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traits of soybean (100-seed weight, seed coat rate, protein content,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 and the quality of tofu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features of six varieties (Saedanbaek, Daechan, Daepung2, Seonpung, Miso, Saegeum) in terms of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Regardless of cultivar, the order of amino acid composition rate was as follows: Glutamic acid > Aspartic acid > Arginine > Leucine > Lysine. Approximately 50-60% of tofu (dry weight) consisted of protein, and among the cultivars, Tofu made from Saedanbaek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protein at 59%. It was followed by tofu made from Miso at 54%. The rest contained about 50% prote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crude lipid (-0.933**), crude protein (0.961**), and total phosphorus (0.924**)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ofu hardness, and such factors c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of tofu quality.
        4,000원
        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seed is rich in protein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Tofu is a protein gel made from soybean, which is rich in lysine but lacking in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e of pumpkin seeds in tofu manufacture and to determine its qualit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Soybean was substituted with pumpkin seed to obtain pumpkin seed tofu at the following ratios: 10%, 30%, 50%, and 70% (P10, P30, P50 and P70). Tofu manufactured only with soybean was used as a control (Con). The higher rate of pumpkin seed substitu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oisture content and yield rate (p<0.05). In contrast, pH value and turbid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umpkin seed (p<0.05). The L-value (81.74~79.04), a-value (-0.19~-3.89) and b-value (12.40~9.84) of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pumpkin seed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eresis was found among the samples (p<0.05). The hardnes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umpkin seed. The micro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re size of pumpkin seed tofu was smaller than that of C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umpkin seed protein is a useful ingredient in the manufacture of tofu. Increasing the pumpkin seed substitution levels improves the texture of tofu.
        4,000원
        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oxygenase(LOX) 결여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급이가 5주간의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에서 간 조직과 분변 지질 함량 및 생체 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 고지방-콜레스테롤 급이군(HFC),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두부 급이군(태광 두부 급이군, HFC-T1; 개척#1 두부 급이군, HFC-T2; 진양 두부 급이군, HFC-T3)으로 구분하였다. 두부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개척#1 두부가 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 급이군의 비만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개척#1 두부 급이군(HFC-T2)의 비만지수가 가장 낮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이 5.9배 증가되었으며, 개척#1 두부 급이군(HFC-T2)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 함량은 개척#1, 진양 두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두부 급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두부 급이군의 분변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두부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중성지방 함량은 개척#1 두부 급이군에서 가장 많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배출량은 대조군에 비해 두부 급이군에서 다소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HFC-T2 및 HFC-T3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HFC-T2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상승하였다. 간 조직에서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두부 급이군에서 1.4~2.2배 증가되었으며, HFC-T3군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Catalase, GSH-Px 및 UDPGT 활성은 개척#1 두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LOX 결여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섭취는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에 대해 체내 지질 수준 저하 및 항산화 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4,600원
        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of the recognition and using behavior on the Tofu, 46.3% of male and 53.7% of female adults in Daegu and Kyungbuk area were survey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96.4% of the participants usually preferred the Tofu owing to health and about 68.4% of them had purchased Tofu made of domestic soybean. In addition, the responses to 7 questions about the Tofu were also measured on 5 point Likert scale. The item "Tofu is healthy food" and "Tofu is digestive food" were totally received the high point but "Tofu prevents osteoporosis" earned the lowest. Female had generally better knowledge of Tofu than the counterparts. Most participants relatively knew and had eaten common Tofu, soft bean curd, uncurdled bean curd, fried bean curd against functional Tofu such as Tofu added with omija, surimi, spinach, etc. But they intended to eat functional Tofu such as Tofu added with green tea, black sesame, spinach, omija. Furthermore, 60.7% replied "increasing" prospects for the Tofu consumption. 40.0% of adults said the plan should be "Make of good quality domestic soybean" for the purpose of better improvement to consume.
        4,000원
        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of the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 by age of tofu, 46.3% of male and 53.7% of female about 700 adults in Daegu and kyungbuk area were surveyed. 96.4% of the participants usually preferred the tofu owing to health and 68.4% of them had purchased tofu made of domestic soybean. In addition, the responses to 7 questions about the tofu were also measured on 5 point Likert scale. The item "Tofu is healthy food" was totally received the high point but "Tofu prevents osteoporosis" earned the lowest. Most participants relatively knew and had eaten common tofu, soft bean curd, uncurdled bean curd, fried bean curd against functional tofu such as tofu added with omija, surimi, spinach, etc. But they intended to eat functional tofu such as tofu added with green tea, black sesame, spinach, omija. Furthermore, 60.7% replied "increasing" prospects for the tofu consumption. 40.0% of adults said the plan should be "Make of good quality domestic soybean" for the purpose of better improvement to consume.
