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신규 살비제 개발을 목적으로 생물활성 검정을 통하여 신규 화합물 K-16776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조제(Adjuvants)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보조제는 모두 16종 이었으며, 보조제 250ppm이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미치는 영향과 K-16776에 보조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살비활성의 증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 시험 결과 보조제만 처리하였을 경우 보조제 QTO (Methyl(polypropylene polyethylene glycol) bis(trimethylsiloxy)silane)외 6종의 보조제가 6.6~26.4%의 살비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보조제들은 점박이응애 암컷성충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신규화합물 K-16776 원제의 경우 63.4%의 살비활성을 보였으나, 보조제 A, B, C를 첨가하였을 경우 살충활성이 97.5, 100, 100%로 증가되었다. 선발된 3종의 보조제를 첨가하여 점박이응애의 모든 발육단계가 혼재된 온실조건에서 살비활성을 검토한 결과, 처리 12일 후에 살비활성이 각각 20.6, 21.3, 25.9%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보조제의 선발에 의한 K-16776의 활성 증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신규 살비제 개발을 위한 실내시험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벼에 발생하여 엽육을 전체적으로 식해해서 피해를 주는 혹명나방(Cnaphalocrosis medinalis)과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의 곤충병원성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국내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살충활성 가능성을 가지며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가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Bt 30균주 중, 약 14개 균주가 혹명나방에 50% 이상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7개 균주가 벼애나방에 살충활성을 보였는데, 두 종 모두에 80% 이상의 살충율을 보이는 균주도 3균주나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는 두 종 해충 뿐만 아니라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도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생물농약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나 두 종 모두에 살충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균주도 확인되었다. 또한 살충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처리한 식물체에 섭식저해 현상을 보이는 유충을 계속적으로 사육하면서 용화율, 우화율 및 번데기 길이를 조사함으로, Bt가 대상 해충의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 후 조사기간 동안 생존한 개체라 할지라도 용화, 우화율이 정상개체에 비해 30~40%이상 낮게 나타났다. 특히나 혹명나방의 경우,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차이를 보이며 섭식에 저해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1988년 부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전국 9개도 60개 시․군․구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 이용하여 대면적으로 나무주사를 실시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Emamectin benzoate에 대해서는 소나무내 약제 침투이행 및 약제잔류량에 대해서는 일찍이 보고된 바가 있으나 Abamectin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소나무림에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Abamectin에 대해 수체내 부위별 약제 잔류량과 나무주사 후 약제지속성 및 잣나무에 대한 나무주사 효과를 구명하였다.
Abamectin 약제를 잣나무와 해송에 나무주사를 실시하고 경과시기별(15일차, 30일차, 60일차, 90일차, 170일차, 360일차) 수체내 약제를 잔류분석(HPLC)하였다. 그 결과 해송의 경우 15일 차에 약제가 검출(3.14±0.68㎎/㎏) 되었지만 잣나무에서는 90일차까지 검출되지 않다가 170일차에 검출(0.30±0.06㎎/㎏) 되었다. 약제 잔류량은 해송에 비해 잣나무에서 낮은 경향치를 보였다. 또한 잣나무 주간을 1m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0.33± 0.12㎎/㎏, 수관 상․중․하부의 가지에서는 각각 0.70±0.118㎎/㎏, 0.76±0.20㎎/㎏, 0.76±0.11㎎/㎏으로 부위별 약제잔류량은 주간보다 가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Abamectin 1.8% EC 100배 희석액을 잣나무 및 소나무에 흡수시키고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후 14일 경과후 약제처리 위치로부터의 거리(㎝)별 선충수를 조사한 결과 약제처리가지에서는 0~140㎝ 까지 거의 증식을 하지 못한 반면 무처리의 경우 약제처리 위치로부터의 멀어질수록 선충의 수는 증가하였다. 잣나무에 Abamectin 1.8% EC을 처리한 진주 금산(18본) 및 가좌지역(20본)의 경우 0% 감염율을 보였지만 대조구(선충단독처리)는 50% 발병율을 보였다.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Perg.), is one of the major pests of lettuce, Lactuca sativa. To develop the economic thresholds for western flower thrips on lettuce, the thrips was inoculated into two types of lettuce, green deeply lobed leaf lettuce which was harvested every week and red frilled & crinkled leaf lettuce which was harvested one time, with a density of 0, 1, 3, 7, 10 thrips per one lettuce after planting 1 week and 3 weeks at the plastic house in 2006, and 0, 1, 3, 5, 7 thrips per one lettuce after planting 1 week in 2007.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l thrips density and the marketable quantity of lettuce : y = -155.36x + 3564.7, r2=0.9724('06), y = -167.82x + 3474.5, r2=0.8897('07) in the green deeply lobed leaf lettuce inoculated the thrips after planting 1 week, y = -109.65x + 3549.1, r2=0.9384('06) in the green deeply lobed leaf lettuce inoculated the thrips after planting 3 weeks, y = -197.09x + 3334.9, r2=0.9707('06), y = -244.08x + 3425.9, r2=0.8914('07) in the red frilled & crinkled leaf lettuce inoculated the thrips after planting 1 week, y = -101.07x + 3457.6, r2=0.7334('06) in the red frilled & crinkled leaf lettuce inoculated the thrips after planting 3 weeks. The economic threshold for western flower thrips on lettuce was ranged 0.20~0.30 thrips per one lettuce in the blue type lettuce and 0.14~0.33 thrips per one lettuce in the red type lettuce.
