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

        6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 계통(VIO-6)을 대상으로 하여 꽃향기 성분과 향기패턴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GC/MS 기기를 이용한 꽃향기의 chromatogram peak 양상을 비교한 결과, 나도풍란에서 약 15개의 다양하고 높은 peak가 나타났고 호접란에서는 약 17개의 peak가 나타났으나 피크의 강도와 검출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도풍란의 꽃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linalool, benzoic acid methyl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 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성분들이 향기 발현에 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향종 호접란의 꽃 향기 성분분석에서는 +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linalool isomer, 1,6-cyclodecadiene, bicyclo[2.2.1] heptane등이 주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도풍란과 호접란에서 발현되는 공통적인 향기성분으로는 linalool, geraniol 등의 terpenoid이었으며 호접란과는 달리 나도풍란만 강하게 나타난 성분은 benzoicacid methyl ester(niobe oil) 였다. 이 성분이 나도풍란의 향기의 특징을 구분짓는 주요성분으로 사료되었다. GC/SAW 전자코 분석을 통해 유향성 호접란과 나도풍란에서 chromatogram의 peak와 VaporPrint™ 이미지 분석에 의한 각각 특징적인 전자코 향기패턴을 얻어내었다. 호접란과 나도풍란의 전자코 향기 패턴을 비교해 본 결과 서로 상이성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이 전자코 향기패턴 분석 자료는 앞으로 나도풍란과 호접란의 속간잡종에서의 향기성분 유전 양상 연구와 꽃 향기에 관여한 유전자 분리와 도입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6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oma compounds in sun-dried salt according to saltern material and packaging box were extracted by the headspace and were isolated by using GC-MS.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ketones, heterocyclic compounds and six other compounds. Major aroma compounds in salts were identified as 4-methyl-2 pentanone, 5-methyl-3-hexanone, 4-methyl-3-penten-2-one, 2-hexanol, benzothiazole, 2, 4-bis(1, 1-dimethylethyl)-phenol, and 1, 3, 5 tri-tert-butyl benzene.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altern materials in three salts. Salts stored in Chamaceyparis obtusa (Sieb. et Zucc.) had more diverse aroma profiling than those in Pinus densiflora and Paulownia coreana. We consider that it need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added products for new aromatic salt.
        4,000원
        6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mparison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of Aster tataricus L. (gaemichwi), Ligularia fischeri (gomchwi),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miyeokchwi), and Aster scaber (chamchwi)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r the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in chwi-namuls.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One hundr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gaemichwi essential oil. α-Pinene (11.5%)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myrcene (8.9%) and β pinene (7.5%). Ninety-on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gomchwi. Aromadendrene (14.8%)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β-caryophyllene (7.6%) and 1-methyl-4-(1-methylethylidene) cyclohexene (7.3%). Ninety-fiv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miyeokchwi, moreover, spathulenol (15.7%)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Ninety-six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chamchwi.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21.9%)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β-caryophyllene (9.5%) and δ terpinene (8.9%).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aemichwi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s of pinenes.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omchwi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 of aromadendrene. Spathulenol and epi bicyclosesquiphellandrene we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dorants of miyeokchwi and chamchwi, respectively.
        4,200원
        6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웰빙 추세에 적합한 재료의 하나인 식용꽃의 향기성분들을 분석하여 유효 기능성분들을 검색하고 체 계적으로 확립하여 식용꽃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식용꽃 6종 금어초(노랑, 자주), 금잔화, 패랭이(빨강, 보라), 한련화(노랑, 주황), 비올라(노랑, 보라), 팬지(노랑, 보라) 등 11종류에 대하여 Headspace SPME 방법을 이용한 향기성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잔화(α-Thujene, α-Pinene 등 18종), 팬지 노랑 계열(β-Sesquiphellandrene 등 5종), 비올라 노랑 계열(β-Sesquiphellandrene등 15종), 보라 계열 (Germacrene d10종), 금어초 빨강 계열(β-Myrcene 1 종), 한련화 빨강 계열(2종)의 향기성분이 나타났으며, 팬지 보라계열, 패랭이, 금어초 노랑 계열, 한련화 빨 강 계열은 유효성분이 없었다. 식용꽃에서는 세포생성 및 재생에 효과적인 α-Thujene, 피로경감에 도움이 되 는 α-Pinene, 음식의 향료로 사용되는 limonin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능성 물질 이 용의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70.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휘발성 황 화합물을 비롯한 마늘의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김치 발효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를 이용하여 마늘을 유산 발효시키고, 발효 마늘을 다시 적정 온도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발효과정과 열처리가 마늘의 휘발성 황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i)마늘에 존재하는 주요 휘발성 황 화합물인 allyl methyl sulfide 및 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는 발효과정과 발효와 열처리 병행과정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열처리는 마늘의 자극적 향미성분을 감소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ii)무처리한 G와 발효를 한 FG, 그리고 발효와 열처리를 병행한 FG-H 간에 유의적인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차이는 없었다. (iii) 발효와 열처리를 병행한 FG-H는 마늘시료 G 에 비하여 hydroxyl raidcal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 증가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발효 및 열처리를 통해 새로이 생성된 물질에 의한 환원력 및 metal chelating 활성 증가에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발효 및 열처리를 통해 마늘의 자극적 향미를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발효 및 열처리 마늘은 항산화 활성, 특히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된 식품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1.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 중 신선편이 더덕의 전체적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질량분석기를 기반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패턴변화를 판별함수로 분석함으로써 품질변화를 판단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향기성분이 변화하면서 휘발성 성분이 증가하고 저장 초기에는 DF1값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저장 6일 째에는 DF2의 값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E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 저장 2일째부터 DF1의 음의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되어 급격한 향기 성분의 패턴 변화가 일어났으며, PP 필름으로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4일에서 6일째에, 진공포장의 경우에는 저장 6일째에서 11일 째에 향기 패턴의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PP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와 진공포장의 경우 저장 14일째까지 DF1에 의한 kinetics를 이용하여 품질 예측 가능에 이용할 수 있었다.