        4,000원
        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정콩 종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황색콩과 검정콩 전체를 분쇄하여 가공한 두부의 수득량과 두부순물의 수득량은 거의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0.5% 및 5%의 검정콩 껍질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경우 첨가된 껍질로 인해 황색 및 검정 두부에 비해 두부의 수득량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특히, 5% 검정콩 껍질의 첨가 시에 황색과 검정 두부에 비해 1/2수준의 두부순물이 감소하였다. 두부의 물성검사에서는 검정콩 종피를 5% 첨가한 두부에서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황색콩과 0.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 간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는 점착성과 씹힘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기존 두부의 가공비율 대비 0.5% 수준으로 검정콩 종피를 첨가하여도 가공된 두부의 견고성과 씹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관능평가에서는 조직감(texture), 견고성(firmness)에서는 황색콩, 검정콩, 0.5% 검정콩 껍질 첨가 및 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부 특유의 고소한 맛은 0.5% 검정콩 껍질을 첨가한 두부에서 가장 좋은 풍미를 나타내었으며, 5%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서 가장 낮았다. 두부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 세균수와 진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서 황색콩, 검정콩, 0.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 비해 균의 증가가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
        4,000원
        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cultivar ‘Seonpung’ was developed for soy-paste and tofu. Suwon 224 and YS1325-3S-2 were crossed in 2003 and selected from F3 to F5 by pedigree method. The preliminary yield trial (PYT) and advanced yield trial (AYT)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0, and regional yield trial (RYT) in twelve regions was conducted from 2011 to 2013. In RYT, ‘Seonpung’ was stable in variable environments and a high yield cultivar. ‘Seonpung’ is determinate, white flower, yellow spherical seed and yellow hilum. Flowering date and maturity date were Aug. 5 and Oct. 19,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similar to ‘Daewonkong (standard cultivar)’. However ‘Seonpung’ has higher node number (16) and seed weight (25.9g/100-seed weight) than ‘Daewonkong’ (14 and 24.2g/100-seed weight). ‘Seonpung’ is resistant to root rot, and it also has high level of resistance to bacterial pustule and soybean mosaic virus. The yield of tofu of ‘Seonpung’ was 241%, and noticeably lighter, and solidity was higher than ‘Daewonkong’. Soybean malt scent, fermented soybean yield and γ-polyglutamic acid (γ-PGA) of ‘Seonpung’ were 4, 181% and 31.7㎎/g. The yield in adaptable regions was 340kg/10a (21% increase compared to ‘Daewonkong’). ‘Seonpung’ is expected to be cultivated and used widely for soy-paste and tofu. (Registration number: 5931)
        8.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fresh chlorella powder on yield, quality and self-life of organic soybean tofu. After added with a fresh chlorella powder, yields, physical properties, color, shelf-lif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organic soybean tofu added with chlorella powder was compared to the properties of soybean tofu. The yield of soybean tofu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ore than 1% chlorella powder. Hardness of the organic soybean tofu with chlorella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soybean tofu. However, Hunter’s color values of L, a, and b decreased by increases in the chlorella powder concentration. Total microbial population of the soybean tofu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rganic soybean tofu with chlorella. However, pH of chlorella tofu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at 4℃. After 7 days storage at 4℃, the total microbial popul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2% chlorella powder. The L and a value of chlorella tofu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b value of chlorella tofu was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a fresh chlorella powder was a useful material to improve yield, quality and storage condition of the organic soybean tofu.
        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단백’은 고단백 다수성 콩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보광콩’과 ‘수원193호’를 교배한 계통을 다시 단백질 고함유자원인 ‘MD87L’을 모본으로 하여 1999년에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으로 2010년 12월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새단백’으로 명명하였다. ‘새단백’의 개화기는 ‘대원콩’보다 3일 늦으며, 성숙기는 10월 5일경으로 7일 빨라 등숙기간이 10일 정도 더 짧다. 경장은 64 cm로 ‘대원콩’보다 다소 작으며 도복에 강하고 불마름병에 저항성이며 바이러스와 종자병해에 강하였으나 뿌리썩음병에는 약한 편이었다. 조단백 함량은 ‘대원콩’보다 8.9% 높은 고단백 품종으로, ‘단백콩’보다 연차간 단백질 함량의 변이가 적고, 두부수율과 순두부응고력이 높으며 두부의 물성이 양호하여 두부 가공적성이 우수하다. ‘새단백’의 종실 100립중은 20.7 g으로 ‘대원콩’보다 약 4 g 가벼우나 ‘단백콩’보다 5.7 g 무거운 중립종이며, 수량성은 2.53 MT/ha로 표준품종인 ‘대원콩’에 비해 9% 감소하였으나 ‘단백콩’과는 비슷하였다.
