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2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are medium-sized carnivorous mammals in Korea. To determine their dietary habits, feces of leopard cats and yellow-throated martens were collected from Jirisan Mountain and hairs from the feces were analyzed in a non-invasive manner. Results showed that both species mainly preyed on Rodentia, with yellow-throated martens also consuming fruits and insects. Notably, they hunted wild boars and roe deer/water deer. Their ability to prey on animals larger than themselves suggests they can serve as ecosystem regulators in the absence of large carnivores such as tigers and leopar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ir dietary habits through non-invasive hair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aseline data for habitat identification and conservation research.
        4,000원
        2.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y of zooplankton research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and discusses its main characteristics by topic. A review of major academic search portals revealed 56 studies on zo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account for 27.6% of the 203 domestic freshwater zooplankton studies. With the exception of one study cond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estuary barrage, all other research was carried out after the barrage was built. Of the studies, 27 were related to lotic ecosystems, and 29 focused on lentic ecosystems, with research predominantly conducted south of Daegu Metropolitan City. Short-term studies of less than a year were common for lentic ecosystems, while longterm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lotic ecosystems. The key research sites were the Mulgeum water intake in the lower Nakdong River and Upo Wetland, the largest inland wetland in Korea, where research periods and zooplankton sampling were most diverse. Research on predation and prey interactions has been ongoing, as zooplankt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by feeding on phytoplankton and serving as food for juvenile fish. Recent studies show that, since around 2015, the water quality and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around Mulgeum have changed, requiring continuous monitoring. To address this, predictive model analysis, isotope analysis, and indicator analysis, widely used in Nakdong River research, could help develop health indicators for aquatic ecosystems using zooplankton.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23년 전라남도 내 유통 수산물 중 동 물용의약품 모니터링을 하였다. 수산물 124건에 대하여 동 물용의약품 136종을 식품공전 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 동 시 다성분 시험법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검사결과 잔류허 용기준 이하로 검출된 시료는 16건(13%), 검출되지 않은 시료는 108건(87%)으로 나타났다. 동물용의약품이 검출된 수산물은 광어, 조피볼락, 도미, 미꾸라지 4종으로, 검출된 잔류동물용의약품은 엔로플록사신, 옥시테르라사이클린, 트리메토프림, 아목시실린이 각각 검출되었다. 동물용의약 품 잔류허용기준이 초과한 수산물은 없었으나 동물용의약품이 잔류한 수산물이 꾸준히 검출되고 있어 안전한 수산 물 유통을 위해서는 모니터링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 각된다.
        4,0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al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obesity effects of burdock(Arctium lapp L.) extract and processed (Beopje) burdock extract in a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odel. When burdock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250 mg/kg BW and the Beopje burdock extract was administered at 250 and 500 mg/kg BW, they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s increased by a high-fat diet, improved food efficiency ratio, decreased adipose tissue weight by si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Blood ALT and AST contents as liver function-related indices increased by the high fat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Beopje burdock extract. Results of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liver showed that the Beopje burdock extract alleviated fatty liver phenomenon induced by a high-fat diet. In addition, levels of blood TNF-α, IL-6, and IL1-β increased by a high-fat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B-L and ALB-H. Therefore, Beopje burdock extract can improve obesity in a high-fat diet-induced obese animal model by improving blood lipids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increasing body water, and decreasing body fat more than the burdock extract.
        4,6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view examine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practical enteric methane emissions from ruminants, considering their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warming. Global warming is significantly driven by an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with rising methane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accelerating global warming recently. To successfully mitigate CH4 emissions and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it is essential to apply reliable measurement techniques. This will allow for an accurate assessment of on-farm CH4 emissions. The priority should be to gather CH4 emission data that reflects the actual state of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The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ethods used to measure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by compiling existing researches. It introduces the concepts,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these methods to facilitate comparisons between existing approaches. This review discusses methods for measuring enteric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at the farm level, including the tracer technique, laser methane detector, GreenFeed, and sniffer system. These methods are highlighted as potential tools to accumulate substantial data on on-farm CH4 emission from domestic animals with provides examples of international cases. Among these, this review introduces the Sniffer method, a CH4 emission measurement techniques that are suitable for on-farm use under domestic condition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ts application. In addition, by presenting international cases where predictive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on-farm CH4 measurement techniques, it is projected that if predictive models for CH4 emissions are developed by accumulating data at the farm level, it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livestock industry in various promising ways.