뿌리혹선충에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체 정유(anise oil, caffeine,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hea sinensis oil, thyme oil, wintergreen oil, yucca)의 방제제로서 활용에 대비하여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누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희석한 후, 가정용 소형 분무기를 이용하여 잎이 10-15개 정도 붙어있는 뽕나무에 살포하여 음건하였다. 음건한 뽕잎은 따서 지퍼팩에 넣어 보관하면서 4령 1일째 누에를 이용하여 관행적 누에 사육법에 따라 급상하면서 매일 누에의 치사유무와 유충무게, 번데기 무게, 고치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처리 한 식물체 정유의 종류와 급상일수에 따라 누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는데 처리 3일후와 5일후 까지는 누에의 치사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급상 7일째에는 neem oil 처리에서 53.3%의 치사율을 보였고 급상 10일후에는 100% 치사하였다. 5령 1일째 누에의 체중은 neem oil과 rotenone 처리에서 0.28 g으로 무처리구의 0.46 g과 차이가 있었다. Neem oil 처리구에서는 고치를 형성한 누에가 없었으며 고치무게와 번데기 무게는 rotenone 처리에서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The repellent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armatum (Rutaceae) seed and Zanthoxylum piperitum fruit against female Stomoxys calcitran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repellency of two Zanthoxylum essential oils and 11 oil compounds against female S. calcitrans was examined using a skin bioassa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ost widely used repellent DEET. Both Z. armatum seed and Z. piperitum fruit oils provided complete and good protection from fly bites for 30 min at 0.4 and 0.2 mg/cm2, respectively. At 0.05 mg/cm2, both oils gave ca 70 and 40% repellency at 30 and 60 min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ereas DEET provided 83 and 73% protection. Of test compounds, cuminaldehyde at 0.05 mg/cm2 gave 92 and 69% repellency at 10 and 30 min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ereas 1,8-cineole, and citronellal provided approx. 76% repellency at 10 min. The Zanthoxylum oils and their constituents, particularly cuminaldehyde,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insect repellents for the protection from humans and domestic animals from biting and nuisance caused by S. calcitrans.
A quantitative sequencing (QS) protocol that detects the frequencies of sodium channel mutations (M815I, T917I and L920F) responsible for knockdown resistance in permethrin-resistant head lice was tested as a population genotyping method. Genomic DNA fragments of the sodium channel α-subunit gene that encompass the three mutation sites were PCR-amplified from individual head lice with either resistant or susceptible genotypes, and combined together in various ratios to generate standard DNA template mixtures for QS. Following sequencing, the signal ratios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nucleotides were calculated and plotted against the corresponding resistance allele frequencies. Quadratic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plots were close to 1, demonstrating that QS is highly reliable for the prediction of resistance allele frequencies. Prediction of resistance allele frequencies by QS in several globally collected lice samples including 12 Korean lice populations suggested that permethrin resistance varied substantially amongst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Three local populations of Korean lice were determined to have 9.8-36.7% resistance allele frequencies, indicating that an urgent resistance management is needed. QS should serve as a preliminary resistance monitoring tool for proper management strategies by allowing early resistance detection.