        1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풍’은 1998년에 두부 특성이 우수한 동산 128호를 모본으로 하고 미국에서 도입된 Sprite 87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1999년에 F1을 양성하고, 2000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AVRDC에서 SSD (single seed descent)로 F3-F5세대를, 2002년도에는 F6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25-B-B-S-S-S-100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 1호’이다. ‘만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 신육형이며 꽃색은 백색이고, 엽형은 난형이며, 모용색은 회백색이고, 종실 모양은 편구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담갈색이고 협은 성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태광콩보다 9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9.5 g으로 대립이다. 병 저항성은 뿌리썩음병은 강하고, 불마름병은 1이었고 콩나방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41.3%, 조지방은 19.3%였고,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81.2 mg/100g, 아이소플라본함량은 2,425 ㎍/g으로 태광콩보다 높았다. 가공적성은 태광콩보다 두부 수율은 230%로 높았고, 경도는 낮아 부드러웠고,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태광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4% 증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단작에서는 2.41 MT/ha으로 3% 낮았으나, 이모작 재배 시에는 2.87 MT/ha으로 12% 증수하였다.
        1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아’는 내재해 다수성 장류용콩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 여 내도복, 다수성 품종인 ‘신팔당콩 2호’를 모본으로 1999년 도에 인공교배한 SS99505 조합으로 계통육성법으로 선발하였으며 계통명은 ‘강원 110호’이다. 꽃색은 백색이고 잎모양 은 난형이며, 종자모양은 구형이다.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 이고 백립중은 25.2 g으로 ‘태광’보다 2.4 g 무거운 대립이다. ‘태광’에 비하여 개화기는 7월 20일로 11일 빠르고 성숙기는 9월 30일로 5일 빨라 조숙종이면서도 등숙기간은 6일 길다. 특히, 도복에 강하며 불마름병과 바이러스에 강하다. 수량성 은 ‘태광’보다 생산력검정시험에서는 15% 증수하였고, 철원 등 4개 단작지역 적응성검정시험에서는 14% 증수하여 평균 종실수량이 ha당 2.72톤이다.
        1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반’은 대립이며 종자 특성이 우수한 GWS91을 모본으로 하고 Lipoxygenase 2와 3이 결핍된 ‘진품콩’을 부본으로1995년도에 인공교배를 하고 1996년부터 1997년까지 F1-F2양성하였다. 1998년부터 2003년도에 F3 이후 세대를 전개하며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GSL95102-2B-16-5-1-1계통으로계통명은 ‘강원5호’이다. ‘호반’의 주요특성으로는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난형이다. 입형은 편구형이고종피색은 황색, 제색은 황색이며 100립중은 29.0 g으로 대립이다. 개화기는 7월 23일, 성숙기는 10월 5일로 ‘진품콩 2호’와 유사한 중만생종이다. 종실 성분중 조단백함량은 39.0%로‘진품콩 2호’와 유사하였고, 조지방 함량은 18.5%로 다소 높았다. 기능성 성분중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1,995 ㎍/g 로‘진품콩 2호’보다 25% 높았으며, 콩 비린내 유발 효소인 Lipoxygenase 2가 결핍되었다. 조단백 함량은 ‘진품콩 2호’와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함량은 다소 높았고, 메주와 청국장가공 시 발효정도와 풍미가 ‘진품콩 2호’보다 양호하였으며,청국장 수율도 높았다. 수량성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결과 단작지에서 2.69 MT/ha로‘진품콩 2호’ 2.62 MT/ha 대비 3% 증수하였고, 이모작지에서는 2.60 MT/ha로 ‘진품콩 2호’ 2.59 MT/ha와 차이가 없었다.
        13.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버섯성분을 함유한 두부의 면역조절물질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표고버섯(Letino edodes)과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자실체와 균사체를 두유에 첨가하고 응고제로 또는 젖산발효추출물을 사용하여 두부를 만들었다. 두부와 버섯성분이 함유된 두부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Sandwich ELISA를 이용하여 비장세포 배양액에서의 IFN-와 IL-4및 TNF-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혈장과 비장세포 배양액에
        1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cultivar for tofu and soy-paste, "Daemang 2",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hinpaldal 2' and'Seokryang' by soybean breeding team in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5. A promising line,SS93205-2B-8-3-2-1-1-1
        1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variety, “Daol”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2002. It was selected from the cross Keunol//Josaengbaekjo/Keunol.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19.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variety “Jangwon”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0.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crossing between Pokwangkong and SS84040, the elite breeding line with large seed, in the summer season, 1989. The bree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