        5,700원
        6.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교감활동이 아동의 사회정서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위치한 초등돌봄교실에 등록된 28명의 아동으로,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에게는 6주 동안 주 2회씩 동물교감활동을 실시하였고, 통 제집단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았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동들은 동물과의 상호작 용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타인과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교감활동이 아동 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교육 현장 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 을 위한 동물교감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과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000원
        7.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동물매개 활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 토끼 등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매 개 치료 동물 외에도 다양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동물 군을 발굴하고, 동물매개 활동 및 치료에서 파충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매개치유 생물로 누에 나방(김소윤 외, 2022) 이나 수족관 물고기(최영복, 2023) 등을 이용한 선행 연구가 있었 다. 기존의 매개동물로 사용되는 개, 고양이, 토끼 등 포유류는 따뜻한 체온과 친밀감을 통해 안정감을 제공하지만, 파충류는 그와는 다른 자극을 유발하며 매개 동물로서의 안전 성과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있는 적합한 종들을 선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파충 류로 도마뱀은 호주 턱수염 도마뱀(Bearded Dragon), 푸른 혀 도마뱀(Blue-tongued Skink) 등 2종, 뱀은 공 비단구렁이(Ball python), 우유뱀(Milk Snake) 등 2종, 거북은 붉은 다리 육지 거북(Red-footed Tortoise), 중국 상자거북(Chinese Box Turtle) 2종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공격성이 낮고 인간의 핸드링에 익숙하며 체질이 강하고 환경변 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늘의 형태가 달라 다양한 질감을 느낄 수 있거나 신체 구조가 독특하여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종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 해 데이터를 검색하였다.
        4,200원
        8.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양이를 활용한 동물매개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학 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에 거주 하는 4명의 맞벌이가정 아동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고양이를 활용한 동물매개 프로 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실시한 뒤,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양이를 활용한 동물매개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운영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bitat environment and food sources of fish,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rown trout (Salmo trutta) downstream of Soyang River Dam were analyzed. Water temperature at the site where brown trout was identified ranged from approximately 12.4 to 13.4°C, confirming that this environment could provide an optimal water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brown trout. Most of the riverbed structures at this site had a high proportion of cobble and pebble substrates. Brown trout constituted less than 5% of the total fish population, more abundant in the upstream. The total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brown trout showed a parameter b value of 3.234, with the condition factor (K) increasing with length. Dominant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Limnodrilus gotoi and Chironomidae spp. (non-red type). Stomach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brown trout primarily consumed aquatic insects (R.A., 73.8%), non-insects (R.A., 23.3%), ground insects (R.A., 2.7%), and fish (R.A., 0.2%, TL: 246 mm).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and species preferring flowing water (p<0.05) and a negative relationship of total length with species favoring low-flow, sandy habitats (p<0.05). Larger brown trout showed active feeding behavior and resilience to flow speed and riverbed structure. The primary food source for the largest brown trout (TL: 246 mm) was Hypomesus nipponensis. Future analyses should include brown trout with a total length of 30 cm or more. Given that samples were limited, comprehensive population management will require ongoing research.
        5,200원
        1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식지에 따른 토양 절지동물 풍부도 및 딱정벌레 다양성 연구를 위해 세 종류의 시료(낙엽층과 토양 혼합, 낙엽층, 토양 시료)를 확보 후 체 털어잡기 하였다.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강원도와 충청북도에서 혼합 시료, 낙엽층 시료, 토양 시료 각각 25개씩 총 75개의 시료를 확보하였 다. 딱정벌레목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세 가지 시료 중에서 혼합 시료에서 가장 높은 풍부도, 종 부유도, Shannon 지수가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는 체털어잡기의 생태학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토양성 절지동물의 채집과 시료 종류 사이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최 종적으로 토양생태계 연구의 발전과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r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resence of Melanoides tuberculata (an invasive alien species), which was confirmed during the “National Survey on the Status of Alien Species” in Jukdang stream (also known as Guppy Stream, located in Icheon, Gyeonggi Province), which is affected by the year-round discharge of heated effluent from a large semiconductor factory and where various tropical organisms, including ornamental fish, appear due to artificial release. A Total of 52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they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native melanian snails by their reddish-brown flames and spots. Genetic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e species as Melanoides tuberculate. Melanoides tuberculata typically inhabits tropical climates, but its presence has been confirmed in altered aquatic environments such as Jukdang stream, where the water temperature remains warm even in a temperate climate. This indicates the need for further monitoring of domestic streams with similar conditions, particularly those receiving heated effluent, like Jukdang stream. Additionally, due to its strong reproductive capacity, including parthenogenesis, and its adaptability to various environments, there have been cases where the populations of Pomacea lineata and Aylacostoma tenuilabris have declined. This suggests that Melanoides tuberculata may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interspecific competition, potentially suppressing native species populations if it spreads within the domestic ecosystem. Melanoides tuberculata serves as an intermediate host for parasites that can cause diseases in both humans and animals, raising public health concerns in many countries. There is also a significant risk that it could be mistaken for native melanian snail species and consumed, which necessitates a high level of caution.