To develop an improved baculovirus insecticide with additional advantages,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AcB5B-AaIT was constructed. B. thuringiensis crystal protein gene (cry1-5) and insect-specific neurotoxin gene (AaIT) were introduced into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genome by fusion of polyhedrin-cry1-5-polyhedrin under the control of polyhedrin (polh) gene promoter, and AaIT under the control of early promoter of ORF3004 from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respectively. About 150 kDa of Polyhedrin-Cry1-5-Polyhedrin fusion protein expressed by AcB5B-AaIT was occluded into the polyhedra produced by the recombinant virus, and activated as about 65 kDa of crystal protein when treated with gut-juice of Bombyx mori. The AcB5B-AaIT showed about 50% reduced LT50 value compared to that of the recombinant virus, Ap1Ac, expressing Cry1Ac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arvae. In addition, Spodoptera exigua larvae fed the recombinant polyhedra of AcB5B-AaIT showed about 4 fold higher refusing diet effect compared S. exigua larvae fed the recombinant polyhedra of the recombinant virus, Ap1C, expressing Cry1C. AcB5B-AaIT could be transferred to wild-type baculovirus along with serial passage by the homologous recombination between two polyhedrin genes contained in polh-cry1-5-polh fusion protein ge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AcB5B-AaIT, could be applied as advanced viral insecticide.
The complete genomic nucleotide sequence of the Spodoptera litura multicapsid nucleopolyhedrovirus (SlMNPV) isolated in Korea, SlMNPV-K1, was determined. It was 137,435 bp long, with a 55.4 % A+T content and contained 132 putative open reading frames (ORFs) of 150 nucleotides or larger that showed minimal overlap. The 132 putative ORFs covered 87.7% of the genome. Among these, 131 ORFs were are homologous to genes identified in previously reported SlMNPV genome which consisted 139,342 bp and contained 141 putative ORFs. However, arrangement of some ORF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though the SlMNPV-K1 genome is smaller than that of previously reported SlMNPV genome and had lesser predicted ORFs, the main functional genes were all conserved. When the phylogenic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polyhedrin gene, SlMNPV-K1 was most closely related to Lymantria dispar multicapsid nucleopolyhedrovirus (LdMNPV) which were belonged to Group Ⅱ nucleopolyhedrovirus.
A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named Bt 1-3, was isolated from Korean soil sample and it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lutella xylostella. Bt 1-3 was deterimined to belong to ssp. aizawai (H7) by an H antiserum agglutination test and produced bipyramidal-shaped crystal proteins. PCR analysis with specific cry gene primers showed that Bt 1-3 contained cry1Aa, cry1Ab, cry1C, cry1D and cry2Ab genes. In addition, this isolate showed high uptake rate of foreign plasmid by electropor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Bt 1-3, we tried to construct a spore-free Bt 1-3 mutant by knock-out sigG gene, which is known as a key transcription factor during sporulation. First, we constructed a basal vector, named pDST, consisting of erythromycin resistant gene (EmR), partial polyhedrin gene and temperature sensitive origin of replication gene (Orits). 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chromosomal DNA sequence of Bt subsp. konkukian 97-27, we amplifed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of Bt 1-3 sigG, and cloned into pDST (pDST-G). So far, several EmR colonies were obtained by electroporating into the wildtype Bt 1-3 and crossover by homologous recombination is going on.
Bt crystal proteins, encoded by cry genes, are a group of insecticidal proteins unique in the Gram-positive and spore-forming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These cry genes are widely appli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andidates for constructing transgenic plants resistant to pest insects. In our previous report, we found Cry1-5 had high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Spodoptera larvae although its amino acid sequences showed high similarity (97.9%) to those of Cry1Ab which had low activity. In comparison with Cry1Ac, Cry1-5 had 12 different residues in domain Ⅰ and domain Ⅱ, and we focused on domain Ⅰand domain Ⅱ regions and designed 10 mutagenic primers to change 12 residues. Through multi site-directed mutagenesis, we mutated the modified cry1Ac gene by plant codon usage in pOBⅠ-Mod-cry1Ac based on cry1-5 and constructed 63 various mutant cry genes. In the further study, we will express those mutant proteins as a fusion form with polyhedrin us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and subsequently do bioassay to Spodoptera larvae.
