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정령치~고기리 구간에 대해 해발고별 식생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발고 l00m마다 10m X 10m(l00m2)의 조사구 5개씩 총 45개 조사구를 9개 지점에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군락의 분리를 위해 TWINSPAN과 DCA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령치-고기리 구간은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우점종인것.으로 밝혀졌으나 해발 900m를 기점으로 아교목층 및 관목층의 부수종을 중심으로 식생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사도지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종다양도 분석에서는 해발고간 차이가 없었다.
한국의 개고기 식용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나 정부는 외국인들이 비난한다고 하여 축산물가공처리법에서 개를 제외시켜서 개고기는 정부의 감시를 받지 않고 유통되고 있다. 국민들의 개고기 식용 합법화요구에 행정부는 동물보호단체의 항의를 이유로 합법화할 수 없다고 하고 있지만 국민의 80% 정도는 개고기 식용을 찬성하며, 합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입법부는 국회의원의 20명이 개고기 식용 합법화 법안을 제출하였고, 사법부도 개고기를 식육이라고 판결하였다. 서구인들이 한국의 개고기 식용을 비난하는 내면에는 순수한 동물보호도 있지만 유색인종에 대한 인종차별, 한국에 대한 쇠고기 수출량 증가, 버린 개를 애완견 사료로 사용하기 위한 관심 돌리기, 동물 보호 단체의 기금 모금 등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정부는 국내 동물보호 관련단체를 앞세워서 개고기 식용 반대 여론을 호도하고, 농림부는 동물보호법을 관할하여 개고기 식용을 반대하는 관련 단체의 편을 들고 있으나 이들 단체는 농민들이 아니다. 나아가 정부는 개고기 식용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보이지 않고,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여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 그래서 개고기 식용은 위생의 사각지대에 놓여있고, 개도축 폐기물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개고기 식용을 합법화시켜서 개고기를 위생적으로 유통시키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세수를 증대시키고, 국가의 자존심을 확립해야 한다. 나아가, 농림부는 동물보호법을 환경부 관할로 넘겨서 멸종 위기의 동물만 다루고, 정부는 개고기 식용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조사와 통계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의 개고기 음식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릴 전담 부서와, 연구소를 설립하고 민간 기구도 지원하여 발족시켜야 한다. 개고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가장 세계적인 음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TCC l1454의 유산균 배양액을 3.96 log units, 4.10 log units 및 4.23log units의 농도로 처리한 돼지고기 등심은 4℃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와 저장 안정성 증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처리구는 4℃ 저장 3일 동안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 가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으로 처리한 돼지고기 등심의 외관과 냄새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4℃ 저장 9일 동안 신선한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보다 낮게 좋은 것으로 등급되었다.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ca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 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인 남자 963명, 여자 539명, 총 1, 502명에게 개고기 음식의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다음 연령별, 성별로 나누고 SAS 시스템으로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가장 많이 먹어본 개고기 음식은 보신탕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전골. 수육, 무침의 순이었다. 개고기 먹는 회수는 연간 2∼6회였다. 개고기를 처음 먹어본 나이는 남자는 21∼30세, 여자는 l1∼20세가 가장 많았다. 조선시대의 개고기 요리 중 알고 있는 것은 남녀 모두 개장국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개소주, 옻보신탕, 편육의 순서를 보였다. 개고기를 먹어서 좋아진 점은 남녀 모두 `건강해졌다`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활력이 생겼다`는 순서를 나타냈다. 새로 개발하기를 바라는 요리는 남녀 모두 개구이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탕수육과 즉석 보신탕으로 나타났다.
성인 남자 963명, 여자 539명, 총 1, 502명에게 개고기 식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다음 일차적으로 연령별, 성별로 나누고 SAS 시스템으로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개고기를 먹어본 경험은 평균 83%였고, 그중 남자는 91.9%, 여자는 67.9%였다. 개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남자는 `남을 따라 보신탕집에 가서`가 34.7%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집에서 먹기 때문에 따라 가서`가 25.6%로 가장 높았다. 개고기 식용에 대해서는 평균 86.3%가 찬성하였고, 그중 남자는 92.3%가, 여자는 72.1%가 찬성하였다. 개고기 식용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남녀 모두 `비인간적이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식용견을 별도로 키우고 있다 는 사실은 남자는 79.5%가, 여자는 64.9%가 알고 있었다. 개고기 구입은 남녀 모두 `시장에서 잡아놓은 것을 사온다` 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개고기 식용 비난에 대한 반대 이유로는 첫째로는 남녀 평균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이므로 남들이 시비걸 수 없다`가 가장 많았고, 둘째로는 `맛있기 때문`이었다.
한국의 1998년도 개사육두수는 1, 846, 411마리, 개사육 가구 수는 819, 112가구로 한집당 2.3마리이다. 그러나 식용견 사육업자가 기르는 개의 수까지 합산되어 나타난 결과이므로 식용견은 1, 027, 299마리로 볼 수 있다. 1998년도 한국의 개수출양은 28마리, 수입양은 296마리였다. 중국심양의 심양홍산 식품유한공사에서는 연간 30만마리의 개를 사용하여 도축하며, 그중 20%를 수출한다고 한다. 한국에서의 개고기 요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독특한 음식문화이다. 조선시대에는 개고기를 개장국, 수육, 순대, 구이, 개찜, 느름이, 개소주, 술, 당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하여 먹었다. 현재는 보신탕, 수육, 전골, 무침, 두루치기, 개소주로 요리하고 있으며, 옛날보다 요리 방법이 줄었다. 그 원인은 외국의 간섭과 비난에도 원인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개고기 음식을 다른 나라 사람이 비난하는 것은 부당하고, 월권적인 일이다. 한국에는 식용견이 별도로 있기 때문이다.