        4,000원
        72.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yenipsambab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Hunter's color L and a values of yenipsambab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lotus leaf powder, whereas b value increased. Moreover, addition of lotus leaf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compared to control. Major volatile compounds of yenipsambab were ethyl benzene, 1,3-dimethylbenzene, 1,2-dimethylbenzene, and 5-hydroxymethyldihydrofuran-2-one.
        4,000원
        7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팔레놉시스는 다양한 종을 가지고 있고, 강한 향기를 보유하고 있는 종들이 존재한다. 팔레놉시스 원종 중 P. bellina, P. violacea, P. schilleriana 등 소수 계통들은 향을 보유하고 있어 방향성 육종을 위한 재료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팔레놉시스 방향성 육종을 위한 효율 적인 향기 분석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팔레놉시스 유전 자원 8종류에 대하여 GC-MS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팔레놉시스 ‘3010’에 대해서는 화기 조직별 즉 꽃받침, 꽃잎, 주두, 설판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주된 성분비가 꽃잎과 설판 조직에서 높게 나타 났다. P. bellina 계통의 주된 성분은 linalool(21.21%)이었 다. 전자코를 이용하여 각 계통간 향기성분의 패턴 분 석이 가능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에서는 PCA 보다는 DFA 분석이 더 유용하였다. 방향성 육종 시 보유하는 육종 재료들의 주된 향기 구성성분을 알고자 GC-M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난의 방향성 육종을 위한 향기 분석시스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4,000원
        7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cle part and aging period on free amino acids and aroma compounds of Hanwoo (Korean cattle) cow beef. The M. longissimus (ML) and M. semitendinosus (MS) from 101 mon-old-cows were aged at 2℃ for 14 d. The free amino acids concentration increased in both ML and MS on 14 d of aging. In ML, asparagine, glutamine, histidine, glycine, threonine, arginine, tyrosine, phenylalanine, isoleucine, leucine and lysin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MS. Varieties of aldehydes, ketones, alcohols, hydrocarbons, nitrogen and sulfur compounds were detected in both ML and MS and majority of these compounds showed increasing trend on aging. The ML had higher 14 aldehydes (acetaldehyde, 2-methylpropanal, 3-methylbutanal, 2- 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heptanal, E-2-heptanal, octanal, 2-octenal, 2-nonenal, E-2-decenal, E,E-2,4-decadienal and 2-undecenal), 5 ketones (2-propanone, 2,3-butanedione, 2-butanone, 2-heptanone and 2,3-octanedione), 4 alcohols (ethanol, 1-pentanol, 1-hexanol and 1-octanol), 3 hydrocarbons (3-ethyl-2-methyl-1,3-hexadiene, 3- methyldecane and 2,2-dimethyloctane) significantly (p<0.05) compared with MS. However, the MS had higher 5 nitrogen and sulfur compounds (methanethiol, dimethyldisulfide, fufural, 2,5-dimethylpyrazine and 2-octylfuran) significantly (p<0.05) compared with ML.
        4,200원
        7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mpounds responsible for volatile flavors in Hanwoo and imported fresh beef from Australia,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Different imported beef samples were prepared as Angus beef from Australia,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and the cross beef from the United States.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hexanal, benzaldehyde, octanal, nonanal, nonenal, decanal, E-2-decenal, hexadecyloxirane, tetradecanal, 2,2-dideutero octadecanal, octadecanal, pentadecane, 2,5-dimethyl pyrazine, 4-methyl-2-propyl-furan, 2-hexylfuran, 2-butylfuran, 2- pentylfuran, 2-heptyl furan were observed between loin and eye of round from Hanwoo and imported beef (p<0.05). In loin muscles, various volatile compounds such as hexanal, heptanal, octanal, E-2-octenal, nonenal, E-2-decenal, E,E,2,4-decadienal, 2-undecenal, heptane, 2-butyl fura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anwoo beef as compared to imported beef. However, in the round muscles of Hawnoo eye compounds that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were pentanal, hexanal, heptanal, benzaldehyde, octanal, nonanal, E-2 -decenal, octadecanal, 2-furan methanol and 2-pentyl furan. Further study need to be determined if those volatile compounds can be used as a bio-marker to identify origins of beef.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