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4

        4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생활의 향상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2%의 저염도 통배추 김치에 미삼추출분말을 단독 또는 미삼추출물과 오미자즙을 병용하여 첨가하였다. 김치는 25℃에서 24시간 발효 한 뒤, 4℃에서 40일간 저장하며 5일마다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과 함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H와 환원당은 저장 초기에는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저장 11일부터는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와 용존 CO2 함량은 저장기간 내내 전반적으로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용존 CO2 함량은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 미삼추출분말 첨가군, 대조군의 순서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저장기간 내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단단하게 나타났다. 미생물 중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저장 6일부터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관능특성검사 결과,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은 신맛이 약하고, 경도가 단단하게 평가되어 대조군에 비해 저장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은 미삼추출 분말 첨가군과 인삼향미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쓴맛은 유의적으로 약하게 평가되어 소비자 검사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 없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의 특성검사의 상관관계는, 용출된 국물양은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 pH 및 경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용존 CO2함량과 용출된 국물양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탄산미는 신맛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도 및 아삭거림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맛과 탄산미는 pH와 음의 상관관계,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저염도 배추김치에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성 증진과 더불어, 인삼의 쓴맛을 완화시켜 기호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던 것과는 달리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함께 넣은 처리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 양상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미삼과 오미자즙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000원
        4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mineral, viscosity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mineral content in order was K, Na, P, Ca, Mg, Fe, Zn, Mn, B. The more Omija extracts, Ca, Mg, Fe, Zn, Mn, B was increased, but K, Na, P was decreased. Secondly, Viscosity of control was 538.13cP at rpm 100, and the sauce added with Omija extracts was 464.80~578.00cP. Regardless of Omija quantity there was Psedoplastic characteristic which showed apparent viscosity was decreased even though shear rate was increased.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e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and 1%, 0%, 3%, 5% added Omija was next in order. Finally, Sensory intensitie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gender and occupation of the 5 tastes : As the sourness, bitterness, hotness, salines taste of all over was Omija added quantity was many more, appeared strong intensity, it was sensory intensities of 5% Omija added sauce was the highest. But sensory intensities of sweetness, Male showed 2% Omija added sauce, Female student and cook showed control was the highest.
        4,200원
        4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오미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1.24~4.42mg%, glucose 3.65~4.71mg%, sucrose 0.89~1.69mg%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당질의 대부분을 glucose와 fructose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은 0.98%, 75% ethanol 추출액은 0.89%, water 추출액은 0.58%로 나타나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에 비해 유기용매 추출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water 추출액 60.87%, 50% ethanol 추출액 57.24%, 75% ethanol 추출액 55.61%로 나타나 용매별 전자공여능 효과가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다. SOD 유사환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3.6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4,000원
        4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total acid and free amino acids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Total acid content of Demi-glace sauces was 1.08~1.89% and Omija extracts was 2.77~7.24%. The more Omija extracts added, there was the higher total acid contents. Sauces and extracts of 5% Omija was the highest. Secondly,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s of control was 2518.52mg%, and Omija sauces was 2261.52~2894.14mg%. 2% Omija sauces was the highest among them. Hydroxyproline of total 34 free amino acids was the highest, and Glutamic acid 158.42mg%, Proline 78.90mg% was next in order. Arginine was the highest with 27.40~34.40mg% among 9 essential amino acids contents.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contents with 123.18~158.42mg%. Compared to control's(0.41mg%), Omija added group was 20.63~27.82mg% and it was the highest increase. While other 15 amino acid was analyzed, Hydroxyproline was the highest contents with 1,737.22~2,205.80mg%. Compared to control group(15.63mg%), proline was 57.01~78.90mg% Omija added group and it was increased with the highest contents. In essential amino acid, flavor enhancing amino acid and other amino acid were increased and the highest contents with 2% added Omija sauce.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overall preference, It was fin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2% added was the best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acceptability(P〈.001). In terms of Demi-glace sauces' gender preference, male and female people liked 2% added Omija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acceptability. It was fi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4,200원
