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25

        1.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는 지질과 칼로리가 낮은 고단백질 공급원으로, 분말 또는 소스 형태로 가공되어 다양한 식품에 첨가된다. 그러 나 새우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섭취할 경우 심각한 건강 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가공식품에 포함된 알 레르기 유발물질은 인지하고 섭취를 피하기 어렵다. 이에 따 라 가공식품 중 새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우의 열안정성 수 용성 단백질(TSSP)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 한 다클론성 항체(pAb)를 기반으로 간접 효소결합면역흡착 분석법(indirect ELISA)을 개발하였다. 생산된 pAb는 Penaeus japonicus, Metapenaeus joyneri, Penaeus chinensis, Pandalus borealis, Penaeus monodon 등 5종의 새우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였으며, 다른 식품 성분과 교차 반응을 보이지 않았 다. 개발된 pAb 기반 indirect ELISA의 검출한계(LOD)는 0.001%였다. 또한 삶음(100oC, 60분), 멸균(121oC, 60분), 튀 김(170oC, 8분) 처리된 새우 시료에서도 검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 조건 적용 후에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우 TSSP가 열처리 식품에서 새우 혼입 여 부를 식별할 수 있는 항원 및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pAb는 가공 식품에 혼입된 새우 검출을 위한 면역분석 및 바이오센서 개발에 유용한 생체수용체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2.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nach (Spinacia oleracea L.) is a widely consumed leafy green vegetable known for its rich content of vitamins, minerals,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nutraceutical potential. This study analyzed the flavonoid content in three regionally cultivated Korean spinach varieties—Seomcho, Pohangcho, and Bomulcho—in both raw and blanched samples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 A total of 18 flavonoid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cluding flavonol glycosides (spinacetin, patuletin, jaceidin, axillarin) and a flavone glycoside (6:7-methylenedioxyflavone). Notably, acylated compounds such as 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observed among the spinach flavonoid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1,112.03 to 1,368.39 mg/100 g of dry weight in the raw spinach samples, with no significant changes noted after blanching. In Seomcho, the predominant flavonoids were patul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and spinac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while Pohangcho featured spinacetin 3-O-gentiobioside and Bomulcho highlighted axillarin 4'O-glucuronide as the major compounds. These findings provide a comprehensive profile of flavonoids in Korean spinach, reveal regional differences, and suggest their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4,200원
        3.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rtemisia argyi extract (AE) on bone health using a mouse model of ovariectomy (OVX)-induced osteoporosis. A total of seven sham-operated mice and twenty-one OVX mice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control (OVX), estradiol-treated (E2, 10 μg/kg), and AE-treated (100 mg/kg). The treatment lasted for 12 weeks, during which body weight, food intake, hindlimb thickness, grip strength,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ere recorde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was employed to evaluate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The administration of AE significantly increased BMC and BMD compared to the OVX group, with no notabl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lthough AE did not enhance hindlimb thickness, it did significantly improve grip streng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E selectively promotes bone metabolism and may serve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component for preventing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4,000원
        4.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compounds are emerging as promising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hair loss treatments. This review examines various natural ingredients, including green tea (EGCG), pea sprout extract, red ginseng, pumpkin seed oil, rosemary oil, chia seeds, and micronutrients. It summarizes their mechanisms of action, clinical evidence, and safety profiles. These compounds target pathways related to androgenetic alopecia, dihydrotestosterone (DHT),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Clinical and animal studies indicate benefits such as stimulating hair growth, preserving hair follicles, and exhibiting anti-apopto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ith increasing evidence supporting their use among patients with hair loss disorders.
        4,000원
        5.
        202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성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지용성 비타민 흡수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영양 결핍이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비타민 D 결핍은 칼슘 항상성과 골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골밀도 감소와 함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만성췌장염 환자의 다수 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리고 골밀도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삶의 질 저하 및 골절 위험 증가와 직결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만성췌장염 환자에서 지용성 비타민, 특히 비타민 D의 결핍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병태생리, 진단적 접근, 치료 및 모니터링 전략을 고찰하였으며, ESPEN, AGA, JSGE 등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비교함 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통합적 관리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