유아용 기저귀 제조용 필름과 부직포에 계피, 로즈마리, 유칼맆툽스, 페퍼민트 추출물을 중량비 0.005%(추출원액의 0.5%를 마이크로캡슐로 만든 후 필름과 부직포에 1%의 마이크로캡슐 처리)를 처리한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기저귀 완제품을 제작하여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질을 처리한 기저귀 필름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F=4.21 df=3,21 P<0.0158), 추출물질을 처리한 부직포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16.38 df=4,30 P<0.0001). 각 추출물질을 처리하여 만든 부직포로 제작된 기저귀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기저귀를 혼합 적재하여 대량의 화랑곡나방 유충을 투입하여 유인억제효과를 기저귀 표면과 내부에서 발견된 유충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기저귀 표면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모든 처리구, 무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1.76 df=4, 45 P<0.1536), 기저귀 내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유칼맆툽스와 계피 추출물 처리 제품에서 유인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0.84 df=4, 45 P<0.5056).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생약명이 자목(柘木)으로 분류학적으로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활엽수, 소교목 또는 관목이며, 한국(황해이남, 800m 이하)ㆍ일본ㆍ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플라보노이드계인 모린, 루틴, 모르찐을 함유하여 항암 효과가 탁월하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보플라빈 등과 비타민 B1, B2,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생 꾸지뽕나무 군락지를 발견하기 매우 어렵고 무차별 남획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배에 관한 기술자료가 미흡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함께 소득작물로서의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하여 안정생산기반을 마련하고자 재배기술체계 확립 및 주요 문제 병해충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병해충 조사결과 주로 병에 의한 피해로 갈색무늬병이 발생하였으나 피해정도는 경미하였으며, 해충 피해로서 잎에는 5월 초~9월 말에 은줄자나방 유충, 산누에나방 유충, 목화진딧물, 명나방 유충, 꽃에는 6월 초~6월 말에 잎벌레류, 과실은 6월 초~7월 중, 9월 초~11월 초 수확기에는 노린재류, 잎벌레류, 초파리, 노린재등과 다람쥐, 까치 등 조수 피해도 나타났다. 줄기는 5월 초~10월 초에 공깍지벌레, 장수풍뎅이, 말매미, 넓적사슴벌레 등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다.
시설 수박에 발생하는 수박 응애류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2007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채소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구에 응애류(점박이응애+차응애)를 5수준(0, 2, 5, 10, 20마리/주)으로 착과기 이전인 5월 10일에 접종하였고, 이후 7일 간격으로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응애류 방사 이후 시기별 발생 밀도는 무방사구를 제외하고 계속 증가하다가 6월 중순부터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응애 접종수준에 따른 수박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 후 평균 과중은 접종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7kg 이하의 소과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응애 접종수준과 과중감소율과의 상관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Y= 0.734X + 2.187(R2= 0.858)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박 생육 후기 엽당 6마리 이상 응애 발생엽 비율과 과중감소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Y= 0.418X - 0.744, R2= 0.889)가 성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량감소율 6.3%에서 응애류 요방제수준은 착과 이전에 주당 4.5마리이었으며, 생육 후기에 엽당 6마리 이상 응애 발생엽 비율 13.5% 이었다.
단감 재배단지에서 잎 천공증상의 피해가 심한 곳은 2006년에 30% 이상의 피해잎율을 보이며, 또한 꽃눈을 가해하여 개화전 낙화시켜 생산량 확보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러한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천공증상의 원인과 해충에 의한 낙화의 원인 연구가 부족하고, 방제적기가 구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단감의 잎 천공증상은 장님노린재류로 추정되는 1종이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잎에 천공증상 피해최성기는 2007년에 4월 중하순, 꽃눈의 피해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상순으로 조사되었다.
잎에 발생하는 천공증상은 전개하는 어린 잎에 갈색반점의 형태를 띠다가 완전히 전개된 잎에는 불규칙하게 구멍이 생기는 증상을 보이며, 꽃눈에는 꽃받침 밑부분을 가해하면 갈색으로 변하며 탈락하게 된다.
2007년 방제적기를 판단하기 위해 티아메톡삼 10% 입상수화제를 4월 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살포하고 피해율을 조사하였는데, 피해최성기인 4월 중하순에 방제하는 것이 낙화 및 잎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B. thuringiensis kurstaki was first discovered by H. Dulmage in 1970 and commercialized as a DipelTM due to powerful toxicity to various Lepidoptera. Previously we isolated B. thuringiensis kurstaki on the basis of plasmid DNA profiling and H-antigen serotyping.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creen larvicidal activities and select the highly active B. thuringiensis isolates against the important polyphagous pests of mandarine oranges and vegetables. The colony forming unit (CFU/ml) of each of culture mixtures was determined to estimate the δ-endotoxin concentration. The bioassay against artificial diet-rearing insects was conducted by surface contamination methods using the Petri dishes speci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SPL Lifesciences. The insecticidal activities to the natural diet-rearing insect were measured by the application of spore and crystal mixtures to the leaf discs of the chinese cabbage with Potter spray tower. The following insects were used for the larvicidal activities of B. thuringiensis isolates: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giant looper Ascotis selenaria,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and variegated cutworm Peridroma sucia.