        51.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추출물의 가열 및 저장에 의한 변색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품 소재로써 오미자 추출물의 이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식품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첨가물인 당과 색소 안정화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단당류로써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써 sucrose, maltose를 처리한 결과 단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촉진시켰고 이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maltose를 10%처리하였을 때 40%정도 변색이 억제되었다. 색소 안정화제 로 각각 1%와 5%의 maltodextrin, β, γ-cyclodextrin, ascorbic acid, phosphoric acid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β- 및 γ-cyclodextrin과 maltodextrin 5% 처리구의 경우 DI값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잡한 구성성분으로 인하여 matrix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의 적용효과를 조사하고자 오미자 색소 추출물을 첨가한 겔 시스템을 모델 식품으로 사용하여 25℃ 및 35℃에서 저장하면서 표면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 및 기간이 증가할수록 a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altodextrin을 5.0% 첨가한 경우 a 값이 15~20%증가하여 matrix effect가 고려된 실제 식품에서도 색소안정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4,000원
        52.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유기산을 분석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 유기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변화와 미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중에 유통되는 김치에서 분리한 CS6 은 김치의 숙성과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에 대해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항군활성을 보였다. 최소 저해농도는 62.5 mg/ml이었고, 액체배지의 경우 0.5 ㎍/ml 첨가시 미생물의 증식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2.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산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0.5% 이하 첨가시에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0.4% 첨가시에 맛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오미자 ethanol 추출물에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중 강한 항규활성을 보인 유기산은 succinic acid였으며, 이의 항균활성은 오미자 ethanol 추출물과 비슷한 저해효과를 주었다. 4. Succinic acid를 첨가한 김치의 경우, 미생물의 생육저해로 김치의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으로 밝혀졌고, 배양말기까지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였고, 역시 0.4% 이하 첨가시 맛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5.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β-amylase에 대해서는 낮은 저해율을 보였지만 α-amylase, glucoamlase에 대해서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조직의 연화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의 Avicelase 저해효과는 CMCase에 대한 저해효과보다 더 강했으며, 과숙김치에서의 경도 유지효과가 기대된다. 7. 연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효소로 생각되는 polygalacturon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오미자 ethanol 추출물 25 ㎍/ml 첨가시에 66.7%의 저해율을 보였고 30 ㎍/ml 첨가시에는 92.6%의 저해율을 보였으나, pectinesterase 의 경우 15 ~ 30 ㎍/ml 첨가시에 15 ~ 20%의 낮은 저해율을 보였다.
        4,000원
        5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The effects of preservatives, antibiotics and oriental medicines on growth of tes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all tested bacteria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tes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xtraordinarily inhibited by more than 0.2%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under control condition had mean values of 0.514(hr-), 0.381(hr-) and 0.489(hr-), respectively. When 0.2%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added, specific growth rates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1.26, 2.23 and 1.50 fold,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0.25% on the tested microorganisms. The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MG82 was more inhibited by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an other tested microorganisms.
        4,000원
        5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cooking methods of Omija-Pyun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tarch densities (6% 7%, 8%, 9%) on the texture and taste of Omija-Pyun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1) It was better for Omija to soak for 18 hours. The most favorite Mungbean starch density of 7% of Omija-Pyuns has the degree of lightness of 18.90, the degree of redness of 19.18, and the degree of yellowness of 3.98. 2) The Brix of syrup used for Omija-Pyuns was 49.4%. 3)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exture through Instron, if Mungbean starch density is increased, its hardness also increase. Each of the Omija-Pyuns (6%, 7%, 8%, 9%, in density) has showed its effection (p<0.05). 4)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Omija-Pyuns produced with Mungbean starch density of 7% was most preferred in appearance and overall taste, but it did not show the statistical effection (p<0.05) from the Omija-Pyuns produced with Mungbean starch density of 8%. The flavour was highest in Omija-Pyuns of 6%, and as the density was increased, the flavour decreased.
        4,000원
        59.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gelling agents on textural properties of omija pyon. As a gelling agent, mungbean starch had been used in traditional omija pyon. In this experiment, gelatin and pectin were also tried for better tex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One percent pectin addition showed desirable textural properties in both starch and gelatin jelly. 2) No significant effect on rheological values was found according to various sugar concentration(10, 15, 20%). 3) There was a saving effect of sugar concentration when adding 1% pectin to starch jelly, comparing textual properties as sensory scores.
        4,000원
        60.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studies fatty acid composition of water extracts of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ated omija parts (fruits, endocarps, seeds) were determined by DPPH methods and by in vitro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system.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different by parts of omija and major fatty acids are linoleic, oleic, and palimitic acids, among fatty acids is water extracts of parts of omija, linoleic acid was highest in content. Methanol and buthanol fractions of seeds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endocarps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methods. Methanol and buthanol fractions of seeds also showed on inhibitory effect on in vitro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