종하여 밀가루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밀가루를 가열처리했을 때에는 날밀가루에 비하여 단백질분해효소와 유기산의 생산은 증가되었으나 당화효소와 호정화효소의 생산은 감소되었다. 밀가루에 염산 0.5%를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 호정화효소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이 감소되었다. 당화효소 생산의 최적급수비율은 32%이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의 최적급수비율은 28%이었다. 당화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는 36℃이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는 28℃이었다. 당화효소력은 120시간 배양시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단백질분해효소력은 96시간 배양시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당화효소의 생산은 곰팡이 접종 후 즉시 성형하는 것보다 24시간 전배양을 한 후에 성형하는 것이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능력이 높고 향도 좋은 Rhizopus japonicus T2와 밀가루로써 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날밀가루로 누룩을 만들었을 때에는 가열처리 한 밀가루로 만들었을 때보다 당화효소의 생산은 현저하게 높아졌으나 산성 protease의 생산은 감소하였다. 밀가루에 0.5%의 염산을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와 중성 protease의 생산이 감소하였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에 가장 적합한 급수비율은 밀가루에 대하여 28%이었다. 곰팡이를 접종한 후 즉시 성형을 하는 것보다 10∼20시간 전배양을 한 후에 성형을 하는 것이 당화효소의 생산에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은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다. 28℃에서 배양할 때에 당화효소 생산을 위하 최적배양시간은 36∼72시간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을 위 한 최적배양시간은 36시간이었다.
당화효소와 호정화효소의 생산능력이 높고 향도 좋은 Aspergillus oryzae L2와 밀가루로써 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밀가루를 가열처리 했을 때에는 날밀가루에 비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증가되었으나 당화효소의 생산은 감소되었다. 밀가루에 0.5%의 염산을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호소의 생산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급수비율은 밀가루에 대하여 28%일 때가 가장 좋았다. 국균을 접종한 후 즉시 성형을 하는 것보다 20시간 전 배양을 한 후에 성형을 하는 것이 당화효소의 생산에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은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생산의 최적온도는 36℃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생산의 최적 온도는 2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