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3

        12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을배추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접종시기와 접종밀도에 따른 배추의 수량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배추 정식 5일후 담배거 세미나방 0, 5, 10, 20, 40마리/100주 접종 20일 후 피해엽율은 각각 0.9, 44.2, 60.8, 67.3, 77.7%였고, 정식 20일 후 접종은 0.7, 14.55, 19.8, 31.9, 39.9%로 정식 초기에 피해가 더 심했으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피해엽율이 높았다. 담배거세미 나방 무접종구의 수량 1,302kg/10a를 기준으로 정식초기 40마리 접종구는 439kg 으로 66.3%, 정식중기 40마리 접종구는 34.7%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유충밀도와 수량의 회귀분석 결과 정식초기는 Y=-21.85X+1300 (R2=0.997), 정식중기는 Y=-12.1X+1382 (R2=0.998)로 산출되었고 이를 근거로 배추 수량 5%를 경감시키 는 담배거세미나방 밀도는 정식초기는 2.9마리, 정식중기는 5.6마리였다. 배추에 서 담배거세미나방 발생밀도와 수량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으로 접종밀도가 높을 수록 수량은 크게 감소하여 배추 수량에 담배거세미나방 발생밀도가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2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가 배추벼룩잎벌레 유충의 천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북 김제시 백산면 양배추 포장(3000㎡)에서 양배추 생육 기간동안 배추벼룩잎벌레와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배 추벼룩잎벌레의 발생소장은 2008년 5월 상순 발생을 시작하여 점점 증가하고 6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009년에도 비슷한 발생 경 향을 나타내었다. 배추벼룩잎벌레 발생밀도는 최고 5.5마리/엽으로 매우 높은 경 향이었다. 동일포장에서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는 6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8월까지 발생밀도가 증가하였고, 최고 2.9마리/㎡였으며, 배추벼룩잎벌레 발생양 상과 비교하여 볼 때 배추벼룩잎벌레 밀도가 먼저 증가하고, 이후에 증가하며, 발 생피크가 배추벼룩잎벌레보다 늦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천적의 발생양상을 보였 다. 발견된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는 토양표면과 땅속을 빠르게 이동하며 톡토기, 잎벌레 유층 등 토양표면 또는 토양내 미소동물을 잡아먹는 곤충으로 천적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넉점꼬마강변먼지벌레가 발견된 김제 양배추 포장은 양배 추, 배추, 무 등을 10년이상 친환경으로 재배하였던 포장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천적류도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어 좋은 연구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12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conventional salted cabbages. Here, we studi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purchased salted cabbage samples from 15 companies. The purchased salted cabbages used a sun-dried salt, but two samples used a mixture of sun-dried salt and processed salt. There were 4 times of washing, 3 steps of washing after automatic washing, and 3 steps of washing after bubble washing as washing methods for the salted cabbages and ground water was used as the washing water. Also, three samples received HACCP certification. The salt contained in the purchased salted cabbages ranged from 0.5% to 2.0%, representing low salted cabbages. The pH of the purchased salted cabbages ranged from 5.32 to 6.47, and hardness ranged from 1, 997g to 3, 665g. Rewashing was necessary before using some salted cabbages due to foreign materials such as insects, soil, etc. Total bacterial counts of the purchased salted cabbages ranged from 3.36 log to 6.06 log and coliform bacteria ranged from below 1 log to 6.05 log, whereas other pathogens were not detected.
        4,000원
        12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 을 통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봄 배추(CR-새신록엇갈이) 정식(4월 중순) 후 생육초기(정식 5일 후)와 생육중기(정 식 30일 후)에 벼룩잎벌레를 밀도별로 접종한 후 상품수량을 조사, 피해율을 산출 하였다. 시험구는 망사케이지(1×1×2m. 120목 나일론 재질)로 격리하였으며, 난괴 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접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30.35X + 1418.5, R2 = 0.8656이었으며, 피해율은 10주당 2마리 처리구에서 3.6%, 16마리 처리구에서 37.8%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접 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20.41X + 1366.8, R2 = 0.9278이었으며, 피해 율은 10주당 10마리 처리구에서 3.1%, 40마리 처리구에서 66.2%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배추 봄 재배시 상품수량 피해허 용수준을 5%로 감안할 때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생육초기 1마리/10주, 생육 중기 7마리/10주로 분석되었다.