개고기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프랑스, 벨기에, 독일, 필리핀, 베트남, 북미나 아프리카의 토인들, 미국 인디언, 카나다 원주민과 알래스카 원주민들이 식용하였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식용하여 온 오랜 역사가 있다. 그래서 개와 개고기 식용에 관련된 수많은 언어, 속담, 풍속이 있다. 오랜 역사 속에서 개고기 식용에 대한 수많은 기록과 요리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보신탕, 수육, 전골, 두루치기, 무침, 개소주 등의 요리만 남아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 풍속에 따라 여름 복날 모두 개고기를 먹는다. 또, 충남의 부여, 서천, 보령, 청양 지방과 그에 접한 공주, 익산, 논산 일부에서는 장례, 회갑, 생일 등의 집안 행사에 개를 잡아서 손님을 접대하는 풍속이 있고, 이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곳은 과거 백제의 중심지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들이 한국의 개고기 음식문화를 비판하는 것은 부당하고, 월권적인 행위이다.
한국 돼지고기의 등심, 햄 및 삼겹살과 수입 삼겹살에서 유리된 드림의 pH, 수분,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다. 또 등심육의 드립에 아질산나트륨 0.02%, 식염 2.0%, 아스코르부산나트륨 0.06%, 설탕 1.0%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0.3%가 되도록 첨가하여 4℃에서 염지하면서 염지효과를 검토하였다. 드립의 pH 및 수분함량은 각각 5.72∼6.05 및 88.05∼90.85%로 부위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국내산 돼지고기 등심, 햄, 삼겹살과 수입삼겹살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1.07, 8.85, 8.76 및 8.13%이었고, 이것을 수분함량과 합하면 99% 정도를 차지하였다. 등심육 드립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다른 부위육보다 많았으며, 부위에 관계없이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드립을 염지하였을 때에 아질산염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pH 상승 정도가 컸고, 미생물 증식이 느렸으며, 아질산근 잔존량은 염지 3일째부터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 염지기간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증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mount of S. typhimurium during cooking processes using pork and japchae (a Korean food which is made from meat, vegetables and noodles), and to support a practical application to develop 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odel. The pork was purchased in a retail shop, cut (0.5 cm × 10 cm × 10 cm, 25 g), tested for Salmonella contamination (results : negative), inoculated with S. typhimurium (10^7 CFU/g), then treated in various conditions related to cooking. After thawing for 24 hours in various condition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was increased to 10^(10) CFU/g at a refrigerated temperature (4-10℃), and to 10^(21) CFU/g at room temperature (22-29℃). After thawing in a microwave oven for 40 seconds,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to l0^8 CFU/g. During the thawing period, the number of S. typhimurium increased over time. At the refrigerated temperature, the number of the bacteria was 10^(10) CFU/g after 24 hours, 10^(13) CFU/g after 48 hours, and 10^(20) CFU/g after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 number of bacteria reached 10^(11) CFU/g in 2 hours, 10^(15) CFU/g in 4 hours, 10^(16) CFU/g in 8 hours, 10^(18) CFU/ g in 12 hours, and 10^(21) CFU/g in 24 hours. After cooking in a frying pan (150±7℃) for 3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6 CFU/g. After cooking in hot water for 20 minutes, the bacterial count was 10^7 CFU/g at 60℃, 10^6 CFU/g at 63℃, and 10⁴ CFU/g at 65℃. The fried pork was mi×ed with cooked vegetables, noodles, sesame oil, sesame seeds, and seasonings to make Korean japchae. This process took 10±2 minutes. The bacterial count in the japchae increased to 10^7 CFU/g from the count of 10^6 CFU/g of the fried pork before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S. typhimurium is effected by various different cooking processe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pork should be cooked in water at over 65℃ for 20 minutes in order to prevent food poisoning, if the pork is contaminated with S. typhimurium. The presence of S. typhimurium in the raw pork is identified in an HA for japchae, and the primary CCP for japchae is inadequate cooking (cooking method and time/temperature). We need to standardize time-temperature-size and amount of pork in cooking japchae, because pork is usually cooked in ordinary frying pans when we make this fo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rious kinds of recipes of deer and roe deer through classical cookbooks written from 1670 to 1943. The recipes of deer and roe deer are found 31 times in the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rom 1715 to the mid-l8th century, which can be classified six groups. Their records are less than other recipes such as beef, chicken, pork, lamb, and dog, but the deer recipe is recorded frequently as four times as the roe deer one The deer were cooked and preserved by the following six ways like large-size drying, drying, boiling, soup, roasting, and gruel, while three ones such as boiling, roasting, and drying were applied to the roe deer.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recipes between deer and roe deer. In case of deer, boiling and drying were the most popular ones with the frequency of 28%. But the recipes of the roe deer, boiling, roasting, and drying are recorded with the same frequency of 33.3%. The recipes were introduced from China, and had many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meat, of which most process reflected the mordern cooking scientific aspect. The main ingredients were flesh meat, tail, and tongue and horn was used with uniqueness. Salt, vinegar, oil soy sauce, and the white part of the green onion were used as main seasonings. Alcohol, chuncho, sesame flower powder, and cinnamon powder are frequently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