곤충 병원성바이러스의 해충방제 이용확대를 위해 배추좀나방에 대한 배추좀나방과립병바이러스(Plutella xylostella granulovirus)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 유묘검정에서 무처리 피해엽율은 21일 후에 45.8%의 피해를 보였으나 1.0×106에서는 25.8%, 1.0×107,은 11.8%, 1.0×108에서는 5.4%로 낮아졌으며 특히 1.0×108에서는 7일째 70%, 21일째에는 94.3%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다.
노지에 배추좀나방 2령 유충을 접종하여 바이러스 살포농도에 따른 밀도변화를 본 결과 무처리에서는 21일째에 접종밀도보다 1.9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1.0×108, 109, 1010 OBs/㎖ 농도로 살포한 구에서는 0.6배, 0,2배, 0.07배로 배추좀나방 밀도가 낮아졌다.
바이러스 접종농도별로 배추좀나방에 의한 피해엽율은 무처리에서 접종 3일째부터 6.0%의 피해를 보이기 시작하여 12일째에는 44.7%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1.0×108에서는 각각 4.7%, 33.3%를 나타냈다.
노지포장에서 배추좀나방 사충수의 변화는 처리 3일째부터 사충이 시작되어 바이러스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사충을 보였다. 무처리에서는 12일까지 거의 죽지 않는데 비하여 1.0×108에서는 12일째에 88.9%의 방제가를 보였다.
2004년 8월경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일원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확인된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 확산억제를 위한 방제방법으로 고사목 벌채훈증법을 적용하여 왔으나, 험난한 산악지역에서 방제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사목을 벌채하지 않고 입목상태에서 매개충의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훈증제 입목천공주입법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사목의 경우 4~5m이상 높은 부위까지 매개충의 칩입공이 분포하지만 주로 2m이하에서 약 90%정도의 침입공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천공이 가능한 1.5m높이까지 지름 10㎜, 길이 10㎝인 목공용 드릴날과 동력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1m까지는 10×10㎝간격으로, 1~1.5m높이까지는 20×20㎝ 간격으로 천공하고 천공당 3㎖의 메탐소디움 훈증제를 주입한 후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10×10㎝간격으로 천공하였을 경우 100%의 살충율을 보였으며, 20×20㎝간격으로 천공하였을 경우 60~80%의 저조한 살충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입목천공훈증법은 지형이 험난하여 벌채훈증법을 적용하기 힘든 고사목에 대한 처리방법의 하나로 적용가능한 방법이라 판단되었다.
담배가루이 Q계통은 2005년 경남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2007년까지 9개도 28시군 12개 작물에서 발생하여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담배가루이의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방제와 농약을 이용한 화학적방제의 상호 보완적인 사용기술을 개발하고자 담배가루이 천적인 황온좀벌(Eretmocerus eremicus) 번데기에 대한 저독성약제를 선발하였다. 착색단고추와 토마토 등 원예용 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주요 살충제 59종과 살균제 75종을 추천농도, 배농도로 희석한 후 황온좀벌 번데기를 침지 처리하고 12일차에 우화율을 조사한 결과 IOBC기준으로 무독성(우화율, 70% 이상)인 살충제는 크로르피리포스(입상), 포스치아제이트(액), 피라크로포스(수) 등 유기인계와 메소밀(액) 등 카바메이트계, 아세타미프리드(수)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IGR계 등 56종이었으며, 21~70%의 우화율을 보이는 약제는 메치온(유), 에토펜프록스(유), 클로치아니딘․클로르훼나피르(유) 등 3종이었다. 추천농도 및 배량으로 처리한 살균제는 황온좀벌 번데기에 전 약제가 저독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robing and feeding behavior of Q type of B. tabaci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residual effect of two insecticide, emamectin and pyridaben, using EPG technique. Examined the residual activity during 20 days, pyridaben is showed longer than emamectin benzoate. When treated two insecticides onto tomato leaves with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through 20 days, EPG waveforms of Q type of B. tabaci was recorded during three hours compare with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feeding behavior between two insecticides such as duration of first probing time, total duration of non-probing phase, total duration of probing phase and total duration of phloem phase. Recorded result from the change in total duration of probing activity to react the two insecticides, pyridaben was showed higher the time of probing activity, however, total duration of phloem phase was appeared low activity. Total duration of phloem phase with passage of days did not show until seven days, however, and gradually increased in emamectin benzoate after 10 days. In conclusion, residual effect between two insecticides was showed more rapidly decreased in emamectin benzoate, however, feeding behavior of Q type of B. tabaci was increased.