        4,000원
        14.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esity is the cause of many diseases, and its severity continues to increase.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This study summarized the studies that evaluated the effect of Panax ginseng on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n animal models. A total of 7 studi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which five were judged to have a high risk of bias. Indicators of UCP1 mRNA, UCP1 protein, and PGC- 1a were used in the meta-analysis, and the certainty of evidence progressed for each indicator, with UCP1 protein showing the highest certainty of evidenc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5 works of literature with standard indicato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UCP1 protein level and PGC-1a mRNA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 protein levels of PRDM16 and TFAM increased in several studies (not a meta-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ax ginseng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its mechanisms and possible side effects fully. Thus, it is concluded that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can promote non-shivering thermogenesis and improve mitochondria function in animal models, opening up new avenues for research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4,200원
        16.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심리적 회복과 성장을 돕기 위한 애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한 후 참여자들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미술, 글쓰기, 명상기법 등을 포함한 통합적 애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를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 8명에게 실시 했다. 총 8회기의 프로그램 과정 및 프로그램 전과 후에 참여자들과 1대 1로 심층면담을 수행했고, 이를 Colazzi가 제시한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애도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반려인들의 변화를 정서 적, 인지적, 관계적, 행동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긍정적 추억 이 되살아남’, ‘죄책감의 완화’, ‘자기에 대한 자비’, ‘부정적 자신과의 화 해’. ‘새로운 삶의 정체성’, ‘반려동물과의 유대감의 지속’, ‘상호지지와 유대감’, ‘현재의 삶에 집중’, ‘가치지향 행동’이라는 9개의 구성요소와 3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반려동물 상실 자조모임이나 애도 집단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제언을 했다.
        8,700원
        17.
        202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 기반 소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명 존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S시 A초등학교의 남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한 21회기 프로그램을 통 해, 사전과 사후, 그리고 추후 검사를 통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안정감 과 생명존중에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특히,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후 협동성, 공감 능 력,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동물을 활용한 소집단 상담이 초등학 생의 정서적 안정 및 사회적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제공하였다.
        4,000원
        18.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는 반려인들이 입양부터 생애주기 동안 반려문화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살펴보 고자 하였다. 그동안 연구들은 애완동물로 보거나 반려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효용감이나 긍정적인 감정 위주로 연구 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 반려인이 반려동물 생애주기 동안 꾸준히 함께 경험하는 문화 전반을 살펴보 고자 하였으며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반려동물 양육 경험이 있는 10명을 심층 면담하고 총 6개 범주 와 23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유로 반려동물을 입양한 반려인들은 본인의 반려동물 사회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영양학적인 관심, 반려동물 문화 공간을 방문하는 경험을 했다. 둘째, 동시에 SNS 기능을 활용하여 반려동물을 양육한다는 공동체적 경험을 했으며 반려동물의 식단을 공유하여 심도 있는 공부 를 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공부가 아닌 사료 성분을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고 사람용 영양제를 반려동물에 맞추어 급여하기도 했다. 셋째, 사회적 현상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열악한 환경에 놓인 동물들이 있으면 관련기관에 항의 활동을 규모 있게 진행하였는데 해당 동물들이 보호소 등으로 인계되면 관심을 놓지 않고 계속해서 후속적인 기부 등의 도움을 주며 반려인으로써 책임감을 가지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동물 생애 동안 반려문화 를 경험하는 반려인에 관한 경험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으로 반려문화가 더욱 개선되기 위해 관련 한 제도와 법안 개선, 개인의 질서와 의식 함양, 생활 전반의 반려문화 요소 증가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4,300원
        19.
        202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외 동물보건사 자격제도와 업무범위에 대해 비교 및 분석하여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2024년 국내・외 논 문 및 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동물보건사의 자격제도와 업무 범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 였다. 이를 통해 다소 체계적이지 않은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 범위의 방향성을 제시하 기 위해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동물보건사 자격제도를 조사한 결과, 국내의 동물보건사는 동물 간호 관련 학과를 졸업 한 후 동물보건사 국가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미국은 수의 테크니 션 교육 및 활동에 관한 위원회를 졸업한 후 VTNE를 통과해야 하며, 영국은 약 7년 동안 수의 간호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본은 애완동물 간호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공부 한 후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고, 호주는 수의학 간호사 관련 시설에서 교육받은 후 자격 을 취득할 수 있다. 동물보건사의 업무 범위는 국내의 경우, 수의사의 지도 아래 약물 도 포, 경구 투여, 마취 및 수술의 보조 등을 수행하고 있다. 반면 국외의 경우, 영국은 수의 간호사가 수의사의 지도하에 내・외과 처치를 할 수 있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여 이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는 간호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규제 요건에 대해 관련 주 또는 규제 당국에 확인 후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수의사의 지시하에 침습적인 의료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 범위가 국외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 를 기점으로 업무 범위에 대해 법적으로 명확하게 규제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동물보건사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동물보호 사회의 인식을 높일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4,600원
        20.
        202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4년 상반기 기준 국내 공영동물원에서 시행 중인 교육프로그램 현황조 사를 통하여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의 개정(2022) 이후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동물원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를 위해 국내의 공영동물원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현황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 결 과를 바탕으로 국내 동물원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 국내의 공영동물원 18개소 중 총 11개소의 공영동물원만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동물과 인 간’을 주제로 관람식, 체험식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운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동물원 교육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상으로 동물원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 어야 하고, 동물복지를 기반으로 동물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효과있는 교육을 위해 연속형 프로그램이 늘어나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공영동물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동물원 교 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