        12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랭지 배추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을 생물 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안은 천적 대량방사와 천적 유인식물의 도입이다. 이를 위해 2009년 4종(레드클로버, 감국, 배초향, 메밀), 2010년 3종(부처꽃, 부추, 메 밀) 식물의 천적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배추묘 정식(15×8m/구) 한달 후(7/28) 배 추좀나방 성충 200마리를 접종하였다. 산란과 부화를 거쳐 충분한 밀도의 배추좀 나방 유충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8/9)에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 성 충을 구당 60마리씩 방사하였다. 천적방사 후 일주일 간격으로 유인작물 시험구별 배추 10주의 잎에 붙은 고치의 수를 4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천적방사 1주와 2 주차에 가장 많은 고치를 보인 곳은 부처꽃(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도 입 배추밭이었으며, 부추>메밀>무방사구 순이었다. 그러나 3주차에 접어들면 모 든 시험구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2009년의 경우, 감국(Chtysanthemum indicum L.)이 심겨진 배추밭에서 고치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유인식물간 유의성은 없었다. 2010년 야외 고치발생 밀도는 2009년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2009년 8월 하순 이후부터 강수량이 극히 적어서 낮은 상대습도와 긴 일조시간 때문에 배추좀 나방 발생량을 증가시켰고 이는 천적기생률 및 고치개체수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배추좀나방의 기생천적인 배추나비고치벌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부처꽃을 배추밭에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경제적 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부처꽃 재식밀도에 대한 시험이 요구된다.
        12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ur major agricultural insect pests,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were irradiated with 30, 50, 70, or 100 Gy electron-beam. Longevity, egg hatching, emergence, and fecundity of the test insects were measured. Hatchability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declin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and all B. tabaci and T. urticae eggs were dead at 100 Gy. When eggs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were irradiated, hatch was inhibited. B. tabaci adults grown from 70 Gy irradiated eggs did not lay eggs. Fecundity of P. xylostella from the 100 Gy irradiated eggs decreased. When B. tabaci, P. xylostella, M. persicae and T. urticae nymphs/larvae were irradiated, the results were similar as those of the hatched eggs. When P. xylostella pupae were irradiated with 100 Gy, fecundity of emerged adults decreased and no eggs hatched. When B. tabaci, P. xylostella, M. persicae and T. urticae adults were irradiated with 70 and 100 Gy, fecundity decreased and egg hatch of B. tabaci was inhibited. However, the longevity of adults did not change and electron-beam irradiation of all developmental stages had no effect on the longevity of adults.
        4,000원
        13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추와 배추에서 피해가 많은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의 친환경방제 방법에는 천적, 친환경자재 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에 적용할 수 있는 식물추출조성물로 이루어진 친환경자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 페트리디쉬와 포트 검정에서는 1% Pyrethrin+0.6% Matrine (PM), 1.5% Natural Pyrethrins (NP), 10% Nicotine (NI) 3종류의 식물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페트리디쉬 검정에서 복숭아혹진딧물에 각 식물추출조성물을 500배, 1,000배, 2,000배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째 살충력을 조사한 결과 PM, NP, NI 모두 500배와 1,000배 농도에서 95% 이상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포트 검정에서는 고추와 배추 유묘가 심겨져 있는 포트에 각 식물추출조성물을 각각 3일, 5일, 7일 간격으로 1회, 2회, 3회 살포한 후 5일째까지 24시간 간격으로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PM, NP, NI의 500배 농도 처리에서는 살포간격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다. 그러나 1,000배 농도로 3일과 5일 간격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85%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지만, 7일 간격 처리에서는 80% 이하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2,000배 농도로 3일과 5일 간격으로 1회와 2회 처리에서는 살충력이 낮았으나, 3회 처리에서 80~85%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7일 간격 처리에서는 살충력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3종류의 친환경자재를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에 이용할 때는 1,000배 농도로 3일~5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13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consumers have become used to products geared toward a more convenient lifestyle, thus, the demand for salted-cabbage, for use in preparing Kimchi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urchasing factors,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salted-cabbage, and to ascertain a marketing strategy for expanding the use of salted cabbage in food-service departments of school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31 buying agents who manage food materials for school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V.14.0 program. 46.9% of the participating respondents were from elementary schools, 27.7% from middle schools, and 25.4% were from high schools.. Most of the subjects (67.9%) recognized the salted cabbage retailed for foodservice, but 62.3% of these had not purchased them, due to both their lack of trust in the sanitation and raw material handling of the food product, and the high price. Respondents considered different factors when deciding whether or not to purchase: the origin (local or imported) of the cabbage, hygiene, and taste, as well a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abbage weight, package weight, and package materials. The score of post-behavior intentions as well as overall satisfaction was rather high. Also, they perceived the need of strategic promotion for enlarging the market portion of salted-cabbage. These results will done the guidelines for diversifying the salted-cabbage market and for creating an added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rural areas.
        4,000원
        13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kinds of commercial salts, including sun-dried (Korea), purified, and traditional salts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imchi was prepared by salting in 10% NaCl solution for 2 hours followed by addition of other spices and fermentation at 20℃. The decreases in pH suggested that kimchi fermentation can be classified into 3 steps: initial, intermediate, and final stages. In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traditional salt kimchi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kimchi.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est for kimchi, sensory scores were high for traditional salt addition, especially taste, overall preference and texture. Among variou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Pichia membranaefaciens and Escherichia coli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ditions of kimchi fermentation, a 2% and 5% concentration of each salt were studied. Also, the conditions of the cultures at 37℃ were examined.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Escherichia coli in the different kinds of salts. However, the growth of Pichia membranaefaciens was strongly inhibited by a 5% concentration of traditional salt during incubation at 37℃.
        4,000원
        13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re known to be potent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hen the bacteria are injected into the hemocoel. This study investigated any pathogenic effect of their culture broth on P. xylostella by oral administration. Only culture broth of both bacterial species did not give enough pathogenic effects by the oral administration. However, when the culture broth was orally treated together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both cell-free culture broth significantly enhanced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3rd instar larvae of P. xylostella. The culture broth was then fractionated into 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extracts. Mos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was found in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species. Thin layer chromatography of these extracts clearly showed that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culture broths possessed metabolites that were different to those of hexane and aqueous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th entomopathogenic bacteria produce and secrete different factors to give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4,000원
        13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추 재배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고온과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생육반응과 세포조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처리는 '대기중 온도+대기중 CO2 농도(Control)', '대기중 온도+대기보다 CO2 2배 상승(Elevated CO2)' '(대기온도보다 4℃ 상승+대기중 CO2 농도(Elevated temp.)', '대기온도보다 4℃ 상승+대기보다 CO2 2배 상승(Elevated temp.+CO2)'의 4가지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대기조건보다 온도만 높아지게 되면 배추의 생체중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수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도가 높아지고 CO2 농도가 동시에 올라가게 되면 생육이 어느정도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륨과 인산함량은 처리별로 차이가 없었지만 칼슘과 총질소함량은 온도만 높인 처리에서 높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온도와 CO2 농도를 동시에 높인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추잎의 세포 관찰결과 CO2 농도를 2배 정도 높인 처리에서 잎내의 전분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도만 높인 처리에서 전분 함량이 가장 낮았다.
        4,000원
        14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좀나방은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십자화과 채소의 연중재배가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피해가 심한 농작물 해충 중 하나이다. 이 해충은 세대기간이 짧고 화학농약의 집중살포로 인해 저항성이 빠르게 발달 되어 방제가 어렵고 미생물제제인 B.t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보고되고 있는 실 정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해결과 친환경적 방제를 위하여 천적의 이용이 증가 하고 있지만, 천적과 미생물제제를 동시에 이용하여 종합적 해충방제를 하기 위한 시도들과 그에 따른 방제효과에 대한 정보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배추좀나방 방제를 위해 이용되는 천적인 조명알벌의 기생율과 국내에서 시 판중인 B.t 약제의 혼합 처리시 방제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추좀나방에 이용되고 있는 천적 중 알에 기생하는 조명알벌과 B.t 생물농 약 T제품을 투입시기를 달리하여 처리 후 조명알벌의 기생율과 배추좀나방 유충 생존율, 피해엽수 등을 조사하여 각각의 처리와의 방제효과를 비교하고 자 하였다. B.t 약제를 처리 후 천적을 투입하였을 때 이전보다 좋은 방제효과 를 나타내었는데, 이와같이 혼합처리를 통한 배추좀나방 모든 발육단계의 동 시방제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친환경방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대표적인 농업해충인 파밤나방과 거세미나방에 대한 조명알벌 의 기생율과 배추 포장실험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연구할 계획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